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04번째 줄: 104번째 줄:
 
||<:>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 ||||||||||||||||||<:> 예선 탈락 ||
 
||<:>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 ||||||||||||||||||<:> 예선 탈락 ||
 
||<rowbgcolor=#FFA7A7><:> [[1982 스페인 월드컵]] ||<:> 조별리그 ||<:> 21위 ||<:> 1 ||<:> 3 ||<:> 0 ||<:> 1 ||<:> 2 ||<:> 2 ||<:> 6 ||
 
||<rowbgcolor=#FFA7A7><:> [[1982 스페인 월드컵]] ||<:> 조별리그 ||<:> 21위 ||<:> 1 ||<:> 3 ||<:> 0 ||<:> 1 ||<:> 2 ||<:> 2 ||<:> 6 ||
||<rowbgcolor=#FFA7A7><:> [[1986 멕시코 월드컵]] ||||||||||||||||||<:> 예선 탈락 ||
+
||<:> [[1986 멕시코 월드컵]] ||||||||||||||||||<:> 예선 탈락 ||
 
||<rowbgcolor=#F0E68C><:> [[1990 이탈리아 월드컵]] ||<:> '''4강''' ||<:> 4위 ||<:> 12 ||<:> 7 ||<:> 3 ||<:> 1 ||<:> 2 ||<:> 10 ||<:> 11 ||
 
||<rowbgcolor=#F0E68C><:> [[1990 이탈리아 월드컵]] ||<:> '''4강''' ||<:> 4위 ||<:> 12 ||<:> 7 ||<:> 3 ||<:> 1 ||<:> 2 ||<:> 10 ||<:> 11 ||
 
||<rowbgcolor=#CEF279><:> [[1994 미국 월드컵]] ||<:> 16강 ||<:> 12위 ||<:> 4 ||<:> 4 ||<:> 2 ||<:> 0 ||<:> 2 ||<:> 5 ||<:> 6 ||
 
||<rowbgcolor=#CEF279><:> [[1994 미국 월드컵]] ||<:> 16강 ||<:> 12위 ||<:> 4 ||<:> 4 ||<:> 2 ||<:> 0 ||<:> 2 ||<:> 5 ||<:> 6 ||
112번째 줄: 112번째 줄:
 
||<rowbgcolor=#B2CCFF><:> [[2010 남아공 월드컵]] ||<:> 8강 ||<:> 8위 ||<:> 6 ||<:> 5 ||<:> 1 ||<:> 3 ||<:> 1 ||<:> 3 ||<:> 2 ||
 
||<rowbgcolor=#B2CCFF><:> [[2010 남아공 월드컵]] ||<:> 8강 ||<:> 8위 ||<:> 6 ||<:> 5 ||<:> 1 ||<:> 3 ||<:> 1 ||<:> 3 ||<:> 2 ||
 
||<rowbgcolor=#FFA7A7> [[2014 브라질 월드컵]] ||<:> 조별리그 ||<:> 28위 ||<:> 1 ||<:> 3 ||<:> 0 ||<:> 1 ||<:> 2 ||<:> 1 ||<:> 4 ||
 
||<rowbgcolor=#FFA7A7> [[2014 브라질 월드컵]] ||<:> 조별리그 ||<:> 28위 ||<:> 1 ||<:> 3 ||<:> 0 ||<:> 1 ||<:> 2 ||<:> 1 ||<:> 4 ||
||<rowbgcolor=#CEF279><:> [[2018 러시아 월드컵]] ||<:> 16강 ||<:> 11위 ||<:> 6 ||<:> 4 ||<:> 1 ||<:> 3 ||<:> 0 ||<:> 3 ||<:> 2 ||
+
||<rowbgcolor=#B2CCFF><:> [[2018 러시아 월드컵]] ||<:> 8강 ||<:> 8위 ||<:> 8 ||<:> 5 ||<:> 2 ||<:> 2 ||<:> 1 ||<:> 6 ||<:> 6 ||
 
||<:> [[2022 카타르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 [[2022 카타르 월드컵]] ||<:> ? ||<:> ? ||<:> ? ||<:> ? ||<:> ? ||<:> ? ||<:> ? ||<:> ? ||<:> ? ||
||<:> 합계 ||<:> 8강(2회), 16강(4회) ||<:> 13/20[* 월드컵 본선 출전 비율] ||<:> 43 ||<:> 43 ||<:> 9 ||<:> 18 ||<:> 21 ||<:> 29 ||<:> 67 ||
+
||<:> 합계 ||<:> '''4위''' (1회)[br] '''8강''' (2회)[br] '''16강''' (2회) ||<:> 13/20[* 월드컵 본선 출전 비율] ||<:> 46 ||<:> 47 ||<:> 10 ||<:> 20 ||<:> 20 ||<:> 39 ||<:> 70 ||
  
 
=== 아시안컵 ===
 
=== 아시안컵 ===

2018년 11월 6일 (화) 18:59 판

월본 축구 로고.png
월본 축구 국가대표팀
Wubon National Football Team
FIFA 코드Wub
협회월본축구협회 (WFA)
연맹아시아 축구 연맹 (AFC)
지역연맹아세안 축구 연맹 (AFF)
감독윤정환 (尹晶煥)
주장이민성 (李敏聖)
최다출전자오우현 (吳佑賢) 146경기
최다득점자유성일 (柳盛逸) 67골
홈구장조번 윤진 경기장
라이벌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 - 한국계 더비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 태평양 더비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 - 동남권 더비
인도네시아 축구 국가대표팀 - 해협 더비
첫 국제경기 출전VS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0:2 승), 월본 조번 (1922년 6월 17일)
최다 점수차 승리VS 아프가니스탄 축구 국가대표팀 (16:0 승), 아프가니스탄 카불 (1994년 1월 6일)
최다 점수차 패배VS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1:9 패), 브라질 상파울루 (1965년 6월 5일)
별칭항해사들, 파란 선구자들
월드컵출전 12회, 8강 2회 (1990,2010), 16강 4회 (1994,2002,2014,2018)
컨페더레이션스컵출전 2회
아시안컵출전 16회, 우승 5회 (1964, 1980, 1988, 2004, 2011)[1]
동아시안컵출전 5회, 우승 2회 (2003,2010)
올림픽출전 8회 (1956, 1988, 1992, 1996, 2000, 2004, 2008, 2016)
FIFA 랭킹34위(2018.11)
Pride of Asia, Wubon!
유니폼어웨이
상의파랑하양
하의하양하양
양말파랑하양

개요

현재 아시아 최강팀

월본축구협회 산하의 월본의 축구 국가대표팀. 아시아에서 정상급의 실력을 가졌다 인정받고 있으며, 실제로 월드컵 8강 2회, 16강 4회로 세계 축구계에서도 통할 실력을 가졌다고 평가받는 팀이다.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에서 디펜딩 챔피언 아르헨티나를 1대0으로 이긴 뒤 8강까지 오르는 돌풍을 일으켰으며, 동시대 선전한 한국, 일본 대표팀과 함께 아시아 축구팀 돌풍의 문을 연 팀이라고 평가받으며 아시아 팀들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다. 그 이후에도 연속 출전하며 8강 1번, 16강 4번으로 아시아 축구에서 가장 정상급의 실력을 가졌다고 평가받는다.

역사

태동기 (1920~1930년대)

시련의 시기 (1940~60년대)

발전의 시기 (1970~80년대)

아시아 첫 8강, 두번의 16강 (90~00년대)

황금세대 (10년대 ~ 현재)

라이벌

대한민국 - 한국계 더비

한일전과 함께 동아시아 최고의 더비

한국과 월본 모두 한국계이기에 한국계 더비라고 칭한다.

일본 - 태평양 더비

프랜들리 더비라고 하지만, 은근히 신경전이 많이 일어나는 더비

월본과 일본이 매우 사이가 좋기에 이 더비는 프랜들리 더비 성격을 띄고 있다고 하며 실제로 친선 경기에서는 그런 모습이 보이지만, 국제 리그로 가면 분위기는 180도 달라진다.

호주 - 동남권 더비

2000년대 들어서 주목받기 시작한 더비

호주의 축구 실력이 2000년대부터 급격히 상승하고 있고, 호주축구협회는 이에 따라 월본축구협회와 함께 공조하여 양국 및 아시아의 축구 발전을 위해 호주-월본간 더비를 공식화하고 인기몰이를 위해 노력중이다.

인도네시아 - 해협 더비

1970년대까지는 실력과 인기를 동반한 더비, 그러나 현재는 급격히 몰락해 이름만 남은 더비

1938년 프랑스 월드컵 예선부터 시작해 이웃국가로서 꽤 빈번한 라이벌리를 가지게 되었고, 실제로 월본과 인도네시아는 역사적인 문제[2]도 있기 때문에 축구 더비의 열기가 매우 뜨거웠다. 그러나 1960년대부터 인도네시아 축구가 몰락하기 시작하면서 더비로서 의미가 퇴색되기 시작했고, 1970년대부터는 완전히 월본의 일방적인 우위가 자리잡으며 인기가 사그라들기 시작했다. 이후 1980년대부터는 1년에 1번 경기가 있을까 말까 하다가 2000년대부터는 10년에 서너번 정도 하는 중으로 완전히 축소되었다.

그래도 역사적으로 의미가 있고 월본의 축구 발전 시기를 상징한 더비였기에 완전히 사라지지는 않고 명맥은 잇고 있는 중이다. 적어도 5년에 1번은 열기로 양측 축구협회가 합의했기 때문.

가장 최근의 경기는 2013년 7월 27일 도기타종합경기장에서 열린 경기이며, 월본이 8대0으로 승리하였다.

선수 명단

레전드

  • 성우진 : 월본 축구의 아버지. 1919년 출생하였다. 이후 축구에 흥미를 가지게 되어 동네에서 축구를 즐겼으며, 이후 관계자의 눈에 띄어 조번종합축구구락부에 1936년 입단하고, 좋은 활약을 하였다. 이후 1938년 네덜란드령 동인도와의 예선에서 승리를 이끌고, 프랑스 월드컵에 진출하였으나 헝가리에 대패하며 승리를 경험하지는 못했다. 이후 전쟁으로 인하여 축구선수 활동을 중단하였으나 1955년 복귀하여 노장으로서 월본 축구 국가대표팀의 정착을 이끌었으며, 1958년 월드컵에서 40세의 나이로 활동하며 월본 월드컵 사상 첫 득점을 넣고 첫 승점을 얻어냈다. 이후 은퇴하였고, 1980년부터 1985년, 그리고 1989년부터 1994년까지 월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았다. 감독으로서도 월본 사상 첫 8강 진출을 이끌었다. 스포츠 발전에 기여한 공훈을 인정받아 훈장을 수여받기도 하였다. 이후 2009년에 사망하였으며 장례는 축구협회장으로 치루어졌으며 여러 정계 인사와 스포츠계 인사들이 추도하였다. 현재는 월본 국립청룡원에 안장되어 있다.
  • 민태훈 : 1950년대부터 활동하여 전쟁으로 인해 침체된 월본 축구를 다시 살린 선수. 1936년 출생하였으며 1955년 도기타축구종합단에 입단하며 데뷔하였으며 이후 1958년 스웨덴 월드컵부터 1974년 서독 월드컵까지 출전하며 월본 축구의 부흥을 이끌었다. 2006년부터 2010년까지 월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을 맡았으며, 8강 진출을 이끌었다. 현재는 월본축구협회 상임고문을 거쳐 정계에 입문하였으며, 자유민주당 소속 국회의원으로 있으면서 스포츠 발전에 힘쓰고 있다.
  • 이상열 : 1980년대부터 활동하며 월본을 월드컵 연속 진출 시키는데 공헌을 하였다. 1961년 출생하였으며 1980년 주곤 청룡에 입단하였고 이후 1982년 스페인 월드컵에서 2골을 넣으며 에이스 역할을 하였다. 1986년 멕시코 월드컵에서 고군분투 하였으나 팀은 3전전패로 탈락하였다. 하지만 1990년 이탈리아 월드컵에서 오우현과 함께 공격수 투톱을 이루며 팀을 8강으로 이끌었다. 1999년 은퇴한 뒤 해설가에 데뷔하였다. 현재는 TOTV 스포츠 해설가로 있다.
  • 오우현 : 월본 축구 최다출전자이며 현재의 월본 대표팀을 정착시킨 선수이다. 월본 역대 축구선수 중 하나로 불리며, 오우현의 골로 1990 이탈리아 월드컵에서 디펜딩 챔피언 아르헨티나를 0:1로 이기는 돌풍을 일으켰다. 이후 1991년 분데스리가 레버쿠젠에 입단하였으며 1997년에는 잉글랜드 프리미어 리그 리버풀에 입단하여 활약했다. 이후 2004년 아시안컵에서 월본을 우승시키고 국가대표 은퇴하였으며 2008년 리버풀에서도 퇴단하며 축구선수 은퇴하였다. 이후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조번 FC의 감독으로 활동했으나 좋은 성과를 내지 못하고 사임하였다. 이후 2015년부터 리버풀 엠버서더로 활동하고 있으며 오우현 아카데미를 설립하여 축구 유망주 발굴에 주력하고 있다.
  • 유성일 : 월본 축구 최다득점자이며 월본 축구 사상 최고의 공격수이다. 1994년 오우현과 함께 활약하며 16강 진출을 이끌며 화려하게 20세의 나이에 데뷔하였다. 이후 1995년 이탈리아 세리에 리그 AS 로마 입단, 1999년 바르셀로나 입단을 거쳤다. 바르셀로나에서 좋은 활약을 하며 아시아에서 온 폭풍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이후 2007년 첼시 이적을 거쳐 2009년 은퇴하였다. 현재는 월본축구협회 유스위원장에 있다.
  • 박민성 : 월본 축구의 리빙레전드. 1975년 출생하였으며 이후 1994년 일본 감바 오사카에 입단하며 프로데뷔 하였다. 이후 감바 오사카의 에이스로 활약한 뒤 2000년 네덜란드 아약스로 이적하였다. 2002년 한일월드컵에서 16강을 이끌었고

역대 전적

월드컵

년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1930 우루과이 월드컵불참
1934 이탈리아 월드컵불참
1938 프랑스 월드컵1라운드[3]15위0100106
1950 브라질 월드컵불참
1954 스위스 월드컵불참
1958 스웨덴 월드컵조별리그16위1301218
1962 칠레 월드컵예선 탈락
1966 잉글랜드 월드컵기권
1970 멕시코 월드컵조별리그12위2302113
1974 서독 월드컵조별리그14위1301205
1978 아르헨티나 월드컵예선 탈락
1982 스페인 월드컵조별리그21위1301226
1986 멕시코 월드컵예선 탈락
1990 이탈리아 월드컵4강4위1273121011
1994 미국 월드컵16강12위4420256
1998 프랑스 월드컵조별리그20위3310224
2002 한일 월드컵16강12위6413063
2006 독일 월드컵조별리그25위1301226
2010 남아공 월드컵8강8위6513132
2014 브라질 월드컵조별리그28위1301214
2018 러시아 월드컵8강8위8522166
2022 카타르 월드컵?????????
합계4위 (1회)
8강 (2회)
16강 (2회)
13/20[4]46471020203970

아시안컵

년도결과순위승점경기득점실점
홍콩 1956준우승2위6320165
대한민국 1960준우승2위6320164
월본 1964우승2위9330051
이란 19684강3위64202115
태국 1972조별리그5위6320145
이란 1976준우승2위9430163
쿠웨이트 1980우승1위136411136
싱가포르 19844강3위8622254
월본 1988우승1위12330516
일본 1992준우승2위8221835
아랍에미리트 19968강5위9301734
레바논 20004강3위10631296
중국 2004우승1위146420136
인도네시아/말레이시아/태국/베트남 20078강7위5412175
카타르 2011우승1위146420167
호주 20154강3위106312108
아랍에미리트 2019본선진출????????
합계우승(5회)16/16[5]13124125803884
  1. 최다 우승국.
  2. 전월본제국의 인도네시아 침공 및 식민지 문제 등
  3. 당시에는 모든 경기가 토너먼트였다. 지금으로 치면 조별리그 탈락. 토너먼트에서 단 한경기 치르고 탈락했다.
  4. 월드컵 본선 출전 비율
  5. 개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