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호

개요

유교 문화권에서 죽은 군주나 신료를 기리기 위해 붙인 이름

벼슬한 사람이나 관직에 있던 선비들이 죽은 뒤에 그 행적에 따라 임금으로부터 받은 이름. 혹은 전대 군주가 죽은 다음에 후대 군주가 선대에 올리는 호칭.

죽은 이의 삶이나 업적을 평가하고 기리기 위한 호칭이다. 삶과 업적을 기리기 위한 것이므로 시호에 사용되는 글자들에는 모두 엄격한 의미가 정해져 있다. 시호를 받는 사람이 이미 죽었으므로,
어지간히 생전에 막장 암군, 폭군이 아니었으면 좋은 의미 글자로 만드는 편이다. 한편으로는 신하가 받는 시호 중에서 좋은 건 충, 무, 문 등이 있었다.

일반적으로 두 글자로 구성되기에 동양 군주의 시호는 보통 ××왕 또는 ××제(××황제)가 되며, 신료는 그 봉작에 맞춰 ××공, ××후가 된다. 다만 ××왕이라고 해서 모두 시호는 아니다. 시호가 사용되기 이전의 왕이나 멸망한 국가의 마지막 군주는 대부분 시호를 붙여줄 사람이 없어서 시호가 없이 이름 + 왕의 형태로 서술되기 때문인데, 고구려보장왕이나 백제 의자왕의 경우가 대표적이다. 그리고 삼국시대 초기에는 시호 제도가 없어 백제의 경우 온조왕부터 삼근왕 때까지, 신라의 경우 지증왕 때까지 이름 + 왕을 그대로 썼다.

군주나 군주의 정실부인의 경우, 처음부터 글자를 많이 넣어서 시호가 길거나 후대에 시호가 추가되어서 최종적인 시호가 엄청 길어지는 경우가 종종 있는데 이럴 경우엔 무슨 행사할 때 아니고서야 그 시호를 줄인 약칭을 일반적으로 사용한다. 시호는 고대에는 짧다가, 이후 시대가 갈수록 온갖 글자를 덧붙여 장황하게 길어지는 현상을 보인다. 길어지는 기준은 중국당나라, 한국은 당나라의 사례에 따른 고려시대부터다.

중국사군주들 역시 시호가 3~4글자였다가 당나라 이후부터 길어진다. 이 지경이 된 것은 대, 측천무후가 자신의 권위를 높이기 위해 자신의 존호[1]를 거창하게 지었고, 이게 전통으로 남아서 당현종 대에서도 그러했는데, 생각해보니 이러면 시호를 간단하게 지은 자신의 조상들이 초라해지는 것 같아서 이전 황제들의 시호에도 온갖 미사여구를 덕지덕지 붙여버렸기 때문이다.

  1. 재위 중인 군주의 호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