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마 제국 (네이션즈)"의 두 판 사이의 차이

142번째 줄: 142번째 줄:
  
 
====바실레우스====
 
====바실레우스====
 +
{{본문|유스티니아누스 3세}}
 +
 
||<-2><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gcolor=#CF142B><bgcolor=#CF142B> {{{#fff {{{+1 '''바실레우스 유스티니아누스 3세'''}}}}}} ||
 
||<-2><tablealign=center><tablewidth=600><tablebgcolor=#CF142B><bgcolor=#CF142B> {{{#fff {{{+1 '''바실레우스 유스티니아누스 3세'''}}}}}} ||
 
||<-2><bgcolor=#fff> [[파일:EPO.jpg|width=50%]] ||
 
||<-2><bgcolor=#fff> [[파일:EPO.jpg|width=50%]] ||
153번째 줄: 155번째 줄:
 
||<:> '''전임자''' ||<(> [[퀸티누스 푸블리콜라]] ||
 
||<:> '''전임자''' ||<(> [[퀸티누스 푸블리콜라]] ||
 
||<:> '''후계자''' ||<(> 마르쿠스 율리우스 ||
 
||<:> '''후계자''' ||<(> 마르쿠스 율리우스 ||
 
현재 로마제국의 바실레우스는 퀸티누스 푸블리우스의 삼남인 유스티니아누스 3세이며, 본명은 마리우스 유스티니아누스 팔라이올로고스_오리우노스다. [* 장남과 차남은 군사정권에 찬동하다가 계승권을 박탈당했다.]
 
제국 선거로 황위를 계승받은 1975년부터 177대 로마의 군주이자 다른 군주들의 군주의 위치에 있다.
 
곧 삼만불시대를 바라보게 만든 장본인으로서 사후 제호에 마그누스(위대한) 나 글로리아스(영광스러운)이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슬하에 3남1녀를 두었으며 카이사르는 마르쿠스 율리우스다.
 
그리고 카이사르에게서 유일한 손녀인 알렉산드라 테오도라를 봤고, 마르쿠스가 제위에 오른다면 카이사리나(황태녀)가 될 것이다.
 
  
 
===원로원(상원)===
 
===원로원(상원)===

2019년 7월 7일 (일) 20:09 판


{|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style="width:100%; text-align:center; border:2px solid #fe284d;"

|-
| colspan="4" style="border:2px solid #000; background:#fe284d;" | Nationswhite.png 네이션즈 국가 목록
|-
| colspan="4" style="background:#fe284d;" | 연재중인 국가
|-
| width="25%" | 아르헨티나 공화국 (네이션즈) 아르헨티나 공화국
| width="25%" | 대명국 대명국
| width="25%" | 루마니아 왕국
| width="25%" | 탕가니카 민주 공화국 탕가니카 므완자 제2공화국
|-
| 로마 제국 로마제국
| 고려민주주의인민공화국
| 이베리아 연방
| 대고려국 대고려국
|-
| 벨로-러시아 연방 공화국
| 프랑스 제국
| 나우루 아흐루
| 네덜란드 연합왕국 네덜란드 연합왕국
|-
| 대성국 대성국
| 신로마 제국
| 알비온오리아
| 프랑스 공화국
|-
| 미합중국
| 카밀 왕국
| 연방인민기.png 노르웨이 연방 공화국
| 모리타니아 국기(네이션즈).png 모리타니아 공화국
|-
| 아스토츠카 민주공화국 아스토츠카 민주공화국
| 인도 공화국
| 신성 로마 제국
| -
|-
| colspan="4" style="background:#fe284d;" | 취소된 국가
|-
| colspan="4" | 브리튼 제국

|}
로마 제국
IMPERIUM ROMANUM
Roman Empire
Flag rome.png
국기
Rome coat of arms.png[1]
국장
국호로마 제국
IMPERIUM ROMANUM
상징국가월계관의 주인에게
국화없음
국조쌍두독수리[2]
표어임금들의 임금, 통치자들의 통치자
자연환경면적(영토)377,506 km²
인문환경인구약 5800만 명
인구밀도153 명 / ㎢
공용 언어라틴어, 그리스어
정치국체공화적 입헌 군주제, 연방제, 양원제
정부형태이원집정부제
바실레우스유스티니아누스 3세
연방총리요르요스 치클라지노스 (신민주주의당)
경제GDP$1조 6510억
1인당 GDP$29,431
GDP(PPP)$2조 7,871억
1인당 GDP(PPP)$40,937
공식 화폐로마 드마크라 (Dk)
단위
법정연호로마력(AUC), 서력(BC, AD) 병용
시간대UTC+2
위치
NATION ROME.gif

개요

네이션즈에 소속되어있는 가상국가다.

남유럽과 아나톨리아 서안, 중동과 북아프리카 일부를 영토로 가지고 있는 국가다. 기원전 753년에 세워저 지금까지 약 2,800년의 세월을 견뎌온 중흥의 끝판왕이다.
서쪽으론 지중해를 통해 프랑스공화국과 프랑스 제국, 이베리아 연방을 마주보고 있고, 육로로는 베니토 무솔리니가 세운 신 로마제국과 대치중이다.
흑해쪽으로는 루마니아왕국과 벨로-러시아 연방과 마주보고 있다.

바르나 십자군의 성공 이후 오스만을 발칸반도에서 축출한뒤로 아나톨리아까지 진출해서 안티오크까지의 영토를 확보하는 데에 성공했었다.
그러나 민족주의의 발흥에 따라 각 테마들을 민족중심적인 국가들로 개혁한 뒤 연방제가 자리잡았다. 그리고 2차세계대전 후로 국가들이 독립하여 13개의 국가와 1개의 자치구만이 남았다.

상징

로마제국/국명(국호)

노바로마(콘스탄티노폴리스)로 수도를 옮기기 전 까지는 SPQR(로마 원로원과 시민들)을 정식 국호로 쓰고 있었다. 수도를 옮기고 난 후로는
IMPERIUM ROMANUM, 즉 로마 제국을 정식 국호로 쓰기 시작했다.
현재로서는 이탈리아 중심의 신 로마 제국과 구분을 위해서 동 로마 제국이라고 불리기도 한다만, 제국 내에서는 꺼리는 듯한 분위기가 지배적이다.
영문 약칭으로는 "Rome"을 사용하고 있으며, 국가 코드로는 IR, IPR가 사용된다.

국기

로마 제국의 국기
width=100%
지위공식 국기
제정시기팔라이올로고스 왕조 (1259년)

원대 로마에는 국가라는 개념이 없었다. 고대부터 사용해온 라바룸(카이 로)나 독수리, 십자가, 기독교 성인들의 초상들을 군기(軍旗)에 쓰긴 했지만 이것들이 국기나 국장은 아니었다.
독수리같은 경우 중세 초기에는 고대에 썼던 머리 하나 있는 아퀼라를 계속 썼는데, 정작 쌍두독수리 자체는 아나톨리아 지역의 유서깊은 상징이었고, 특히나 셀주크 제국이 이 쌍두독수리로 유명했다. 비잔티움 제국이 쌍두독수리를 쓰게 되는 것은 현재 왕조인 팔레올로고스 시절부터였다. 신성 로마 제국에서도 뒤따라 쌍두독수리 문양을 썼기 때문에 오늘날에도 동유럽 서유럽 할 것 없이 쌍두독수리 문양을 쓰는 세력이 많이 있다.

국장

팔라이올로고스-오리우노스 가문의 문양 [3]
width=50%
지위비공식 국장
제정시기1259년
근거법령없음

국가

월계관의 주인에게
지위관습상 국가(國歌)
제정시기팔라이올로고스-오리우노스 왕조 (1801년)
근거법령없음
작사가미상 (1790년대) [4]
작곡가미상 [5]
저작권자로마 제국 (1801년 ~ 현재)

표어

  • Senatus Populusque Romanus [6] (공화정 ~395년)
  • Βασιλεύς Βασιλέων, Βασιλεύων Βασιλευόντων [7] (1259년 ~ 현재) [8]

자연환경

영토

본토

공사중

부속도서

공사중

월경지

공사중

기후

공사중

인문환경

로마제국 인구

로마제국의 인구는 현재 약 5800만명이며, 인구밀도는 153명/ ㎢이다.

향후

공사중

평균 수명

공사중

언어

  • 로마의 공식언어는 라틴어지만, 공용언어는 그리스어다. 소수언어로써는 알바니아어, 마케도니아어, 이탈리아어, 아랍어가 존재하고 있다.

종교

대체적으로 정교회가 대다수를 차지하는 정교회국가다. 콘스탄티노폴리스 세계총대주교의 본부이고 세계 정교회의 본산이다. 그렇지만 소수종교가 딱히 차별 받거나 그러진 않는다. 그도 그럴것이 이탈리아의 바라에선 천주교가 우세하며, 알렉산드리아에서는 3명중 1명이 이슬람교 신자다.

행정구역

로마의 광역행정단위
ROME province.png

현재의 로마는 총 13개의 국가와 1개의 자치구가 연방을 이루고 있다.

순번국가/자치주수도비고
01콘스탄티노폴리스 백국노바 로마1854년 트라키아에서 독립
02트라키아 왕국아드리아노폴리스
03서 아나톨리아 왕국이오니아1876년 아나톨리아에서 분리
04마케도니아 왕국스쿠피
05알바니아 왕국티라나
06헬라 왕국아테네
07크레타 공국이클라리오
08키프로스 공국레프코시아
09테살로니카 공국테살로니카1842년 마케도니아에서 독립
10알렉산드리아 후국알렉산드리아
11안티오키아 후국안티오크
12라구사 공화국라구사
13바라 변경백국바라가장 최근에 귀속
14성산 수도원 자치주아토스로마에서 유일한 자치주

정치

로마는 입헌군주제이자 이원집정부제, 양원제, 연방제 국가로 군주인 바실레우스가 명목상의 행정부의 수반이고, 연방총리는 입법부의 수장이다.
고대에서 이름을 따온 원로원이 상원, 평민회가 하원의 역할을 맏고 있다.

포르피로옌니토스(황가)

팔라이올로고스-오리우노스 가문의 문양
width=50%

바실레우스

바실레우스 유스티니아누스 3세
width=50%
제호유스티니아누스 3세(Ιουστινιανός ΙΙΙ')
팔라이올로고스-오리우노스(ΠαλαιόΛόγος- Ορίνος)
마리우스 유스티니아누스(Μάριος Ιουστινιανός)
대관식1975년
생몰년도1945년 ~ 생존
재위기간1975년 ~ 재위 중
전임자퀸티누스 푸블리콜라
후계자마르쿠스 율리우스

원로원(상원)

로마 원로원
원로원.png

공사중

평민회(하원)

로마 평민회
Comitiis plebs.png

공사중

경제

공사중

사회

공사중

문화

공사중

군사

공사중

단위

공사중


  1. 정확하게 말하면 포르피로옌니토스인 팔라이올로고스-오리우노스 가문의 상징이지만 국장처럼쓰이고 있다.
  2. 고대에 쓰였던 아퀼라나 새로 불사조를 쓰자는 의견도 있지만 현재는 쌍두독수리가 아주 우세한 편이다.
  3. 팔라이올로고스-오리우노스 가문의 문양이지만, 국장역할을 하고있다.
  4. 음유시인들이 부르기 시작했다는 설과 그 당시 알려지지 않은 시인에게서 국가가 받은것이라는 설 등 여러 설등이 있지만 그 무엇도 확인되지 않고 있다.
  5. 영국의 "God, save the King(Queen)"에서 온 곡이기 때문에 정확한 작곡가는 알 수 없다.
  6. 로마 원로원과 시민들
  7. 임금들의 임금, 통치자들의 통치자
  8. 그 사이 900년간의 기록은 혼란기 속에 사라진 것 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