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햄스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55번째 줄: 55번째 줄:
  
 
난쟁이햄스터 또는 드워프햄스터는 크게 일반적으로 기르는 종인 윈터 화이트 드워프 햄스터 종과 이와 비슷한 생긴 캠벨 드워프 햄스터 종이 있는데 캠벨은 윈터 화이트에 비해 성격이 매우 좋지 못한 탓에 애완동물로서의 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국내에선 윈터 화이트에 밀려나서 거의 찾아보기 힘들어졌고 최근에 검정색 개체와 검정+흰색 무늬 개체가 팬시 햄스터라는 이름으로 다시 들어왔다.
 
난쟁이햄스터 또는 드워프햄스터는 크게 일반적으로 기르는 종인 윈터 화이트 드워프 햄스터 종과 이와 비슷한 생긴 캠벨 드워프 햄스터 종이 있는데 캠벨은 윈터 화이트에 비해 성격이 매우 좋지 못한 탓에 애완동물로서의 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국내에선 윈터 화이트에 밀려나서 거의 찾아보기 힘들어졌고 최근에 검정색 개체와 검정+흰색 무늬 개체가 팬시 햄스터라는 이름으로 다시 들어왔다.
 +
 +
===동족 포식===
 +
햄스터를 관리하는 방식의 경우 가장 많이 언급하는 말이 햄스터들은 자신의 새끼를 잡아 먹는다는 말일 것이다. 햄스터가 바로 '잔인한 동물'이라는 걸 생각할 정도로 카니발리즘(동족 포식)은 잘 알려져 있다. 새끼를 잡아먹었다든지, 두 마리를 키우는데 밥을 며칠 주지 않았더니 한쪽이 백골이 되어 있었다는 등의 이야기는 전부 사실이기는 하지만, 양육을 포기하고 새끼를 죽여서 잡아먹거나, 동족의 시체를 먹는 현상은 자연에서는 매우 흔하게 관찰되고 햄스터뿐만 아니라 다른 [[애완동물]]한테도 간혹 있는 행동이다. 그러나 애완동물로 흔히 키우는 [[포유류]] 중에서는 햄스터가 작은 체구에 입양가도 싼 탓에 쉽게 보고 제대로 된 지식 없이 키우는데다 이러한 동족 포식이 다른 동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목격 되는 횟수가 많아서, 유독 햄스터에 국한해서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영어 위키피디아에서도 카니발리즘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카니발리즘이 일어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
* '''어미 햄스터가 새끼를 죽이거나 잡아먹는 경우'''
 +
  * 새끼가 이미 죽었을 때.
 +
  * 외부의 침입자가 새끼를 건드리거나 훔쳐 보거나 먹이가 부족한 등 새끼를 키우기 어려운 환경이라고 판단 될 때.[* 특히 초산]
 +
  * 새끼가 성적 성숙이 이루어지고 나서도 좁은 공간에 계속 같이 살고 있을 때.
 +
  * 사람이 어미 햄스터에게 [[스트레스]]를 많이 주었을 때.
 +
 +
* '''다 큰 햄스터끼리의 카니발리즘'''
 +
  * 합사로 인한 스트레스.
 +
 +
아래 항목의 사육법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햄스터는 자기만의 영역을 갖고 생활하는 동물이며 그 중에서도 [[골든햄스터]]는 철저한 영역동물 이라서 '''햄스터 한 마리에 케이지 하나'''가 절대적으로 지켜져야 한다. 이러한 종의 특성을 무시한 채 사육장에 다 같이 키운다면 꽤 높은 확률로 몇 마리가 핏자국만 남기고 사라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교배를 목적으로 하더라도 [[짝짓기]] 이후에 곧바로 분리해 주어야 한다. 그나마 [[드워프햄스터]]는 어느 정도 사회성이 있고,[* 캠벨은 소규모 무리 생활을 하며 '준가리안 햄스터(Djungarian hamster)'는 무리 생활은 하지 않지만, 번식기에 암컷, 수컷이 함께 있는 모습이 가끔 포착된다고 한다.] 드워프햄스터는 야생에서도 무리 생활을 하는 경우가 있어서 비교적 쉽다고 알려져있지만 제일 안전한 것은 1마리 단독 사육이다. 해외에서는 드워프햄스터 종도 합사를 하지 않으며 순혈의 캠벨 햄스터만 합사한다.[* 그러나 혈종이 섞인 경우가 많아 햄스터 1마리, 케이스 하나를 권장한다.] 준가리안 햄스터(Djungarian hamster)는 위에서 설명한 대로 야생에서는 무리 생활을 하지 않고 번식기 때 암컷, 수컷 한 쌍이 같이 있는 경우가 포착 되는 것이 전부이기 때문에 한국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거의 케이지 한 공간에 햄스터 1마리로만 키운다. 애초에 한국에서 다량으로 팔려 나가며 카니발리즘의 악명을 쌓아나간 종이 바로 준가리안 햄스터(Djungarian hamster)이다.
 +
 +
암컷, 수컷을 번식 목적으로 합사를 하더라도 발정기 때만 붙여두고 바로 분리해 주는 것이 좋다. 임신한 암컷은 수컷에게 공격적으로 대하기 때문이다. 아주 간혹 같이 잘 지내는 경우도 있지만 이때 계속 합사를 시키면 휴지기 없는 무한 임신 때문에 새끼 수가 감당 못 하게 늘어날 것이다. 잦은 출산은 암컷의 건강에도 치명적이다. 암컷, 수컷이 공동 육아를 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그러므로 암컷이 임신을 한 경우에 반드시 수컷을 분리해 주어야 한다.
 +
 +
발정기 때의 암컷은 몹시 공격적으로 변하고 두 발로 서서 경계하며 주인의 손을 공격하거나 물기도 한다. 특히 짝짓기를 한 번도 못 한 나이 든 암컷은 늘 공격적인 상태가 되기도 한다. 애초에 인간이 인위적으로 늙어 죽을 때까지 수컷과 짝짓기도 못 하게 하는 것이니 암컷의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닌 것은 당연하다.
 +
 +
그러나 드워프햄스터들이 무리 생활을 한다고 해도 야생에서 정상적이면 영역이 수 킬로미터에 각자 거대한 굴을 파서 생활하는 애들을 커봐야 120리터 리빙 박스만 한데 여러 마리를 같이 있게 한다면 이는 당연히 정상적인 합사 환경이라고 볼 수 있을리 없다. 아예 동물원 코너 마냥 여유 있는 사육장을 조성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특히 한국 커뮤니티 등에 합사를 문의하는 사람은 백이면 백 제대로 된 환경에 대해 이해가 없는 사람이기 때문에 합사에 대한 이야기는 금기처럼 다루어진다.
 +
 +
만약 합사를 시행한다면 '''같이 태어나서 함께 자란''', '''동성'''의 햄스터를 8주 이하일 때부터 같이 키우는 게 필수적이다. [[http://www.chahamsters.org/socdwarf.html|관련 칼럼]]. 일반적으로 드워프햄스터는 합사가 수월한 편이나 언제 공격적으로 돌변 할지 모르므로, 언제든지 중단하고 분리할 준비가 꼭 되어 있어야 한다. 몇 시간 안 보는 사이에 이미 공격으로 죽을 가능성도 있다.
 
----
 
----
 
[[분류:비단털쥐아과]]
 
[[분류:비단털쥐아과]]

2023년 12월 23일 (토) 20:01 판

햄스터
Hamster
N2PTMP8QeWJ7KlHRftOT8TVxDIfvlxBG-9Zhm2v16jkP1fi8fXfoJJTjr4F-vxXpsn5bj-rbRO93RyyQEWzPH6degUWqFRcSty2Xf25GkTxBDHLYetUzkGCqpxZWUB9ShEd-RYA48RsfbDBFXWa9LA.webp
학명 Cricetinae
(Fischer de Waldheim, 1817)
분류
동물계Animalia
척삭동물문Chordata
포유강Mammalia
설치목Rodentia
상과 쥐상과Muroidea
비단털쥐과Cricetidae
아과 비단털쥐아과Cricetinae

개요

설치목 비단털쥐과 비단털쥐아과에 속한 포유류이다. 한국에서는 1990년대에 들어서부터 애완동물로 널리 사육되기 시작했다.

화석상의 기록으로는 유럽과 북아프리카의 중신세 중기인 1640만 년~1120만 년 전으로 지층에서 발견된 것이 최초이다.

햄스터는 이미 1839년 G.R.워터하우스에 의해 과학적으로 분류되었으나, 성공적으로 사육 및 번식이 시작된 것은 현재 기준으로 93년 정도밖에 지나지 않았다. 1930년 시리아의 알레포 지역에서 채집된 암컷 1마리와 새끼 12마리가 최초이며, 이 때 이 13마리가 현재 사육되는 골든햄스터의 시초가 되었다.

특징

종류

종류는 다양하지만 그중에서도 반려용으로 인기가 많은 햄스터는 골든햄스터난쟁이햄스터로 나뉜다.[1]

비단털쥐속에 속하는 종은 보통 반려용으로 기르는 것을 찾아보기 힘들며, 흔히 햄스터라고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와는 달리 꼬리가 길어 보다 다른 쥐와 유사하다. 비단털등줄쥐속에 속한 햄스터들도 크기가 작아서 '긴-꼬리 드워프햄스터, 회색 드워프햄스터' 같은 식으로 종명이 붙여져 있긴 한데 반려용으로 길러지는 경우는 적다. 그나마 차이니즈 햄스터(C. griseus)가 반려용으로 길러지긴 하지만 동종의 다른 햄스터에게 유난히 더 공격적이어서 교배가 어렵기 때문에 널리 퍼지지 못했다.

놀라운 사실은 한반도에도 햄스터가 자생한다는 것이다. 비단털등줄쥐(C. barabensis)와 비단털쥐(T. triton)라는 종류이며, 한반도에 자생하는 둘 뿐인 햄스터지만 중국 북부와 북한[2]에만 살기 때문에 남한에서는 볼 수 없다. 생김새는 중국햄스터와 비슷하게 생겼지만 반려용으로 길러지지는 않는다.

종종 팬더마우스를 햄스터라고 착각하기는 하나, 같은 설치류인데다 꼬리를 잘라 햄스터처럼 보이게 하는 경우가 있기는 하지만 햄스터가 아니다. 이쪽은 생쥐의 개량종이다.

유럽햄스터라는 종류도 있는데, "검은배햄스터"라고도 불린다. 다른 햄스터들보다 크고(골든 햄스터보다도 크다.) 사납기 때문에 자칫하다가는 물려서 큰 상처가 날 수도 있다. 주로 야생 개체가 많은데. 일부 사람은 이 햄스터를 반려용으로 키우는 사람도 드물게 있긴 하며. 수명은 10년 정도나 된다고 한다.

유럽햄스터는 현대 농업 특성상 단일 작물을 대규모로 키우는 탓에 인간으로 부터 획득하는 먹이가 획일화 되어 영양실조에 시달리고 있다고 한다.

난쟁이햄스터 또는 드워프햄스터는 크게 일반적으로 기르는 종인 윈터 화이트 드워프 햄스터 종과 이와 비슷한 생긴 캠벨 드워프 햄스터 종이 있는데 캠벨은 윈터 화이트에 비해 성격이 매우 좋지 못한 탓에 애완동물로서의 매력이 떨어지기 때문에 국내에선 윈터 화이트에 밀려나서 거의 찾아보기 힘들어졌고 최근에 검정색 개체와 검정+흰색 무늬 개체가 팬시 햄스터라는 이름으로 다시 들어왔다.

동족 포식

햄스터를 관리하는 방식의 경우 가장 많이 언급하는 말이 햄스터들은 자신의 새끼를 잡아 먹는다는 말일 것이다. 햄스터가 바로 '잔인한 동물'이라는 걸 생각할 정도로 카니발리즘(동족 포식)은 잘 알려져 있다. 새끼를 잡아먹었다든지, 두 마리를 키우는데 밥을 며칠 주지 않았더니 한쪽이 백골이 되어 있었다는 등의 이야기는 전부 사실이기는 하지만, 양육을 포기하고 새끼를 죽여서 잡아먹거나, 동족의 시체를 먹는 현상은 자연에서는 매우 흔하게 관찰되고 햄스터뿐만 아니라 다른 애완동물한테도 간혹 있는 행동이다. 그러나 애완동물로 흔히 키우는 포유류 중에서는 햄스터가 작은 체구에 입양가도 싼 탓에 쉽게 보고 제대로 된 지식 없이 키우는데다 이러한 동족 포식이 다른 동물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목격 되는 횟수가 많아서, 유독 햄스터에 국한해서 언급되는 경우가 많다. 영어 위키피디아에서도 카니발리즘을 상세히 설명하고 있다. 카니발리즘이 일어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 어미 햄스터가 새끼를 죽이거나 잡아먹는 경우
    • 새끼가 이미 죽었을 때.
    • 외부의 침입자가 새끼를 건드리거나 훔쳐 보거나 먹이가 부족한 등 새끼를 키우기 어려운 환경이라고 판단 될 때.[3]
    • 새끼가 성적 성숙이 이루어지고 나서도 좁은 공간에 계속 같이 살고 있을 때.
    • 사람이 어미 햄스터에게 스트레스를 많이 주었을 때.
  • 다 큰 햄스터끼리의 카니발리즘
    • 합사로 인한 스트레스.

아래 항목의 사육법을 보면 알 수 있듯이 햄스터는 자기만의 영역을 갖고 생활하는 동물이며 그 중에서도 골든햄스터는 철저한 영역동물 이라서 햄스터 한 마리에 케이지 하나가 절대적으로 지켜져야 한다. 이러한 종의 특성을 무시한 채 사육장에 다 같이 키운다면 꽤 높은 확률로 몇 마리가 핏자국만 남기고 사라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을 것이다. 즉 교배를 목적으로 하더라도 짝짓기 이후에 곧바로 분리해 주어야 한다. 그나마 드워프햄스터는 어느 정도 사회성이 있고,[4] 드워프햄스터는 야생에서도 무리 생활을 하는 경우가 있어서 비교적 쉽다고 알려져있지만 제일 안전한 것은 1마리 단독 사육이다. 해외에서는 드워프햄스터 종도 합사를 하지 않으며 순혈의 캠벨 햄스터만 합사한다.[5] 준가리안 햄스터(Djungarian hamster)는 위에서 설명한 대로 야생에서는 무리 생활을 하지 않고 번식기 때 암컷, 수컷 한 쌍이 같이 있는 경우가 포착 되는 것이 전부이기 때문에 한국뿐만 아니라 해외에서도 거의 케이지 한 공간에 햄스터 1마리로만 키운다. 애초에 한국에서 다량으로 팔려 나가며 카니발리즘의 악명을 쌓아나간 종이 바로 준가리안 햄스터(Djungarian hamster)이다.

암컷, 수컷을 번식 목적으로 합사를 하더라도 발정기 때만 붙여두고 바로 분리해 주는 것이 좋다. 임신한 암컷은 수컷에게 공격적으로 대하기 때문이다. 아주 간혹 같이 잘 지내는 경우도 있지만 이때 계속 합사를 시키면 휴지기 없는 무한 임신 때문에 새끼 수가 감당 못 하게 늘어날 것이다. 잦은 출산은 암컷의 건강에도 치명적이다. 암컷, 수컷이 공동 육아를 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그러므로 암컷이 임신을 한 경우에 반드시 수컷을 분리해 주어야 한다.

발정기 때의 암컷은 몹시 공격적으로 변하고 두 발로 서서 경계하며 주인의 손을 공격하거나 물기도 한다. 특히 짝짓기를 한 번도 못 한 나이 든 암컷은 늘 공격적인 상태가 되기도 한다. 애초에 인간이 인위적으로 늙어 죽을 때까지 수컷과 짝짓기도 못 하게 하는 것이니 암컷의 스트레스가 이만저만이 아닌 것은 당연하다.

그러나 드워프햄스터들이 무리 생활을 한다고 해도 야생에서 정상적이면 영역이 수 킬로미터에 각자 거대한 굴을 파서 생활하는 애들을 커봐야 120리터 리빙 박스만 한데 여러 마리를 같이 있게 한다면 이는 당연히 정상적인 합사 환경이라고 볼 수 있을리 없다. 아예 동물원 코너 마냥 여유 있는 사육장을 조성하는 경우는 거의 없고, 특히 한국 커뮤니티 등에 합사를 문의하는 사람은 백이면 백 제대로 된 환경에 대해 이해가 없는 사람이기 때문에 합사에 대한 이야기는 금기처럼 다루어진다.

만약 합사를 시행한다면 같이 태어나서 함께 자란, 동성의 햄스터를 8주 이하일 때부터 같이 키우는 게 필수적이다. 관련 칼럼. 일반적으로 드워프햄스터는 합사가 수월한 편이나 언제 공격적으로 돌변 할지 모르므로, 언제든지 중단하고 분리할 준비가 꼭 되어 있어야 한다. 몇 시간 안 보는 사이에 이미 공격으로 죽을 가능성도 있다.


  1. 정글리안, 펄, 사파이어는 애초에 품종이 같으며 모색의 차이이고, 로보로프스키 역시 드워프로 묶인다.
  2. 그것도 압록강 하구와 육진 지방에 국소적으로 분포한다.
  3. 특히 초산
  4. 캠벨은 소규모 무리 생활을 하며 '준가리안 햄스터(Djungarian hamster)'는 무리 생활은 하지 않지만, 번식기에 암컷, 수컷이 함께 있는 모습이 가끔 포착된다고 한다.
  5. 그러나 혈종이 섞인 경우가 많아 햄스터 1마리, 케이스 하나를 권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