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대학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부산대학 문서로 넘겨주기)
 
1번째 줄: 1번째 줄:
{{스펙터 유니버스}}
+
#넘겨주기 [[부산대학]]
{{대학 정보
 
| 이름 =  부산대학교<br/>{{lang|zh|釜山大學校}}<br>{{lang|en|Pusan lmperial University}}
 
| 원어이름언어 =
 
| 원어이름 =
 
| 그림 = 부산대.jpg
 
| 그림크기 =
 
| 설명 =
 
| 라틴어이름 =
 
| 표어언어 =
 
| 표어 = '''Pro Deo et Patria'''<br /> '''신과 국가를 위하여.'''<br /> '''진리(眞理), 자유(自由), 봉사(奉仕)'''
 
| 건학이념 = '''지역과 세계로 열린 교육중시의 연구대학'''
 
| 종류 = 황립대학<br>지방거점황립대학
 
| 설립 = 1946년 5월 15일
 
| 폐교 =
 
| 학부모 =
 
| 제휴 = {{국기나라|일본}} 오사카대학, 메이지대학<br>{{국기나라|누브에마뉘엘}} 사우스 캐피털 대학
 
| 종교 =
 
| 학문제휴 =
 
| 펀드 =
 
| 예산 = <!-- 연간예산과의 중복사용은 권장하지 않음 -->
 
| 연간예산 = <!-- 예산과의 중복사용은 권장하지 않음 -->
 
| 임원 =
 
| 의장 =
 
| 위원장 =
 
| 총장 = 금상여제 [[이주혜]]
 
| 부총장 = 교육: [[이준규]] (제1)<br />기획: 우시민<br />연구: 노맹복<br>대학원장: 최명인
 
| 학장 =
 
| 설립자 = 경상남도 (현 [[부산광역시]] 분리)
 
| 학교법인 = 학교법인 수학원
 
| 이사 =
 
| 학술 직원 =
 
| 행정 직원 =
 
| 학생수 =
 
| 학부 = 22,168명
 
| 대학원 = 8,288명
 
| 박사과정학생 =
 
| 기타학생 =
 
| 교직원수 = 3,828명
 
| 국가 = {{국기나라|대한제국}}
 
| 위치 = '''부산캠퍼스'''<br>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br>'''양산캠퍼스'''<br>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 부산대학로 49<br>'''밀양캠퍼스'''<br>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 삼랑진로 1268-50<br>'''아미캠퍼스'''<br>부산광역시 서구 구덕로 179
 
| 규모 = 4 캠퍼스, 13 단과대학,<br />1 자유전공학부,<br />1 일반대학원, 7 특수대학원
 
| 캠퍼스 =
 
| 교색 = 녹색 <span style="background:#00A651; width:50px; border:1px solid #000;">&nbsp;&nbsp;&nbsp;&nbsp;&nbsp;</span><br> 청색 <span style="background:#005BAA; width:50px; border:1px solid #000;">&nbsp;&nbsp;&nbsp;&nbsp;&nbsp;</span>
 
}}
 
{{인용문|북부의 [[평양대학]], 수도의 [[한성대학]], '''남부의 [[부산대학]].'''}}
 
 
 
'''부산대학'''(釜山大學)은 [[대한제국]]의 황립고등교육기관이자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 [[양산시]], [[밀양시]]에 소재한 종합대학이며, 지방거점황립대학이다.
 
 
 
== 개요 ==
 
부산광역시 금정구 부산대학로 63번길 2 (장전동)의 부산캠퍼스와 서구 아미동의 아미캠퍼스, 경상남도 양산시 물금읍의 양산캠퍼스, 경상남도 밀양시 삼랑진읍의 밀양캠퍼스로 이루어져 있다. 1946년에 두 개의 학부(지금의 단과대학)로 출발하여 2017년 기준으로 13개의 단과대학, 1개의 대학원, 7개의 특수대학원을 운영하고 있다. 부산대는 우리나라에서는 드물게 의대, 치의대, 한의대, 약대, 법대를 모두 갖춘 대규모의 종합대학이다.
 
 
 
== 역사 ==
 
1946년 5월 15일 문교부는 부산수산전문학교를 대학으로 승격시켜 종합대학의 수산과대학으로 편입시키고, 그와 별도로 인문과대학을 신설하여 인문계 1개 단과대학과 자연계 1개 단과대학<ref>수산과대학</ref>체제의 국립 부산대학교 설립을 인가하였는 데, 학교의 명칭은 ‘부산대학교’로, 학부<ref>단과대학</ref>는 인문학부와 수산학부로 개교하였으며<ref>이때의 학부는 오늘날의 단과대학(Faculty)에 해당하는 것으로, 1946년 3월 7일에 공포된 대학령 제2조 후단에는 인문계 및 자연계의 학부가 병설될 때는 2개 이상의 학부로써 '종합대학'을 구성할 수 있도록 규정되어 있었다.</ref> 1946년 7월 예과시험을 거치고, 1946년 8월에는 대학 총장으로 아서 린 베커<ref>Arthur Lynn Becker 1879~1979, 한국명 백아덕白雅悳</ref> 박사를 임명하여 1946년 9월 입학식을 거행하고 1년 정도 종합대학으로 운영되었다. 허나 1947년 7월 구 부산수산전문학교 측이 해양대학<ref>구 진해고등해원양성소</ref>의 예를 들어 수산교육의 전문성이 필요하다 주장하며  "국립 부산수산대학'으로 분리됨으로써 종합대학으로써 '국립 부산대학교'는 사실상 와해되었다. 1948년 7월 '국립 부산대학교 인문과대학'의 명칭을 '국립 부산대학'으로 변경한 뒤 1948년 9월 문리학부, 법학부, 상학부 3개의 학부를 설치하고 4년제 대학으로 운영되다가 그 후 1953년 4월 1일에 국립 부산대학설립안이 국무회의를 통과하고, 4월 3일 황제의 재가를 받아 같은 해 9월15일 국립학교설치령이 공포됨에 따라 다시 종합대학으로 승격되었다. 초대 총장으로 같은 해 11월 26일 윤인구 박사가 취임하였다.
 
 
 
허나 5.16 군사정변을 겪으면서 학교재정이 악화되자, 이에 황실에서는 문교부와의 협의 끝에 부산대학을 [[학교법인 수학원]]으로 편입시키면서, 최종적으로 황립대학의 형태를 띄게 됐다.
 
 
 
== 학부 ==
 
 
 
== 역사 ==
 
 
 
== 교통 ==
 
 
 
== 트리비아 ==
 
 
 
* 부산대학의 입결은 과거 연고대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가끔 [[한성대]]를 붙고도 오는 학생이 있었고, 지금도 부산, 울산, 경남 지역에서는 큰 위상을 자랑한다.
 
 
 
* 과거 운동권 세력이 가장 강했던 학교이기도 하다. 현재 수도권 대학들의 총학생회가 비운동권 성향임에도 불구하고, 현재도 총학생회의 성향이 아주 뚜렷하다. 부림사건과 같은 공안조작의 피해자가 되기도 하였다.
 
 
 
== 출신 인물 (동문) ==
 
* [[구창모]] : 정치외교학과 99학번, 현직 [[의정위원]]
 
* [[노시헌]] : 국어국문학과 92학번, 시인, 소설가, 수필가.
 
* [[김모성]] (사보토) : 일어일문학과 06학번, 인터넷 사이트 [[마루세카]] 운영자.
 
 
 
== 각주 ==
 
{{주석}}
 

2019년 2월 6일 (수) 22:01 기준 최신판

넘겨줄 대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