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역사

역사

식민지배 이전

약 4만년 전 지금의 말레이시아 땅에 인류의 거주지들이 형성된 기록이 있다.[1] 이는 말레이시아가 고로 신생국가가 아님을 증명한다. 현재 반도 말레이시아(서말레이시아)에 해당되는 말레이 반도의 첫 정착민은 검은 피부를 가진 네그리토로 추정된다.[2] 기원후 시대 초기 인도양과 남중국해 사이의 말레이 반도는 동서양 무역상 및 여행객들의 장소였는데, 2~3세기경 그들은 이곳에 무역항과 해안 마을을 건설했다. 그 결과 인도 및 중국 문화가 현지 문화에 강한 영향을 끼쳤고, 사람들은 이들로부터 유입된 힌두교와 불교를 믿기 시작했다. 4~5세기경 산스크리트어로 된 것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3] 2세기 무렵 말레이 반도 북부의 랑카수카 왕국이 번창하기 시작했으며 15세기까지 존속했다.[4] 7~13세기 말레이 반도 남부 해안 지역은 스리비자야 제국의 일부였다. 스리비자야 제국의 멸망 이후 등장한 마자파힛 제국은 말레이 반도와 말레이 제도 일대에 큰 영향력을 끼쳤다.[5] 14세기 무렵 아랍 상인들이 이슬람교를 소개하면서[6] 전국적으로 퍼지기 시작했고,[7] 이것이 말레이시아가 이슬람 국가가 되는 시초가 되었다. 15세기 초 구 스리비자야 제국의 왕자였던 파라메스와라가 지금의 말라카 지역에 말레이 반도 최초의 독립 국가로 간주되는 말라카 술탄국을 건설했다.[8] 지리적, 경제적, 군사적으로 말라카는 당시 매우 중요한 지역이었으며, 국제적인 무역항으로써 매우 크게 번영했다.

식민통치 시절

Dutch architectures
스타튀는 1650년 네덜란드 양식으로 지어진 건물이다.

하지만 이 번영의 말라카도 1511년 포르투갈의 침공과 함께 몰락했다.[7] 포르투갈이 침공한 궁극적인 목표는 경제권을 확장하는 한편 기독교를 전파하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말라카 주민들은 포르투갈의 통치에 강력하게 저항했으며, 1641년 이 지역을 노린 네덜란드의 침공으로 포르투갈의 지배도 끝이 났다. 이어 네덜란드의 지배가 시작되었으나, 1786년 크다의 술탄이 피낭을 영국령 동인도 회사에 양도하면서 대영제국의 지배가 시작되었다. 영국은 1819년 싱가포르를 획득했고,[9] 이후 기존에 말라야를 지배하던 네덜란드와 마찰이 발생하자 1824년 영국-네덜란드 협정을 맺어 세력범위를 확정했다. 이 협정에 따라 영국은 싱가포르를 중심으로 해서 북부는 영국이, 남부는 네덜란드가 지배하도록 했는데 말라카는 영국이 가져가는 대신 자신들이 지배하던 벤쿨렌(방카훌루)을 네덜란드에 양도했다. 이후 영국의 세력범위는 영국령 말라야라 하여 오늘날의 말레이시아와 싱가포르가 되었고 네덜란드의 세력범위는 네덜란드령 인도라 하여 오늘날의 인도네시아가 되었다.

1826년 영국은 피낭, 말라카, 싱가포르, 라부안을 직접적으로 지배하기 시작했는데 이 지역에 직할식민지의 일종인 해협 식민지를 건설했다. 20세기 무렵 파항, 슬랑오르, 페락, 느그리슴빌란으로 구성된 연합 말레이 주에 영국이 눌러앉기 시작했는데 각 주의 말레이 지도자들이 자신들과의 협정을 거부할 것이 확실해지자 그들을 조언해 영국 지도부를 임명하게 했다.[10] 나머지 5개 주는 비연합 말레이 주라 하여 영국이 직접 통치하지 않았는데 20세기 영국인 조언자가 있게끔 전환되었다. 19세기까지 말레이 반도와 보르네오의 발전은 대개 큰 관련이 없었다. 영국은 지배 기간 동안 중국과 인도에서 수입된 노동자들의 이민을 장려했다.[11]

현재 사바주에 해당되는 지역은 1877년부터 1878년 사이 브루나이와 술루의 술탄이 통치권을 영국에 양도하면서 영국령 북보르네오가 되었다.[6][12] 지금의 사라왁주에 해당되는 지역은 영국 모험가인 제임스 브룩(James Brooke)이 1842년 브루나이 술탄으로부터 양도받은 뒤 사라왁 왕국이 되었으며, 1946년 직할식민지로 개편될 때까지 백인 왕조의 지배를 받았다.[13]

제2차 세계대전 중 일본이 말라야, 북보르네오, 사라왁, 싱가포르를 점령했으며, 1945년 항복할 때까지 3년간 통치했다. 비록 3년으로 말레이시아를 지배한 그 어떠한 나라보다도 짧게 통치했지만, 더 잔인했으며, 특히 중국에 대한 반감을 갖고 있던 일본은 이 지역의 중국인들까지 무자비하게 살해했다. 중국인뿐 아니라 청년들은 태국을 거쳐 미얀마까지 이어지는 철로를 건설하는 데 동원되었는데, 많은 이들이 막노동에 영양 실조 등으로 희생되어 이 철로는 '죽음의 철로'라고 불리게 되었다. 또한 교육을 제대로 실시하지 않았으며 식량이 제대로 보급되지 않음으로써 경제난에 시달렸다. 이 무렵 공산주의자들의 산악전이 시작되었고, 한편으로는 인종적 긴장 상태 및 민족주의가 성장하였다.[14] 민중의 항의가 이어졌으며, 1945년 일본의 항복으로 독립을 쟁취했으나 영국이 재점령했다.[15] 이에 민족주의가 더 크게 성장하기 시작했고, 독립을 위한 움직임이 시작되었다.

말라야 연합에서 독립까지

영국의 재점령 이후 영국은 1946년 싱가포르를 제외한 영국령 말라야 지역에 직할 식민지인 말라야 연합을 건설했다. 말라야 연합의 이민법은 출생지주의(jus soli)를 강조했는데, 이 이민법에 따라 말레이인 또는 말라야 연합 및 싱가포르 출신자들은 자동으로 시민권이 주어지며, 중국인(명나라, 청나라 출신) 및 인도인(영국령 인도 출신) 등 외족도 1942년 2월 15일 이전부터 거주하고 있으면 시민권이 주어졌다. 이민법은 모든 민족에게 평등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낮은 지위에 있던 말레이인들은 이 결과로 외국인들의 힘이 세져 자신들의 지위가 더 추락할까봐 두려움을 느꼈으며, 말레이인들의 상징이었던 술탄제를 폐지함으로써 말레이인들의 강력한 반발을 사게 되었다. 결국 말라야 연합은 해체되었고, 대신 1948년 말라야 연방이 결성되었다. 이후 말레이인을 중심으로 하는 정책들이 시작되는 가 하면 영국의 보호 아래 말레이 주의 지도자들의 자주성을 회복시켰다.[16] 이 무렵 말라야 공산당(PKM) 소속 중국계 게릴라들이 영국을 자국에서 축출하는 목적으로 무장투쟁을 시작했다. 이에 동년 말라야 비상사태가 선포되었고, 영국 연방 국가들의 병력을 동원해 이들을 진압하였다. 비상사태는 독립 후인 1960년까지 지속되었다.[17] 말라야의 독립을 외치는 목소리가 높아져 1955년 총선이 실시되었고, 이어 1957년 8월 31일 영국으로부터 독립하였다.

현대의 역사

1963년 9월 16일 툰 푸아드 스테픈스(좌)가 당시 말라야 연방의 부총리였던 압둘 라자크 후세인(우)과 무스타파 하룬(우측 두번째)과 함께 제셀턴의 파당 머르데카에서 말레이시아의 탄생을 선언했다.

1957년 8월 31일 말라야 연방은 영국으로부터 완전히 독립하였다. 통일말레이국민조직(UMNO)의 지도자였던 툰쿠 압둘 라만(Tunku Abdul Rahman)이 초대 총리가 되었으며, 느그리슴빌란 주의 최고지도자(Yang di-Pertuan Besar; 종종 '술탄'으로 간주됨)였던 투앙쿠 압둘 라만(Tuanku Abdul Rahman)이 초대 국왕이 되었다. 말라야 인들의 소원이었던 독립을 쟁취했으나, 갈 길은 멀고 험난했다. 나라 안은 말레이인과 중국인 등 민족간의 갈등이 심했고, 말라야 연방 홀로는 국제 사회에 나설 수 없었다. 또한 경제 발전의 토대가 될 만한 자원이 부족했고, 원주민의 수가 부족하여 말레이인들을 우대하는 데 크게 불리했다. 마침 영국의 또다른 식민지였던 북보르네오, 사라왁, 싱가포르, 브루나이에서도 독립의 목소리가 높아지자, 말라야 연방 정부는 이 지역에 자국에 가입할 것을 권유했다. 당초 브루나이가 먼저 동의함으로써 1961년 말라야 연방의 가입했으나, 석유라는 최고의 경제적 조건을 갖춘 브루나이는 자신들이 경제적으로 쇠퇴할 것을 우려, 1년만에 탈퇴했다. 한편 북보르네오(사바), 사라왁, 싱가포르는 당초 이를 고사했으나, 싱가포르가 가입을 결정했고, 싱가포르와 깊은 인연이 있던 북보르네오와 사라왁도 가입을 결정했다. 1963년 세 나라 모두 영국으로부터 독립했으며, 9월 16일 현재의 말레이시아 연방을 성립하였다.

  1. Stephanie Holme (2012년 2월 13일). “Getaway to romance in Malaysia”. 2014년 1월 6일에 확인함. 
  2. Fix, Alan G. (June 1995). “Malayan Paleosociology: Implications for Patterns of Genetic Variation among the Orang Asli”. 《American Anthropologist, New Series》 97 (2): 313–323. JSTOR 681964. doi:10.1525/aa.1995.97.2.02a00090. 
  3. Mühlhäusler, Peter; Tryon, Darrell T; Wurm, Stephen A (1996). 《Atlas of languag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 the Pacific, Asia and the Americas》. Walter de Gruyer & Co. 695쪽. ISBN 978-3-11-013417-9. 
  4. Suarez, Thomas (1999). 《Early Mapping of Southeast Asia》. Periplus Editions (HK) Ltd. 46–47쪽. ISBN 962-593-470-7. 
  5. S. Suporno (1979). 〈The Image of Majapahit in late Javanese and Indonesian Writing〉. A. Reid and D. Marr. 《Perceptions of the Past》. Southeast Asia publications 4. Singapore: Heinemann Books for the Asian Studies Association of Australia. 180쪽. 
  6. 6.0 6.1 “보관 된 사본”. 2010년 12월 1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6월 29일에 확인함. 
  7. 7.0 7.1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state.gov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제공한 텍스트가 없습니다
  8. Kent, Jonathan (2005년 3월 3일). “Chinese diaspora: Malaysia”. BBC News. 2010년 9월 21일에 확인함. 
  9. Luscombe, Stephen. “The Map Room: South East Asia: Malaya”. 2010년 9월 18일에 확인함. 
  10.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 a dictionary of arts, sciences, literature and general information”. 《Encyclopædia Britannica》. 2010년 10월 17일에 확인함. 
  11. Kuar, Amarjit. “International Migration and Governance in Malaysia: Policy and Performance” (PDF). University of New England. 2010년 5월 9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011년 12월 20일에 확인함. 
  12. J. M. Gullick (1967). 《Malaysia and Its Neighbours, The World studies series》. Taylor & Francis. 148–149쪽. ISBN 978-0-7100-4141-8. 
  13. Luscombe, Stephen. “The Map Room: South East Asia: North Borneo”. 2011년 7월 1일에 확인함. 
  14. Hock, David Koh Wee (2007). 《Legacies of World War II in South and East Asia》. Institute of Southeast Asian Studies, Singapore. 48쪽. ISBN 978-981-230-457-5. 
  15. Mahathir Mohamad (1999년 5월 31일). “Our Region, Ourselves”. 《Time》. 2010년 10월 26일에 확인함. 
  16. “MALAYA: Token Citizenship”. 《Time》. 1952년 5월 19일. 2010년 10월 26일에 확인함. 
  17. “The Malayan Emergency: 1948–1960”. Australian Government Department of Veteran Affairs. 2011년 7월 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