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동당"의 두 판 사이의 차이

(Admin (토론)의 58713판 편집을 되돌림)
태그: 편집 취소
54번째 줄: 54번째 줄:
 
|웹사이트      =
 
|웹사이트      =
 
}}
 
}}
 
'''노동당'''(勞動黨, {{lang|en|Labour Party}})은 [[영국]]의 [[중도좌파]] 정당으로 [[사회민주주의]]와 [[민주사회주의]]를 지향하고 있다. 현재 대표는 [[제러미 코빈]]이다. 이 당은 1900년에 [[제임스 키어 하디]]가 노동자의 정치 진출을 위해 창당하였으며 1920년대부터 [[자유당 (영국)|자유당]]을 제치고 [[보수당 (영국)|보수당]]과 함께 영국의 양당으로 자리잡게 되었다. 노동당은 전후 [[건강 보험]]을 실시한 [[클레멘트 애틀리]],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집권하며 [[사형제]]를 폐지하는 등 진보적 정책을 펼친 [[해럴드 윌슨]], 그리고 [[제3의 길]]을 표방하며 영국의 경제 성장을 도운 [[토니 블레어]]를 [[총리]]로 배출하였다. 현재 노동당은 [[서민원]]에 258석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럽 의회]]에서 [[사회민주진보동맹]]에 속해 있다. 노동당은 [[2010년 영국 총선|2010년 총선]]에서 패배한 후 지금까지 제1[[야당]]의 자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2017년 영국 총선|2017년 총선]]에서는 [[제러미 코빈]] 대표 체제를 통해 [[2015년 영국 총선|2015년 총선]]에서 얻은 232석을 뛰어넘는 262석의 의석수를 차지하여 크게 약진하였다.
 
 
1990년대 이전까지 노동당은 [[사회주의]]를 표방하는 정당이였으나, [[토니 블레어]]가 당수로 선출된 이후 노동당은 '[[신 노동당]](New Labour)' 이라는 구호를 내걸며 [[사회주의]] 노선을 포기하고, 당 강령에서도 [[사회주의]]를 삭제하였다. 이후 당이 우경화 되며 [[자유주의]], [[제3의 길]]로 우회하였고, 이에 정통 [[사회주의]]자들이나 [[사회민주주의]]자들은 "블레어가 노동당의 기본 이념을 배반했으며, 선거에서 승리하기 위해 당을 계속해서 오른쪽으로 움직이고 있다" 라고 비판하였으며, 노동당의 이념 정체성에 의문을 제기하는 사람들도 많았다. 하지만 2010년 [[보수당 (영국)|보수당]]으로의 정권교체 이후 [[신 노동당]] 정책이 여러 문제점을 드러내자 노동당은 점점 다시 좌파 성향을 띄게 되었고, 2015년 급진좌파 성향의 [[제러미 코빈]]이 당수로 선출되면서 토니 블레어의 노선을 대대적으로 바꿀 것이라 표명했기 때문에 이전의 노동당으로 되돌아 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장미]]를 당의 상징으로 쓰고 있으며, 당가로는 짐 코넬이 작사한 [[적기가]]를 쓴다.
 
 
== 역사 ==
 
=== 연대표 ===
 
{| class="wikitable"
 
!style="width:6%" |연도
 
!style="width:7%" |월일
 
!사건
 
|-
 
|[[1881년]]
 
 
|'''[[사회 민주 동맹]](SDF)'''가 설립된다<br />(사회 민주 동맹은 [[마르크스주의]]정당에서 후에 노동대표위원회에 참가하는 것도, 노동당에는 불참가)
 
|-
 
|[[1884년]]
 
|[[1월 4일]]
 
|[[시드니 웨브]], [[베아트리스 웨브]]부부에 의해서 전신이 되는'''[[페이비언 협회]]'''가 설립<br />페이비언 협회에는 [[조지 버나드 쇼]], [[허버트 조지 웰스]]가 참가하고 있었다
 
|-
 
|[[1896년]]
 
|
 
|'''[[독립 노동당]]''' 설립
 
|-
 
|[[1900년]]
 
|
 
|사회 민주 동맹, 페브리언 협회, 독립 노동당의 3단체와 65개의 노동조합이 참가하여 '''[[노동 대표 위원회]]'''를 결성. [[램지 맥도널드]]를 의장으로 선출
 
|-
 
|rowspan="2" |[[1906년]]
 
|
 
|노동 대표 위원회를 의회 정당으로 조직 변경하여 '''노동당'''라고 개칭. [[케어 하디]]를 의장으로 선출
 
|-
 
|[[2월 8일]]
 
|[[:en:United Kingdom general election, 1906|동년의 총선]]에서 29석 획득
 
|-
 
|[[1914년]]
 
|
 
|맥도날드를 포함한 많은 당원이 [[제1차 세계대전]]에 반대. 전쟁 반대를 주창하지 않는 아서 핸더슨이 의장직을 이끈다.
 
|-
 
|[[1916년]]
 
|
 
|[[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에 의한 거국 내각 정권 참가
 
|-
 
|[[1918년]]
 
|
 
|[[시드니 웨브]]의 협력 아래, 「사회주의 강령」제작. 동4조로 「생산수단의 국유」를 선언
 
|-
 
|[[1924년]]
 
|
 
|[[자유당 (영국)|자유당]]과 연립하여 [[램지 맥도널드]]정권 탄생
 
|-
 
|[[1929년]]
 
|
 
|[[:en:United Kingdom general election, 1929|총선]]에서 제1당. 노동당 정권 성립(제2차 맥도날드 내각)
 
|-
 
|[[1931년]]
 
|
 
|[[세계 공황]]에 대한 대응으로 맥도널드가 당과 대립. 일부 의원이 탈당하여, 맥도널드파, [[보수당 (영국)|보수당]], [[자유당 (영국)|자유당]]과의 국민 정부가 성립<br />이후[[1935년]]까지 맥도널드가 국민 정부 수상. 이후, 수상이 [[스탠리 볼드윈]], [[네빌 체임벌린]]과 보수당 당수에게 교체한 후도 국민 정부 정권에 참가.
 
|-
 
|[[1940년]]
 
|
 
|보수당 당수 수상 [[윈스턴 처칠]] 아래에 거국 내각 체제에 참가.
 
|-
 
|[[1945년]]
 
|
 
|총선에서 [[보수당 (영국)|보수당]]에 대하여, 393석을 획득해 압승. 노동당 단독으로 처음으로 과반수의 의석을 점유. [[클레멘트 애틀리]]가 [[영국의 수상|수상]]이 되어 첫 단독 정권 성립
 
|-
 
|[[1946년]]
 
|
 
|[[리처드 크로스맨]]을 중심으로 당내 좌파 그룹 「[[킵 레프트]]」결성.
 
|-
 
|rowspan="2" |[[1951년]]
 
|4월
 
|예산안에 대해, 군사비 염출을 위해 게이트켈 재정부 장관이 의치와 안경의 유료화를 밝힌 것에 대해, 보건상 [[아뉴에린 베번]]이 반대하여 각료를 사임. [[해럴드 윌슨]]도 따라서 사임.
 
|-
 
|[[10월 25일]]
 
|[[1951년 영국 총선|총선]]로 패배하여, 정권을 유지하지 못하였다.
 
|-
 
|[[1955년]]
 
|[[12월 14일]]
 
|[[휴 게이트켈]]이 당수로 취임. 노동당내에서 온건파가 우세하여, 후의 정권 교체의 포석이 된다.
 
|-
 
|[[1959년]]
 
|
 
|게이트켈 당수, 국유화를 정한 당규약 제4조의 개정을 시도하는데 실패.
 
|-
 
|rowspan="2" |[[1963년]]
 
|[[1월 18일]]
 
|당수 휴 게이트켈이 급사. 부당수 조지 브라운이 임시 당수 자리에 오름
 
|-
 
|[[2월 14일]]
 
|새로운 당수에 [[해럴드 윌슨]]을 선출
 
|-
 
|[[1964년]]
 
|[[10월 16일]]
 
|총선에 승리하여 정권교체. 제1차 윌슨 내각 성립
 
|-
 
|[[1970년]]
 
|[[6월 19일]]
 
|총선에 패배. 노동당 야당이 됨.
 
|-
 
|[[1973년]]
 
|10월
 
|전당대회를 열어, 사회주의적인 「1973년 강령」을 채택
 
|-
 
|rowspan="3" |[[1974년]]
 
|[[2월 28일]]
 
|[[1974년 2월 영국 총선|총선]]에 대해 최대 의석인 301석을 획득(보수당 297석, 자유당 14석)
 
|-
 
|3월
 
|보수당, 자유당의 연립 교섭이 결렬. 제2차 윌슨 내각 성립
 
|-
 
|[[10월 10일]]
 
|[[1974년 영국 총선|총선]]에 승리. 319석을 획득
 
|-
 
|[[1976년]]
 
|
 
|윌슨의 사임 이후에 [[1976년 영국 노동당 당수 선거|당수 선거]]에서 [[제임스 캘러헌]]이 당수로 취임. 동시에, 제임스 캘러헌 정권 성립
 
|-
 
|[[1979년]]
 
|[[5월 3일]]
 
|[[1979년 영국 총선|총선]]에서 [[마거릿 대처]]가 이끄는 보수당에 패배. 노동당 야당이 됨.
 
|-
 
|[[1980년]]
 
|[[11월 4일]]
 
|[[1980년 영국 노동당 당수 선거|당수 선거]]에 [[마이클 풋]]이 당수에 선출. [[데니스 히리]]가 부당수로 선출
 
|-
 
|[[1981년]]
 
|
 
|당내의 대립으로 우파의 [[로이 젱킨스]], [[샤리 윌리암스]], [[데이비드 오웬]], [[윌리엄 로저스]] 등 4인조가 탈당해, [[사회민주당 (영국)|사회민주당]]을 결성(후에 [[자유당 (영국)|자유당]]과 합류, 현재의 [[자유민주당 (영국)|자유민주당]]이 된다.)
 
|-
 
|rowspan="2" |[[1983년]]
 
|[[6월 11일]]
 
|일방적 핵군축의 단행하여 유럽 연합 탈퇴 등을 내걸어 싸운 [[1983년 영국 총선|총선]]로 대패. 획득 의석수 209는 전후 최저 기록.
 
|-
 
|11월
 
|[[1983년 영국 노동당 당수 선거|당수 선거]]에 대해 [[닐 키녹]]를 당수에 선출. 부당수에게[[로이 하타즈리]]가 취임
 
|-
 
|[[1987년]]
 
|[[6월 11일]]
 
|[[1987년 영국 총선|총선]]에서 대처가 이끄는 보수당에 패배(보수:375석, 노동 229석)
 
|-
 
|rowspan="2" |[[1992년]]
 
|[[4월 9일]]
 
|[[1992년 영국 총선|총선]]에서 메이저의 보수당에 패배(보수:336석, 노동:271석).
 
|-
 
|[[7월 18일]]
 
|총선거 패배를 한 키녹 당수가 사임. [[1992년 영국 노동당 당수 선거|당내 선거]]에 대해 신당수에 [[존 스미스 (노동당)|존 스미스]], 부당수에게 [[마가레트 베켓]]을 선출
 
|-
 
|[[1993년]]
 
|10월
 
|당수 선출·의원 후보자의 결정·대회로의 채결 방법에 관한 규약을 개정(블록 투표제의 폐지)
 
|-
 
|rowspan="2" |[[1994년]]
 
|[[5월 12일]]
 
|당수 존 스미스가 사망. 마가레트 베켓 부당수가 임시 당수로 취임
 
|-
 
|[[7월 21일]]
 
|[[1994년 영국 노동당 당수 선거|당수 선거]]의 결과, [[토니 블레어]]가 당수로 취임. [[1994년 영국 노동당 부당수 선거|부당수선]]으로 [[존 프레스코트]]가 선출
 
|-
 
|rowspan="3" |[[1995년]]
 
|4월
 
|임시당대회를 열어, 생산수단의 당강령 제4조(국유화 조항)가 개정된다.
 
|-
 
|5월
 
|지방선거로 노동당이 압승
 
|-
 
|10월
 
|노동당 대회 개최. 블레어 지도부가 진행하는 정책 재검토안을 압도적 다수로 승인
 
|-
 
|[[1997년]]
 
|[[5월 1일]]
 
|[[1997년 영국 총선|총선거]]로 418석을 획득해, 압승. 제1차 블레어 정권 성립
 
|-
 
|[[2001년]]
 
|[[6월 7일]]
 
|[[2001년 영국 총선거|총선거]]로 의석수를 거의 유지(412석). 제2차 블레어 정권 발족
 
|-
 
|[[2005년]]
 
|[[5월 5일]]
 
|[[이라크전쟁]]에 반발하여 [[2005년 영국 총선|총선]]에서 큰폭으로 의석이 줄어들지만, 과반수를 유지(356석).제3차 블레어 정권. 노동당 정권으로서는 장기 집권한 정권이 된다.
 
|-
 
|rowspan="3" |[[2006년]]
 
|[[4월 26일]]
 
|각료의 스캔들과 불상사가 동시에 발각되어, 노동당 지지도가 계속 떨어졌다.(노동당의 검은 수요일)
 
|-
 
|[[5월 4일]]
 
|[[:en:United Kingdom local elections, 2006|지방 선거]] 대패.
 
|-
 
|[[5월 5일]]
 
|지방 선거 패배로 [[내각 개조]]를 실행. [[제3차 토니·블레어 개조 내각]]발족
 
|-
 
|[[2007년]]
 
|[[6월 28일]]
 
|토니 블레어 사임으로 [[2007년 영국 노동당 당수 선거|당수 선거]]에서 [[고든 브라운]]이 당수에 선출. [[고든 브라운 내각|브라운 정권]]발족. [[2007년 영국 노동당 부당수 선거|부당수 선거]]에서 [[해리엣 하먼]]이 선출
 
|-
 
|[[2008년]]
 
|[[10월 3일]]
 
|내각 개조를 실시. [[고든 브라운 개조 내각]]발족
 
|-
 
|[[2009년]]
 
|[[6월 5일]]
 
|지방 선거 패배로 내각 개조를 다시 실행. [[고든 브라운 재개조내각]]발족
 
|-
 
|rowspan="2" |[[2010년]]
 
|[[5월 6일]]
 
|[[2010년 영국 총선|총선]]에서 [[데이비드 캐머런]]이 이끄는 보수당에 패배(보수 306석, 노동 258석). [[자유민주당 (영국)|자유민주당]]과의 연립 정권 협의에 실패하여, 브라운이 사임을 표명.
 
|-
 
|[[9월 25일]]
 
|[[2010년 영국 노동당 당수 선거|당수 선거]]에서 [[에드 밀리밴드]]를 당수로 선출
 
|-
 
|rowspan="2" |[[2015년]]
 
|[[5월 7일]]
 
|[[2015년 영국 총선|총선]]에서 데이비드 캐머런이 이끄는 보수당에 패배(보수 330석, 노동 232석). 선거가 끝난 후 에드 밀리밴드가 사임서를 제출.
 
|-
 
|[[9월 12일]]
 
|[[2015년 영국 노동당 당수 선거|당수 선거]]에서 [[제레미 코빈]]을 당수로 선출
 
|}
 
{{역대정당득표도표
 
|제목    = 영국 노동당 역대 선거 득표 (1918–2017)
 
|정당    = 노동당
 
|국가    = UK
 
|연도1    = [[1918년 영국 총선|18]]
 
|선거결과1 = 20.8
 
|연도2    = [[1922년 영국 총선|22]]
 
|선거결과2 = 29.7
 
|연도3    = [[1923년 영국 총선|23]]
 
|선거결과3 = 30.7
 
|연도4    = [[1924년 영국 총선|24]]
 
|선거결과4 = 33.3
 
|연도5    = [[1929년 영국 총선|29]]
 
|선거결과5 = 37.1
 
|연도6    = [[1931년 영국 총선|31]]
 
|선거결과6 = 29.4
 
|연도7    = [[1935년 영국 총선|35]]
 
|선거결과7 = 38
 
|연도8    = [[1945년 영국 총선|45]]
 
|선거결과8 = 47.7
 
|연도9    = [[1950년 영국 총선|50]]
 
|선거결과9 = 46.1
 
|연도10    = [[1951년 영국 총선|51]]
 
|선거결과10 = 48.8
 
|연도11    = [[1955년 영국 총선|55]]
 
|선거결과11 = 46.4
 
|연도12    = [[1959년 영국 총선|59]]
 
|선거결과12 = 43.8
 
|연도13    = [[1964년 영국 총선|64]]
 
|선거결과13 = 44.1
 
|연도14    = [[1966년 영국 총선|66]]
 
|선거결과14 = 48
 
|연도15    = [[1970년 영국 총선|70]]
 
|선거결과15 = 43.1
 
|연도16    = [[1974년 2월 영국 총선|74]]
 
|선거결과16 = 37.2
 
|연도17    = [[1974년 10월 영국 총선|74]]
 
|선거결과17 = 39.2
 
|연도18    = [[1979년 영국 총선|79]]
 
|선거결과18 = 36.9
 
|연도19    = [[1983년 영국 총선|83]]
 
|선거결과19 = 26.7
 
|연도20    = [[1987년 영국 총선|87]]
 
|선거결과20 = 30.8
 
|연도21    = [[1992년 영국 총선|92]]
 
|선거결과21 = 34.4
 
|연도22    = [[1997년 영국 총선|97]]
 
|선거결과22 = 43.2
 
|연도23    = [[2001년 영국 총선|01]]
 
|선거결과23 = 40.7
 
|연도24    = [[2005년 영국 총선|05]]
 
|선거결과24 = 35.2
 
|연도25    = [[2010년 영국 총선|10]]
 
|선거결과25 = 29
 
|연도26    = [[2015년 영국 총선|15]]
 
|선거결과26 = 30.4
 
|연도27    = [[2017년 영국 총선|17]]
 
|선거결과27 = 40
 
}}
 
 
== 역대 당수 ==
 
<gallery>
 
Jameskeirhardie.jpg|[[제임스 키어 하디]], 1906-1908
 
1910 Arthur Henderson.jpg|[[아서 핸더슨]], 1908-1910
 
G N Barnes.JPG|[[조지 니콜 번스]], 1910-1911
 
Ramsay MacDonald ggbain.29588.jpg|[[램지 맥도널드]], 1911-1914
 
1910 Arthur Henderson.jpg|[[아서 핸더슨]], 1914-1917
 
Silver - replace this image male.svg|[[윌리엄 애덤슨]], 1917-1921
 
Silver - replace this image male.svg|[[존 로버트 클라이네스]], 1921-1922
 
Ramsay MacDonald ggbain.37952.jpg|[[램지 맥도널드]], 1922-1931
 
1910 Arthur Henderson.jpg|[[아서 핸더슨]], 1931-1932
 
Photo 7 Council 1938, WRI George Lansbury head crop.jpg|[[조지 랜즈버리]], 1932-1935
 
Clement Attlee.PNG|[[클레멘트 애틀리]], 1935-1955
 
James Callaghan.JPG|[[제임스 캘러헌]], 1976-1980
 
Michael Foot (1981).jpg|[[마이클 푸트]], 1980-1983
 
Kinnock, Neil.jpg|[[닐 키녹]], 1983-1992
 
Silver - replace this image male.svg|[[존 스미스 (정치인)|존 스미스]], 1992-1994
 
WORLD ECONOMIC FORUM ANNUAL MEETING 2009 - Tony Blair.jpg|[[토니 블레어]], 1994-2007
 
Gordon Brown official.jpg|[[고든 브라운]], 2007-2010
 
Ed Miliband 2.jpg|[[에드 밀리밴드]], 2010-2015
 
Jeremy Corbyn.jpg|[[제레미 코빈]], 2015-
 
</gallery>
 
 
== 역대 선거결과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100%; text-align: center;"
 
!선거||당선자||득표율||당 대표
 
|-
 
| [[1892년 영국 총선|1892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0|670|#DC241F}} ||style="text-align: left;"| 0.01% ||rowspan="4" | [[제임스 키어 하디]]
 
|-
 
| [[1895년 영국 총선|1895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0|670|#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0|1}} 1.1%
 
|-
 
| [[1900년 영국 총선|1900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2|670|#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0|2}} 1.8%
 
|-
 
| [[1906년 영국 총선|1906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29|670|#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0|5}} 4.8%
 
|-
 
| [[1910년 1월 영국 총선|1910년 1월 총선]] || {{정당 정보/의석|40|670|#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0|8}} 7.6% ||[[아서 헨더슨]]
 
|-
 
| [[1910년 12월 영국 총선|1910년 12월 총선]] || {{정당 정보/의석|42|670|#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0|7}} 7.1% ||[[조지 반스]]
 
|-
 
| [[1918년 영국 총선|1918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57|707|#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2|1}} 20.8% ||[[윌리엄 애덤슨]]
 
|-
 
| [[1922년 영국 총선|1922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142|615|#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3|0}} 29.7% || [[존 클라인즈]]
 
|-
 
| [[1923년 영국 총선|1923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191|615|#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3|1}} 30.7% ||rowspan="3" | [[램지 맥도널드]]
 
|-
 
| [[1924년 영국 총선|1924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151|615|#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3|3}} 33.3%
 
|-
 
| [[1929년 영국 총선|1929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287|615|#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3|7}} 37.1%
 
|-
 
| [[1931년 영국 총선|1931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46|615|#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2|9}} 29.4%||[[아서 헨더슨]]
 
|-
 
| [[1935년 영국 총선|1935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154|615|#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3|8}} 38% ||rowspan="5" |[[클레멘트 애틀리]]
 
|-
 
| [[1945년 영국 총선|1945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393|640|#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4|8}} 47.7%
 
|-
 
| [[1950년 영국 총선|1950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315|625|#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4|6}} 46.1%
 
|-
 
| [[1951년 영국 총선|1951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295|625|#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4|9}} 48.8%
 
|-
 
| [[1955년 영국 총선|1955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277|630|#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4|6}} 46.4%
 
|-
 
| [[1959년 영국 총선|1959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258|630|#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4|4}} 43.8% ||[[휴 게이츠켈]]
 
|-
 
| [[1964년 영국 총선|1964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317|630|#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4|4}} 44.1% ||rowspan="5" | [[해럴드 윌슨]]
 
|-
 
| [[1966년 영국 총선|1966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364|630|#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4|8}} 48%
 
|-
 
| [[1970년 영국 총선|1970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288|630|#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4|3}} 43.1%
 
|-
 
| [[1974년 2월 영국 총선|1974년 2월 총선]] || {{정당 정보/의석|301|635|#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3|7}} 37.2%
 
|-
 
| [[1974년 10월 영국 총선|1974년 10월 총선]] || {{정당 정보/의석|319|635|#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3|9}} 39.2%
 
|-
 
| [[1979년 영국 총선|1979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269|635|#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3|7}} 36.9% ||[[제임스 캘러헌]]
 
|-
 
| [[1983년 영국 총선|1983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209|650|#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2|8}} 26.7% || [[마이클 풋]]
 
|-
 
| [[1987년 영국 총선|1987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229|650|#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3|1}} 30.8% ||rowspan="2" | [[닐 키녹]]
 
|-
 
| [[1992년 영국 총선|1992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271|651|#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3|4}} 34.4%
 
|-
 
| [[1997년 영국 총선|1997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418|659|#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4|3}} 43.2% ||rowspan="3" | [[토니 블레어]]
 
|-
 
| [[2001년 영국 총선|2001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413|659|#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4|1}} 40.7%
 
|-
 
| [[2005년 영국 총선|2005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355|646|#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3|5}} 35.2%
 
|-
 
| [[2010년 영국 총선|2010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258|650|#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2|9}} 29% ||[[고든 브라운]]
 
|-
 
| [[2015년 영국 총선|2015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232|650|#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3|0}} 30.4% ||[[에드 밀리밴드]]
 
|-
 
| [[2017년 영국 총선|2017년 총선]] || {{정당 정보/의석|262|650|#DC241F}} ||style="text-align: left;"| {{막대|적|4|0}} 40%
 
| [[제러미 코빈]]
 
|}
 
 
== 각주 ==
 
{{각주}}
 
 
== 같이 보기 ==
 
* [[자유민주당 (영국)]]
 
* [[보수당 (영국)]]
 
 
 
{{영국의 정당}}
 
 
[[분류:노동당 (영국)| ]]
 
[[분류:1900년 설립된 정당]]
 
[[분류:영국의 정당]]
 
[[분류:노동당]]
 
[[분류:사회민주주의 정당]]
 
[[분류:민주사회주의 정당]]
 
[[분류:사회민주진보동맹]]
 
[[분류:유럽 사회당]]
 
[[분류:사회주의 인터내셔널]]
 
[[분류:진보동맹]]
 

2021년 1월 10일 (일) 18:02 판

노동당
Labour Party
약칭 Lab
표어 소수가 아닌 다수를 위해
(For the many, Not the few)
영국의 재건설
(Rebuilding Britain)
당가
"The Red Flag"
"적기가"

상징색 적색
이념 민주사회주의[1]
사회민주주의[2]
반자본주의[3]
스펙트럼 중도좌파[4][5][6]
~좌익[7][8][9][10][11][12][13]
역사적(1997 ~ 2015)
중도주의[14][15] ~ 중도좌파[16]
당원  (2018년) 552,000명[17]
당직자
당수 제러미 코빈
역사
창당 1900년 2월 27일
예하 부문
중앙당사 영국 런던 빅토리아가 39
학생조직 학생 노동당 (Labour Students)
청년조직 청년 노동당 (Young Labour)
국제 부문
국제조직 진보동맹
사회주의 인터내셔널 (옵서버)
유럽의회 교섭단체 사회민주진보동맹
의석
유럽의회
10 / 73
서민원
247 / 650
귀족원
181 / 781
스코틀랜드 의회
22 / 129
웨일스 의회
29 / 60
런던 의회
12 / 25
경찰국장
15 / 40
잉글랜드, 웨일스 시장
13 / 17
지방의회
6,470 / 20,210
  1. The Labour Party offcial website, "Britain's democratic socialist party"
  2. http://www.parties-and-elections.eu/unitedkingdom.html
  3. https://www.yenisafak.com/en/world/britains-opposition-labour-party-plots-overthrow-of-capitalism-3467200
  4. https://www.ft.com/content/e03f1e1e-a938-11e8-94bd-cba20d67390c
  5. https://www.theguardian.com/politics/2018/apr/08/a-daft-waste-of-time-labour-pours-scorn-on-new-centrist-party
  6. https://www.theatlantic.com/international/archive/2018/09/britains-labour-party-divisions/571483/
  7. https://www.economist.com/britain/2018/01/18/labours-left-wing-tightens-its-grip-on-the-party
  8. https://www.theguardian.com/books/2018/mar/08/party-with-socialists-simon-hannah-review-labour-left
  9. https://www.britannica.com/topic/Labour-Party-political-party
  10. https://www.plutobooks.com/blog/key-moments-made-labour-left/
  11. https://www.foxnews.com/world/uks-left-wing-labour-party-engulfed-by-anti-semitism-crisis
  12. https://books.openedition.org/psn/6871
  13. https://www.nytimes.com/2018/09/24/world/europe/uk-labour-economy-mcdonnell.html
  14. https://www.ft.com/content/24237acc-b270-11e8-8d14-6f049d06439c
  15. https://marketbusinessnews.com/financial-glossary/third-way-definition-meaning/
  16. https://www.newstatesman.com/2017/05/1997-election-archive-centre-left-centre-stage
  17. Pope, Conor (2016년 7월 7일). “Brexit bounce means Labour now has over half a million members | LabourList”. 《LabourList》. 2016년 7월 1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