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조선국 명종"의 두 판 사이의 차이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4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14번째 줄: 14번째 줄:
 
||<-3><#972000> {{{#ffffff 형제자매}}} || 없음 ||
 
||<-3><#972000> {{{#ffffff 형제자매}}} || 없음 ||
 
||<-3><#972000> {{{#ffffff 배우자}}} || [[의정왕후]] ||
 
||<-3><#972000> {{{#ffffff 배우자}}} || [[의정왕후]] ||
||<-3><#972000> {{{#ffffff 자녀}}} || [[정순 공주]], [[효문 세자]](양자), 경원대군(양자) ||
+
||<-3><#972000> {{{#ffffff 자녀}}} || [[정순 공주]], [[효문 세자|효종]](양자), 경원대군(양자) ||
 
||<-3><#972000> {{{#ffffff 종교}}} || 유교 ||
 
||<-3><#972000> {{{#ffffff 종교}}} || 유교 ||
 
||<-3><#972000> {{{#ffffff 신장}}} || 177cm ||
 
||<-3><#972000> {{{#ffffff 신장}}} || 177cm ||
21번째 줄: 21번째 줄:
 
||<-3><#972000> {{{#ffffff 연호}}} || '''천평(天平)''' ||
 
||<-3><#972000> {{{#ffffff 연호}}} || '''천평(天平)''' ||
  
{{인용문| '''명종이라 함은 시대가 위태로울때 재위한 임금의 묘호이다. 명종대왕께서 즉위하실 때 조선이 매우 위태로운건 사실이니 명종이라는 묘호가 옳다.''' | '''2023년 8월 17일, 명종의 묘호가 확정될 때''' }}
+
'''조선의 제4대 국왕.''' 묘호는 명종(明宗), 시호는 헌의소문광숙경효대왕(獻毅昭文光肅敬孝大王), 휘는 연(䴏). 연호는 천평(天平).
  
'''조선의 제4대 국왕.''' 묘호는 '''종(明宗)''', 시호는 '''헌의소문광숙경효대왕(獻毅昭文光肅敬孝大王)'''이고 휘는 '''연(䴏)'''이다.  
+
[[대조선국 성종|성종]]과 [[원경왕후]]의 장남으로 태어나 왕세손(王世孫)으로 책봉되었다. 하지만 얼마 안 가 왕세자(王世子)에 책봉되었으며, 무려 '''114일'''간 왕위를 기다리다가 2023년 7월 1일 '''73세''' 라는 역사상 가장 고령의 나이로 즉위하였다. 명종의 재위 기간 초, 조선은 외세의 압박과 내부의 붕괴로 위태로웠지만 명종은 왕권을 안정시키고 조선을 정비하여 토대를 쌓았다.
  
[[대조선국 성종|성종]]과 [[원경왕후]]의 장남으로 태어났다. '''73세''' 라는 역사상 가장 많은 고령의 나이로 즉위하였다. 명종의 재위 기간 초, 조선은 위태로웠지만 중후반을 거치며 조선이 안정기에 들어서 명종은 왕권을 유지할 수 있었다. 부왕처럼 오래 장수한 끝에 101세로 훙서하였다. 명종은 성격이 강단스럽고 재위기간 동안 여러 공로를 세운 것으로 평가받는다.
+
==[[파일:조선왕조.png|width=30]] '''업적'''==
  
==[[파일:현재2.png|width=30]] '''즉위전 생애'''==
+
'''〈 정치 〉'''
 +
・ 사헌부와 승정원 재설치
 +
・ 과거제 재정비
 +
・ 한성판윤과 내의원 재설치
 +
・ 연호 재도입
 +
・ 효율적이며 실용적인 관직 확대
  
2023년 2월 10일, [[대조선국 성종|성종]]과 [[원경왕후]]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태어날 때 당시에는 왕세손이였다. 19일간 왕세손으로 재위한 끝에 2023년 3월 10일, 왕세자던 [[대조선국 성종|성종]]이 왕위에 오르며 조선의 왕세자가 되었다. 2023년 3월 26일 세자 책봉식을 치룬뒤 21세가 되던 4월 2일, 자신보다 한살 어린 여산 송씨의 [[의정왕후]]와 혼례를 맺게 된다. 이후 명종은 혼례를 치룬지 얼마 안된 4월 8일에 [[정순 공주]]를 보게 된다.
+
'''〈 경제 〉'''
 +
・ 경제와 토지 개혁
  
명종은 왕세자 시절 [[의정왕후]]와 반대로 '''백성들의 관심과 주목을 받지 않은채 아주 조용히 자랐다.''' 명종이 30대에 들어서던 4월 중순에 대왕대비 [[신덕왕후]], 왕대비 [[현덕왕후]], 왕비 [[원경왕후]]가 잇따라 세상을 떠나며 왕실 내에서 서열 2위가 되었다. 세자빈이던 [[의정왕후]]는 대내외적으로 많은 활동을 하며 백성들의 주목을 받았지만 명종은 백성들과 소통이 거의 없어 '''왕세자도 대내외적 활동을 해야하는게 아니냐'''라는 말들이 나오기도 하였다.
+
'''〈 문화 〉'''
 +
・ 카츠오브아이언 재오픈
 +
・ 조선 경기대회 개최
  
왕세자로 재위한지 100일에 들어서던 6월 중순부터 대내외적 활동을 갑자기 재개하였다. 하지만 언행 문제로 논란이 되기도 하였는데, 장녀 [[정순 공주]]가 쌍둥이 자녀를 낳자 공개적으로 불평하는 말들을 뱉었고, 왕세자로 오래 재위하며 왕위계승이 70대가 다 될때까지 되지 않자 부친 [[대조선국 성종|성종]]을 꼽을 주는 언행을 뱉기도 하였다.
+
'''〈 교육 〉'''
 
+
・ 성균관 폐지
==[[파일:현재2.png|width=30]] '''조선 국왕 즉위'''==
+
・ 홍문관 설치
 
+
・ 세자시강원과 세손강서원 재설치
7월 1일, 아버지 [[대조선국 성종|성종]]이 훙서하며 '''73세'''의 나이로 '''조선 제4대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역사상 왕세자로 가장 오래 재위하며 '''114일'''만에 왕위를 계승한 것이다. 명종은 백성들에게 선왕의 뜻을 이어받아 나라에 헌신을 다하겠다고 맹세하였다. 연호는 하늘 아래 평화롭게 한다는 뜻에서 '''천평(天平)'''이라 정하였다.
 
 
 
하지만 왕위에 오르자마자, 위기를 맞이하였다. 당시 조선이 내부의 정치적 문제 등을 두고 나라 곳곳의 기능이 붕괴되며 결국 본방이 터지는 사태까지 발생하였다. 이에 명종은 왕실 가족들과 함께 한성부를 나와 배를 타고 제주로 잠시 향하여 머물렀다. 얼마 안가서 다시 조선의 대부분 시스템이 복구 되기 시작하였다. 7월 24일에는 유일한 직계 장녀인 [[정순 공주]]가 향년 65세로 훙서하며 딸을 잃게 되었다.
 
 
 
재위기간중 문화 콘텐츠로는 카츠오브아이언이 수개월만에 다시 열렸고, 경기 대회가 개최되어 다양한 이벤트들이 열렸다. 정치적으로 명종이 세운 공로는 사헌부와 승정원을 설립한 것인데, 사헌부와 승정원을 통해 '''조선의 왕권을 강화'''시켰다. 그리고 문제가 많던 성균관을 '''폐지'''하여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와 토지를 개혁'''하였으며, 홍문관을 설립하여 '''시강원과 강서원 기능'''을 유지하게하였다. 또한 과거시험을 더욱 구체적으로 마련하고, 한성부, 내의원, 참판, 능참봉 등을 설치하여 백성들에게 일자리를 제공하고 실용적인 업무 구조를 만들었으며, 연호를 재도입하는 등 '''재위기간중 많은 공로를 쌓게된다.'''
 
 
 
8월 1일, [[정순 공주]]의 소생이자 자신의 손주인 진평군과 경원군을 양자로 들여 진평군을 왕세자로, 경원군을 대군으로 책봉하였다. 조선의 양자 기능이 활용된 것은 '''역사상 처음이였다.''' 하지만 양자로 들여진 8월 5일 [[효문 세자]]가 훙서하고, 안 그래도 상태가 좋지 않던 [[의정왕후]]가 다음날 훙서하며 국모와 국본의 자리가 비게 되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에 [[효문 세자]]의 장남으로 6일에 태어난 원손 이황을 13일에 조선 왕세손으로 책봉하며 차기 보위를 이을 후계자를 마련하였다.
 
 
 
8월 12일에는 고인물이던 이무관이 사망하는 일이 발생하여, 명종은 그를 '''영의정'''으로 추승하고 '''대군'''에 준하는 국가장을 열어주었다. 그러다 재위 50일인 금경축을 이틀 앞둔 8월 17일 오후 9시, 명종은 48일간 왕위를 재위한 끝에 향년 '''101세'''로 강녕전에서 훙서하였다.
 
 
 
==[[파일:현재2.png|width=30]] '''가족 관계'''==
 
----
 
||<tablebordercolor=#972000; width=600px; table align=center><#972000><:> {{{#ffffff '''자녀'''}}} ||<#972000><:> {{{#ffffff '''이름'''}}} ||<#972000><:> {{{#ffffff '''출생'''}}} ||<#972000><:> {{{#ffffff '''배우자/자녀'''}}} ||
 
||<#E6FFFF> 1녀 ||<#E6FFFF> [[정순 공주]] ||<#E6FFFF> 2023년 4월 8일 ||<#E6FFFF> 덕흥군 <br> [[효문 세자]], 경원 대군 ||
 
 
 
==[[파일:현재2.png|width=30]] '''평가'''==
 
 
 
・학구열 : 공부나 학업은 관심이 없었다고 한다.
 
 
 
・성품 : 늘 이성적인 판단을 하였으며 이는 부친 [[대조선국 성종|성종]]과 성격이 비슷하였다.
 
 
 
・치적 : 조선의 정치, 경제 분야를 크게 변화 시킨 공로를 세웠다.
 
 
 
・외모 : 피부색이 밝았다고 하며 눈은 작았다고 한다.
 
 
 
・가정사 : 장녀인 [[정순 공주]]가 자신보다 먼저 훙서하고, 잇따라 [[효문 세자]]와 [[의정왕후]], [[해주부부인 정씨]]가 잇따라 죽으며 재위기간중 많은 왕실 가족들이 죽는 고통을 겪었다.
 

2023년 12월 5일 (화) 00:04 기준 최신판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국왕
[ 펼치기 · 접기 ]
초대
태조
제2대
인종
제3대
성종
제4대
명종
제5대
문종
제6대
영조
제7대
헌종
제8대
시호 미정
조선왕조.png
대조선국 왕세자
[ 펼치기 · 접기 ]
태조 대
이경
인종 대
이제
성종 대
이연
명종 대
이행
문종 대
이역
영조 대
이산
헌종 대
이향
이향 대
이율
조선 제4대 국왕
명종 | 明宗
명종어진.png
출생2023년 2월 20일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존현각
즉위2023년 7월 1일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근정전
사망2023년 8월 17일 (향년 101세)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강녕전
양릉(陽陵)
재위기간2023년 7월 1일 ~ 2023년 8월 17일 (48일)
본관전주 이씨
연(䴏)
부모부왕 성종, 모후 원경왕후
형제자매없음
배우자의정왕후
자녀정순 공주, 효종(양자), 경원대군(양자)
종교유교
신장177cm
묘호명종(明宗)
시호헌의소문광숙경효대왕(獻毅昭文光肅敬孝大王)
연호천평(天平)

조선의 제4대 국왕. 묘호는 명종(明宗), 시호는 헌의소문광숙경효대왕(獻毅昭文光肅敬孝大王), 휘는 연(䴏). 연호는 천평(天平).

성종원경왕후의 장남으로 태어나 왕세손(王世孫)으로 책봉되었다. 하지만 얼마 안 가 왕세자(王世子)에 책봉되었으며, 무려 114일간 왕위를 기다리다가 2023년 7월 1일 73세 라는 역사상 가장 고령의 나이로 즉위하였다. 명종의 재위 기간 초, 조선은 외세의 압박과 내부의 붕괴로 위태로웠지만 명종은 왕권을 안정시키고 조선을 정비하여 토대를 쌓았다.

조선왕조.png 업적

〈 정치 〉
・ 사헌부와 승정원 재설치
・ 과거제 재정비
・ 한성판윤과 내의원 재설치
・ 연호 재도입
・ 효율적이며 실용적인 관직 확대

〈 경제 〉
・ 경제와 토지 개혁

〈 문화 〉
・ 카츠오브아이언 재오픈
・ 조선 경기대회 개최

〈 교육 〉
・ 성균관 폐지
・ 홍문관 설치
・ 세자시강원과 세손강서원 재설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