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의 두 판 사이의 차이

33번째 줄: 33번째 줄:
 
===국장===
 
===국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장이자 조선로동당의 당기. 망치, 붓, 낫은 각각 노동자, 지식인, 농민을 상징한다 .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장이자 조선로동당의 당기. 망치, 붓, 낫은 각각 노동자, 지식인, 농민을 상징한다 .
 +
===국가===
 +
북한의 "국가(國歌)". 박세영(朴世永, 1902~1989)작사, 김원균(金元均, 1917~2002) 작곡. 첫 소절인 '아침은 빛나라(Let Morning Shine)'라는 명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
작사는 1947년 5월, 작곡은 같은 해 6월 27일에 완성되어 6월 29일 북조선인민위원회에서 이 곡을 애국가로 최종 확정했으며, 1948년 중순에 비로소 보급되기 시작했다. 1948년 초반까지는 올드 랭 사인곡조에 기존의 애국가 가사가 있는 애국가를 제창하였다 . 북한의 헌법 제1절 제171조에 명시되어 있다.

2019년 3월 31일 (일) 18:15 판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朝禪民主主義人民共和國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인공기.png
국기
북한 노동당기.png
국장
국화함박꽃나무
국조참매
표어강성대국
자연환경면적(영토)123,138km²
인문환경인구25,611,000명
인구밀도190명/㎢
공용 언어문화어,조선어
정치국체민주집중제,공화제
정부형태일당제, 단일국가, 전체주의, 전제군주제(사실상)
수령세가
부수령미정
경제GDP$173억 9,600만
1인당 GDP$665
GDP(PPP)$400억
1인당 GDP(PPP)$1,700
공식 화폐북한 원
단위
법정연호주체 (서력기원 병기)
시간대UTC+9 (평양시간)

상징

국호

북한이라고 불리지만 본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영어로 하면 DPRK(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 영미권에서는 쉽게 North Korea 라고 부르고 봉건조선과 겹치지않기 위해 북한에서는 이성계가 세운 조선은 ' 리조 '라 하여 구별한다 .

국기

국기의 본칭은 ' 람홍색공화국기 ' 이지만 보통은 인공기라고 잘 알려져있다 .
1945년 일본으로부터 광복했을당시 태극기를 사용했지만 현재는 인공기 사용중

국장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국장이자 조선로동당의 당기. 망치, 붓, 낫은 각각 노동자, 지식인, 농민을 상징한다 .

국가

북한의 "국가(國歌)". 박세영(朴世永, 1902~1989)작사, 김원균(金元均, 1917~2002) 작곡. 첫 소절인 '아침은 빛나라(Let Morning Shine)'라는 명칭으로도 알려져 있다.
작사는 1947년 5월, 작곡은 같은 해 6월 27일에 완성되어 6월 29일 북조선인민위원회에서 이 곡을 애국가로 최종 확정했으며, 1948년 중순에 비로소 보급되기 시작했다. 1948년 초반까지는 올드 랭 사인곡조에 기존의 애국가 가사가 있는 애국가를 제창하였다 . 북한의 헌법 제1절 제171조에 명시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