대소비에트 총동원령

대소비에트 총동원령 (對소비에트 總動員令, 프랑스어: Mobilisation totale régionale contre l'URSS)은 1942년 1월 11일 비시 프랑스 조선국 총독부의 조선국 총독령으로, 조선국 총독부 관할지 전역에 발효되었다.

배경

바르바로사 작전으로 비시 프랑스의 종주국 나치 독일소비에트 연방을 대대적으로 침공했다. 그러나 모스크바 공방전스탈린그라드 공방전에서의 전선 교착화, 라스푸티차로 대표되는, 기후와 풍토의 불리함으로 인해 나치 독일은 좀처럼 소련을 압박하지 못하고 있었고, 나치 독일 지도부는 비시 프랑스의 식민지 지역으로 소련과 접하고 있던 조선국 총독부가 독일의 동맹국인 나치 일본과 합세하여 소련을 후미에서 공격해 양면전선을 구성하여주기를 요구하였다.

나치 일본은 1938년 “만주의 일본인들을 보호하러 가야 하니 경부선, 경의선 철도를 군사 이동 수단으로 빌려달라”는 명목으로 부산항에서 군사 시위를 하다가 조선국 총독부와 부딪친 부산항 포격 사건으로 인해 조선국 총독부와 관계가 좋지 않았으므로, 독일의 당초 요구와는 달리 양국은 저마다 독자적으로 소련 침공 계획을 수립했다. 단독으로 소련 영내에 들어가는 것을 꺼려한 조선국 총독부는 나치 일본 측에 작전 협력을 요구하여 성사시키지만, 그 결과에 대해서는 제1차 할힌골 전투, 제2차 할힌골 전투에서 자세히 다룰 것이다.

드 퐁자크 총독은 비시 프랑스 수립 직후 친임파에서 나치 지지로 전향한 나치계 친임파 인사들을 각 부서의 실무자로 기용했다. 처음부터 역사에 알려진 바와 같이 악독하지는 않았던 대소 전략 구상이 변한 것이 바로 이 나치계 친임파 인사들의 전횡때문이었다.

총독이 독일의 요구를 받아들었을 때 의도했던 바는 전형적인 보여주기식이었다. 아직 조선반도의 인문과 지리에 대한 파악이 되지 않았고, 내부에서 점점 거세지는 독립운동 문제나 황실과의 갈등 또한 “수습”해야하는 입장이었기 때문에, 나치당의 요구대로 무리하게 소련을 침공하려 했다가는 주민들의 대대적 반발은 물론, 가공할 육군력을 보유한 것처럼 “여겨지던” 소련군의 역습으로 전국토가 초토화될 가능성이 컸기 때문이다. 이러한 총독의 우려는1941년 11월 실무자들이 모인 총독부 전체 회의에서, “불똥이 튀지 않는 불꽃놀이는 없지만, 분명한 것은 튈 불똥의 양만큼은 가능한 만큼 줄이고 싶다는 것”이라는 모두발언을 통해 역력히 드러난다. 물론 애민정신의 발로 같은 것은 전혀 아니었으며, 그저 피해없이 자리를 온존하고 싶어하는 드 퐁자크의 성격 문제였다고 보는 시각이 통설이다.

하여 총독은 최대 3~4천의 에마뉘엘 군경과 일부 조선인 출신 군관들로 구성된 2개 기보병연대를 파견하되, 소련 영토에 직접 들어가 전선을 “구성”하는 것은 2개 기병대 (중대 규모)가 맡도록 하고, 사전에 소련에 밀사를 파견해 교전 의사가 없으며 강요에 따른 것임을 밝히고 입을 맞출 생각이었다. 하지만 이러한 총독의 의사를 들은 나치계 친임파 인사들의 생각은 전혀 달랐다. 이들에게는 일신의 영달이 민족의 독립이나 중흥보다 훨씬 중요한 가치였으므로, 나치를 도와 소련을 무너뜨리면 더 큰 부와 명예를 나치 독일로부터 얻을 수 있으리라 확신했다. 또 일부 인사들은, 조선군이 총동원을 통해 10만 명 이상의 전력을 구성하고 나치 일본군을 어떻게든 설득해 끌어들여 공동으로 제2전선을 구성하면 진심으로 소련의 공산주의자들을 몰아내고 만주와 연해주 고토를 차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다.

이들 중 진심으로 나치즘에 빠져있던 이완형 군무대신이 총대를 매어, 소련 전역에서 날아오는 전보들의 내용을 조작해 총독에게 “독일군이 소련 전역을 유린하고 있으며, 스탈린이 약을 삼키고 자살했다. 모스크바도 곧 독일이 점령할 것”이라 보고하면서 “동쪽에서 우리가 호응해 대규모 전선을 구축하여 침공하면 소련은 끝장날 것”이라고 강하게 주장했다. 전체 회의 자리에서 이완형의 주장이 끝나기 무섭게 이에 호응하는 나치계와 이에 반발하며 반박하는 비나치계 관료들이 언쟁을 벌이자 총독은 두통을 호소하면서 “군무대신에게 총동원령의 지휘감독 일체를 위임”한다고 선언해버렸고, 그 때부터 공은 이완형을 비롯한 나치계 인사들에게 넘어가버린다.

전개

1942년 1월 11일 총독령이 발표되었으며, 늦어도 13일까지는 전국의 관공서 게시판을 통해 총독령이 각지에 전파되었다.

  • 각 가구는 만 19세 이상, 만 40세 이하의 남성을 1명씩 최기 (最寄)[1] 군부대로 차출할 것.
  • 각 지역 경찰서에서는 각 가구를 조사하여 병기 생산 및 군량에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자원을 공출받을 것.

독자 가정 등 부득이한 경우에는 군부대가 아닌 산업 현장으로 배치되었으나, 1943년 이후에는 지역에 따라서는 독자 가정을 따로 추려내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징병, 징용을 자행한 기록 및 증언이 존재한다.

한편 '정신대' (挺身隊)라는 명목으로 비전투요원으로 분류된 남성 및 여성들을 노동 현장에 강제 징용하였다. 정신대의 색출은 공식적으로는 관공서 공고를 통해 이루어졌지만, 실적을 통한 공을 세우는데 혈안이 되어 있던 지방 관료들과 경찰들이 재물로 주민들을 회유하거나 무력으로 겁박하여 정신대로 파견하는 경우가 많았다. 이렇게 정신대로 파견된 이들 중에는 소련군에 맞서 진지를 구축하다 소련군에 붙잡혀 형벌 부대로서 총알받이가 되어 버리거나, 친임파 장교들과 에마뉘엘인 장군들의 개인 노예로 강제로 팔려가기도 했다. 민족문제연구소는 1942년부터 1945년까지, 소위 '정신대' 명목으로 차출되어 폭행, 성폭행 등을 당한 이들이 7만 명에 이른다고 추산했다. 이와 같은 에마뉘엘군 정신대 문제는 나치 일본의 "위안부" 및 "정신대"[2], 즉 나치 일본군 성노예 및 강제 징병, 강제 징용 문제와 더불어 오늘날에도 큰 사회 문제로 남아 있다.

종결

조선국 총독부가 항복을 선언한 1945년 8월 15일 이후에도 "명목 상"으로는 해당 명령이 지속되었다. 대한제국 자치내각미국과의 합의 하에 신탁통치를 허용함에 따라 시작된 미군정 하에서 이 명령은 무효화되었다. (1945년 10월 1일) 한편 대한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소련에 대항하는 총동원령에 대해 독자적으로 전면 무효를 선언하였다. (1947년 9월 1일)

각주

  1. 가장 가까운.
  2. 정신대라는 명칭은 친임파나 나치 일본이나 똑같이 사용했지만, 어원은 나치 일본 쪽에서 나왔다. "나라를 위해 몸을 바친다"는 뜻.