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사도"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목차] ==개요== {{인용문1|12사도의 이름은 이러하다. 베드로라고 하는 시몬과 그의 동생 안드레아를 비롯하여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와...)
 
3번째 줄: 3번째 줄:
 
==개요==
 
==개요==
 
{{인용문1|12사도의 이름은 이러하다. 베드로라고 하는 시몬과 그의 동생 안드레아를 비롯하여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와 요한 형제, 필립보와 바르톨로메오, 토마스와 세리였던 마태오,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와 타대오, 가나안 사람 시몬, 그리고 [[예수]]를 팔아 넘긴 가리옷 사람 유다이다.|[[공동번역 성서]], [[마태오의 복음서]] 10장 2~4절}}
 
{{인용문1|12사도의 이름은 이러하다. 베드로라고 하는 시몬과 그의 동생 안드레아를 비롯하여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와 요한 형제, 필립보와 바르톨로메오, 토마스와 세리였던 마태오,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와 타대오, 가나안 사람 시몬, 그리고 [[예수]]를 팔아 넘긴 가리옷 사람 유다이다.|[[공동번역 성서]], [[마태오의 복음서]] 10장 2~4절}}
 +
[[예수]]가 특별히 뽑은 제자 12명을 [[기독교]]에서 일컫는 말. 굳이 12명인 이유는 [[히브리인]]의 [[12지파|12개의 지파]]를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다. 과거 [[한국 천주교]]에서는 ''''종도''''(宗徒)라고도 불렀다.
  
 +
12사도들도 다른 제자들처럼 예수의 추종자들이지만, 차이가 있다면 이 12명은 예수가 직접 선택한 인원들이고 나머지는 자의로 따르는 자들이다.  [[킹 제임스 성경]]에 보면 12제자를 Disciple 로 표기한다.
 +
 +
'사도'라고 번역한 [[그리스어]] '아포스톨로스'를 어원적으로 분석하면 '(어떤 곳으로부터 파견받아) 나가는 자'라는 뜻이다. 예수의 명령을 받아 이곳 저곳 돌아다니며 교회를 세운 사도들의 행적을 생각하면 왜 '아포스톨로스'라는 단어를 사용했는지 이해할 수 있다.  우리말 번역어 사도(使徒)는 (예수의 명령으로) 외부로 파견된 제자라는 뜻이다. 이는 예수가 십자가 수난으로부터 부활한 후 재회한 사도들에게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셨듯이, 나도 너희를 보낸다"(요한복음 20장 21절)라고 선포하며 승천한 것에서 유래한다. 사(使)라는 한자가 대사(大使), 차사(差使), 사신(使臣)이란 단어에서도 나타나듯, 윗전의 명령을 받아 외부로 파견되는 사람에게 쓰인다.
 
----
 
----
 
[[분류:12사도]]
 
[[분류:12사도]]

2023년 12월 7일 (목) 19:03 판

목차

개요

12사도의 이름은 이러하다. 베드로라고 하는 시몬과 그의 동생 안드레아를 비롯하여 제베대오의 아들 야고보와 요한 형제, 필립보와 바르톨로메오, 토마스와 세리였던 마태오,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와 타대오, 가나안 사람 시몬, 그리고 예수를 팔아 넘긴 가리옷 사람 유다이다.
공동번역 성서, 마태오의 복음서 10장 2~4절

예수가 특별히 뽑은 제자 12명을 기독교에서 일컫는 말. 굳이 12명인 이유는 히브리인12개의 지파를 염두에 두었기 때문이다. 과거 한국 천주교에서는 '종도'(宗徒)라고도 불렀다.

12사도들도 다른 제자들처럼 예수의 추종자들이지만, 차이가 있다면 이 12명은 예수가 직접 선택한 인원들이고 나머지는 자의로 따르는 자들이다. 킹 제임스 성경에 보면 12제자를 Disciple 로 표기한다.

'사도'라고 번역한 그리스어 '아포스톨로스'를 어원적으로 분석하면 '(어떤 곳으로부터 파견받아) 나가는 자'라는 뜻이다. 예수의 명령을 받아 이곳 저곳 돌아다니며 교회를 세운 사도들의 행적을 생각하면 왜 '아포스톨로스'라는 단어를 사용했는지 이해할 수 있다. 우리말 번역어 사도(使徒)는 (예수의 명령으로) 외부로 파견된 제자라는 뜻이다. 이는 예수가 십자가 수난으로부터 부활한 후 재회한 사도들에게 "아버지께서 나를 보내셨듯이, 나도 너희를 보낸다"(요한복음 20장 21절)라고 선포하며 승천한 것에서 유래한다. 사(使)라는 한자가 대사(大使), 차사(差使), 사신(使臣)이란 단어에서도 나타나듯, 윗전의 명령을 받아 외부로 파견되는 사람에게 쓰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