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여국 지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잔글
30번째 줄: 30번째 줄:
 
=== 제산주의 기후 ===
 
=== 제산주의 기후 ===
 
[[제주특별자치주]]를 포함한 [[제산주]]는 4계절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냉대 동계 소우기후와 온난 하우 기후, 온난 습윤 기후가 나타난다. 겨울에는 북부 지역은 편서풍으로 인해 시베리아와 몽골 고원의 영향을 받아 대륙성 기후가 띠어 건조하고 추운편이고 여름에는 태평양의 영향을 받아 해양성 기후가 나타나 고온 다습하다. [[제산주]]의 북부 지역은 여름과 겨울이 길고 남부 지역에는 봄과 가을이 길다. 연 평균 기온은 10~16도이며, 가장 무더운 달인 8월에는 23 ~ 36도이고 가장 추운 달인 1월은 -6도에서 -3도이다. 하지만, 다른 주들에 비해 온난한 편이다. 비는 주로 여름에 많이 내리고 연 강수량은 50 ~ 60%가 여름에 집중된다. [[제산주]]의 연간 강수량은 1800mm 이상이다. 습도는 여름에 80% 정도를 상회한다.
 
[[제주특별자치주]]를 포함한 [[제산주]]는 4계절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냉대 동계 소우기후와 온난 하우 기후, 온난 습윤 기후가 나타난다. 겨울에는 북부 지역은 편서풍으로 인해 시베리아와 몽골 고원의 영향을 받아 대륙성 기후가 띠어 건조하고 추운편이고 여름에는 태평양의 영향을 받아 해양성 기후가 나타나 고온 다습하다. [[제산주]]의 북부 지역은 여름과 겨울이 길고 남부 지역에는 봄과 가을이 길다. 연 평균 기온은 10~16도이며, 가장 무더운 달인 8월에는 23 ~ 36도이고 가장 추운 달인 1월은 -6도에서 -3도이다. 하지만, 다른 주들에 비해 온난한 편이다. 비는 주로 여름에 많이 내리고 연 강수량은 50 ~ 60%가 여름에 집중된다. [[제산주]]의 연간 강수량은 1800mm 이상이다. 습도는 여름에 80% 정도를 상회한다.
 +
 +
== 동식물 ==
 +
기후가 다양한 만큼 대부여국 전역에는 약 15만여 종의 다양한 동식물이 분포하고 있다. 남방지역인 [[제산주]]를 제외한 나머지주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침엽수림이나 북방계 식물류가 자생하고 있다. [[서흥주]] 일부지역과 남방지역인 [[제산주]]에서는 낙엽과 상록 활엽수림이 자생하고 있다.

2018년 8월 29일 (수) 21:49 판

대부여국은 동해와 남해를 사이에 두고 일본 열도와 황해를 사이에 두고 중화인민공화국과 마주하고 있다. 육지로는 군사 분계선을 사이에 두고 중화인민공화국(중국), 러시아, 몽골과 맞닿아 있으며 동북아시아 압록강 북쪽의 지역이다. 중국의 북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복쪽과 동쪽은 흑룡강과 우수리강의 경계에 있다. 대부여국의 영토 면적약 1,220,000㎢이다.

지형

대부여국의 지형은 긴 지질 시대의 거듭되는 지각운동, 침식, 퇴적작용에 의해 산지, 평지, 계곡 해안, 고원등의 많은 지형이 되었다. 국토의 약 75%가 산지가 차지한다.

예화주, 호산주의 지형

예화주의 경우 평원은 전체 면적의 30~40%를 차지하고 산지 구릉지대가 60% 가량된다. 주요 산지로는 백두산, 길림합달산, 용강산, 대흑산 등이 있다. 주요 평원으로는 송눈평원, 송료 평원, 연길 분지, 혼춘분지, 돈화 분지 등이 있다. 예화주의 수계는 크게 넷으로 나누어지는데 가장 동남쪽으로 흘러가는 압록강과 두만강, 남쪽 경계를 따라서는 요하강의 지류들 그리고 나머지 지역은 흑룡강의 지류들인 송화강과 무단강이 흐른다.

월령주, 적원주의 지형

이 지역은 세개의 지리적 지역으로 구별할 수 있다. 서부의 저산성구릉지대, 중부의 평원, 동부의 산지이다. 서부의 구릉지대는 주로 노로아호 산지이다. 이 산지는 적원주와 중국의 내몽골 자치구의 경계를 이루고 있다. 중부의 평원은 요하 강의 유역이다. 이 지역은 대체로 평평하고 고도가 낮다. 동부지역은 백두산이 있다. 산지는 바다로 이어지면서 요동 반도를 형성한다. 평원으로는 요하(遼河) 평원이 있으며, 혼하강, 태자강, 다능강, 소능강 등이 있고 서흥주와 주경을 이루는 압록강이 있다. 해안에는 약 500여개의 섬이 있다

서흥주의 지형

서흥주의 산맥은 가장 큰 산맥이자 백두대간인 낭림산맥이 북쪽에서 남쪽으로 뻗어내렸다. 서쪽으로 강남산맥, 적유령산맥, 묘향산맥, 언진산맥, 멸악산맥등이 펼쳐져 있고. 함경북도에서 함경남도에 걸쳐 함경산맥과 부전령산맥 등이 낭림산맥과 이어져 북부와 동부가 높고 서부와 남부로 오면서 점차 낮아진다. 평야는 서흥주 면적의 약 5분의 1로 서해안 연안이나 서해안에 도달하는 하천 유역에 집중하고 있다. 주요 하천은 적원주와 주경을 이루는 압록강과 대동강, 예성강, 청천강, 재령강, 두만강이 있다. 두만강을 제외한 나머지 하천은 서해로 흘러가고 두만강은 동해로 흘러간다.

제산주의 지형

제산주는 단층과 요곡운동의 결과로 동쪽에는 높은 산지가 형성되었고 서쪽으로 갈수로 서서히 고도가 낮아진다. 이러한 현상을 동고서저의 경동지형이라 한다. 높은 산들은 태백산맥에 위치하는데 대표적인 산은 설악산, 지리산이고 제산주에서 가장 높은 산은 사화산인 한라산이다. 제산주의 강은 위쪽부터 한강, 금강, 영산강, 섬진강, 낙동강이 있다. 대부분의 강이 산지가 많은 동쪽에서 평평하고 낮은 서쪽으로 흐르고 있으며 중하류에 넓은 충적평야가 있다. 서해의 해안선은 복잡한 리아스식 해안이 있으며 조수 간만의 차가 크다. 또한 서해와 남해에는 수많은 섬이 있어 다도해라고 불린다.

기후

주(州) 별로 차이가 있지만 북위 33도 ~ 45도, 동경 126도 ~ 133도에 걸쳐 냉대기후와 온대기후등 다양한 기후가 나타난다.

예화주, 호산주의 기후

이 지역의 기후는 북방 대륙성 계절풍 기후에 속하고 길고 추운 겨울과 짧고 따듯한 여름을 관찰 할 수 있다. 1월의 평균 기온은 -20에서 -14도까지 떨어지며, 7월에는 16도에서 24도 사이에 분포한다. 연 강수량은 350~1000mm 정도이다. 러시아 지역에 가까운 예화주의 지역의 경우 아한대 기후도 나타나고 있으며 최고 -31도에서 -15도 사이로 춥다. 평균기온은 18도에서 23도이며 평균 강우량은 500~600mm 이다.

월령주, 적원주의 기후

이 지역의 기후는 유라시아 대륙 동쪽 언덕에 위치해 있어 온대형 계절풍 기후 지역이다. 일조량이 풍부하고 평균온도도 남방지역인 제산주를 제외하고 높은 편이다. 겨울이 길고, 여름은 온난하고 봄과 가을은 짧은 편이다. 동쪽 지역은 습한편이지만 서쪽은 건조한 편이다. 총 연평균 기온은 7~11도 사이이다. 계절풍 기후의 영향을 받아 지역마다 차이가 있다. 이 지역의 연강수량은 600~1100mm사이 이다. 동부산지 구릉지역은 연 강수량 400mm정도로 주 전체의 최소 강수량 지역이다. 중부 평원의 강수량은 연평균 600mm정도로 농사에 알맞다.

서흥주의 기후

서흥주는 대륙성 냉대 기후로 일부 지역에서는 온대 기후가 나타난다. 냉대 지역에서는 냉대 동계 소우 기후와 냉대 습윤 기후가 나타나고 온대 지역에서는 온난 습윤 기후, 온대 하우 기후가 나타난다.

제산주의 기후

제주특별자치주를 포함한 제산주는 4계절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냉대 동계 소우기후와 온난 하우 기후, 온난 습윤 기후가 나타난다. 겨울에는 북부 지역은 편서풍으로 인해 시베리아와 몽골 고원의 영향을 받아 대륙성 기후가 띠어 건조하고 추운편이고 여름에는 태평양의 영향을 받아 해양성 기후가 나타나 고온 다습하다. 제산주의 북부 지역은 여름과 겨울이 길고 남부 지역에는 봄과 가을이 길다. 연 평균 기온은 10~16도이며, 가장 무더운 달인 8월에는 23 ~ 36도이고 가장 추운 달인 1월은 -6도에서 -3도이다. 하지만, 다른 주들에 비해 온난한 편이다. 비는 주로 여름에 많이 내리고 연 강수량은 50 ~ 60%가 여름에 집중된다. 제산주의 연간 강수량은 1800mm 이상이다. 습도는 여름에 80% 정도를 상회한다.

동식물

기후가 다양한 만큼 대부여국 전역에는 약 15만여 종의 다양한 동식물이 분포하고 있다. 남방지역인 제산주를 제외한 나머지주의 경우 다양한 종류의 침엽수림이나 북방계 식물류가 자생하고 있다. 서흥주 일부지역과 남방지역인 제산주에서는 낙엽과 상록 활엽수림이 자생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