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디샤"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목차}} ==개요== '''임금들의 주군'''이라는 고대 근동의 극존칭에서 기원한 칭호로, 페르시아어로 '주인'을 뜻하는 'pad'와 '왕'을 뜻하는 '[...)
 
잔글 (→‎개요)
 
3번째 줄: 3번째 줄:
 
==개요==
 
==개요==
 
'''임금들의 주군'''이라는 고대 근동의 극존칭에서 기원한 칭호로, 페르시아어로 '주인'을 뜻하는 'pad'와 '왕'을 뜻하는 '[[샤]]'에 전치사(에저페, اضافه) '~e'를 붙여서 만들어진 존칭어(Pad-e şah)이다. [[샤한샤]](왕중왕)와 비슷한 뉘양스의 칭호라고 볼수 있다. 파디샤 호칭을 쓴 유명한 국가는 [[오스만 제국]],[* 흔히 오스만 황제를 칭할 때 쓰는 [[술탄]]은 동양식 개념으로 보면 '왕'이지 황제가 아니다. 동아시아로 치면 중국의 황제를 왕이라고 칭하는 거나 다름없다.] [[무굴 제국]] 등이 있다. 주로 [[이슬람]], [[중동]], [[페르시아]]에서 쓰이는 '''[[황제]]'''의 호칭. 과거 [[몽골]]의 부족 중 하나인 [[메르키트]]의 지도자 또한 파디샤라는 호칭을 썼다.
 
'''임금들의 주군'''이라는 고대 근동의 극존칭에서 기원한 칭호로, 페르시아어로 '주인'을 뜻하는 'pad'와 '왕'을 뜻하는 '[[샤]]'에 전치사(에저페, اضافه) '~e'를 붙여서 만들어진 존칭어(Pad-e şah)이다. [[샤한샤]](왕중왕)와 비슷한 뉘양스의 칭호라고 볼수 있다. 파디샤 호칭을 쓴 유명한 국가는 [[오스만 제국]],[* 흔히 오스만 황제를 칭할 때 쓰는 [[술탄]]은 동양식 개념으로 보면 '왕'이지 황제가 아니다. 동아시아로 치면 중국의 황제를 왕이라고 칭하는 거나 다름없다.] [[무굴 제국]] 등이 있다. 주로 [[이슬람]], [[중동]], [[페르시아]]에서 쓰이는 '''[[황제]]'''의 호칭. 과거 [[몽골]]의 부족 중 하나인 [[메르키트]]의 지도자 또한 파디샤라는 호칭을 썼다.
 +
 +
==여담==
 +
 +
==각주==
 +
[각주]
  
 
[[분류:파디샤]]
 
[[분류:파디샤]]

2024년 5월 17일 (금) 01:36 기준 최신판

개요

임금들의 주군이라는 고대 근동의 극존칭에서 기원한 칭호로, 페르시아어로 '주인'을 뜻하는 'pad'와 '왕'을 뜻하는 ''에 전치사(에저페, اضافه) '~e'를 붙여서 만들어진 존칭어(Pad-e şah)이다. 샤한샤(왕중왕)와 비슷한 뉘양스의 칭호라고 볼수 있다. 파디샤 호칭을 쓴 유명한 국가는 오스만 제국,[1] 무굴 제국 등이 있다. 주로 이슬람, 중동, 페르시아에서 쓰이는 황제의 호칭. 과거 몽골의 부족 중 하나인 메르키트의 지도자 또한 파디샤라는 호칭을 썼다.

여담

각주

  1. 흔히 오스만 황제를 칭할 때 쓰는 술탄은 동양식 개념으로 보면 '왕'이지 황제가 아니다. 동아시아로 치면 중국의 황제를 왕이라고 칭하는 거나 다름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