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쿠오카"의 두 판 사이의 차이

3번째 줄: 3번째 줄:
 
||<-3><width=50%><#005BAC> {{{#ffffff '''국기'''}}} ||<-3><width=50%><#005BAC> {{{#ffffff '''국장'''}}} ||
 
||<-3><width=50%><#005BAC> {{{#ffffff '''국기'''}}} ||<-3><width=50%><#005BAC> {{{#ffffff '''국장'''}}} ||
 
||<-6><#005BAC> {{{#ffffff '''상징'''}}} ||
 
||<-6><#005BAC> {{{#ffffff '''상징'''}}} ||
||<width=35%><-2><#005BAC> {{{#ffffff '''표어'''}}} ||<-4>.[br](하티크바; 희망) ||
+
||<width=35%><-2><#005BAC> {{{#ffffff '''표어'''}}} ||<-4> 극동의 관문[br](영어:Gateway to peace in the Far East)[br](일본어:極東平和の関門) ||
||<-2><#005BAC> {{{#ffffff '''국가'''}}} ||<-4>[[하티크바|התקווה]](하티크바; 희망) ||
+
||<-2><#005BAC> {{{#ffffff '''국가'''}}} ||<-4> 희망의 빛 ||
||<-2><#005BAC> {{{#ffffff '''국화'''}}} ||<-4>없음||
+
||<-2><#005BAC> {{{#ffffff '''국화'''}}} ||<-4> 매화 ||
||<-2><#005BAC> {{{#ffffff '''국목'''}}} ||<-4>[[올리브]] [[나무]] ||
+
||<-2><#005BAC> {{{#ffffff '''국목'''}}} ||<-4> 먼나무 ||
||<-2><#005BAC> {{{#ffffff '''국조'''}}} ||<-4>[[후투티]] ||
+
||<-2><#005BAC> {{{#ffffff '''국조'''}}} ||<-4> 붉은부리갈매기 ||
 
||<-6><#005BAC> {{{#ffffff '''역사'''}}} ||
 
||<-6><#005BAC> {{{#ffffff '''역사'''}}} ||
||<-6> 건국: [[1948년]] [[5월 14일]] ||
+
||<-6> '''영국으로부터 독립'''[br]'''자유도시 성립''' 1340년[br]'''자치화''' 1587년[br]'''후쿠오카 번 성립''' 1600년[br]'''영국 점령''' 1862년 12월 1일[br]'''시민투표''' 1990년 8월 31일[br]'''독립''' 1995년 12월 1일 ||
 
||<-6><#005BAC> {{{#ffffff '''수도'''}}} ||
 
||<-6><#005BAC> {{{#ffffff '''수도'''}}} ||
||<-6> [[예루살렘]][* 국제사회의 인정을 받지 못했다. 다만 [[2018년]] 들어서 [[미국]]이 예루살렘을 수도로 인정하면서 대사관을 예루살렘으로 이전하려는 움직임이 보인다.] ||
+
||<-6> [[후쿠오카 (도시)|후쿠오카]] [* 도시국가이므로 후쿠오카가 유일한 도시이자 수도이다.] ||
||<-6><#005BAC> {{{#ffffff '''최대도시'''}}} ||
 
||<-6> [[텔아비브]][* 외국 대사관들이 주재하고 있다. ] ||
 
 
||<-6><#005BAC> {{{#ffffff '''면적'''}}} ||
 
||<-6><#005BAC> {{{#ffffff '''면적'''}}} ||
||<-6> 20,770km²(직접 통치 한정)[br]28,247km²(간접 통치 포함) ||
+
||<-6> 343.39km² ||
 
||<-6><#005BAC> {{{#ffffff '''인문 환경'''}}} ||
 
||<-6><#005BAC> {{{#ffffff '''인문 환경'''}}} ||
||<width=13%><|4><#005BAC> {{{#ffffff '''인구'''}}} ||<width=22%><#005BAC> {{{#ffffff '''총인구'''}}} ||<-4>8,901,900 명 ||
+
||<width=13%><|4><#005BAC> {{{#ffffff '''인구'''}}} ||<width=22%><#005BAC> {{{#ffffff '''총인구'''}}} ||<-4> 1,570,095 명 ||
||<#005BAC> {{{#ffffff '''민족 구성'''}}} ||<-4>[[유대인]](74.5%)[br][[아랍인]](20.9%)[br]기타(4.6%) ||
+
||<#005BAC> {{{#ffffff '''민족 구성'''}}} ||<-4> 일본계(72.5%)[br]백인(16.9%)[br]중국계(6.0%)[br]기타(4.6%) ||
||<#005BAC> {{{#ffffff '''인구밀도'''}}} ||<-4>400명/km² ||
+
||<#005BAC> {{{#ffffff '''인구밀도'''}}} ||<-4> 4,572명/km² ||
||<#005BAC> {{{#ffffff '''출산율'''}}} ||<-4>3.3명 / 세계 66위 ||
+
||<#005BAC> {{{#ffffff '''출산율'''}}} ||<-4> 1.71명 / 세계 171위 ||
||<-2><#005BAC> {{{#ffffff '''공용 언어'''}}} ||<-4>[[히브리어]][* 아랍어는 이스라엘내에서 아랍인들이 상당수가 거주하고 있어서 아랍어도 널리 사용되는 편이다. 그리고 아랍어는 2018년 7월 19일까지 히브리어와 함께 공용어로도 지정되었지만, 유대민족법이 제정되면서 특수지위의 언어로 격하되었다.[[http://v.media.daum.net/v/20180719162603029?rcmd=rn|#]]] ||
+
||<-2><#005BAC> {{{#ffffff '''공용 언어'''}}} ||<-4> [[일본어]], [[영어]] ||
||<-2><#005BAC> {{{#ffffff '''종교'''}}} ||<-4>'''국교 없음'''([[정교분리]])[br][[유대교]](74.7%)[br][[이슬람]](17.7%)[br][[기독교]](2.0%)[br][[드루즈교]](1.6%)[br]기타(4.0%) ||
+
||<-2><#005BAC> {{{#ffffff '''종교'''}}} ||<-4> '''국교 없음'''(정교분리)[br]신토(21%)[br]불교(18%)[br]기독교(11%)[br]기타(5%)[br]무종교(45%) ||
||<-2><#005BAC> {{{#ffffff '''자국군 보유 여부'''}}} ||<-4>[[이스라엘 방위군]] ||
+
||<-2><#005BAC> {{{#ffffff '''자국군 보유 여부'''}}} ||<-4> [[후쿠오카군]] ||
 
||<-6><#005BAC> {{{#ffffff '''하위 행정구역'''}}} ||
 
||<-6><#005BAC> {{{#ffffff '''하위 행정구역'''}}} ||
||<-6> +972 ||
+
||<-6> 1시 7구 ||
 
||<-6><#005BAC> {{{#ffffff '''정치'''}}} ||
 
||<-6><#005BAC> {{{#ffffff '''정치'''}}} ||
||<-2><#005BAC> {{{#ffffff '''정치 체제'''}}} ||<-4>[[단일국가]], [[내각제]], [[공화국]] ||
+
||<-2><#005BAC> {{{#ffffff '''정치 체제'''}}} ||<-4> 의원 내각제, 단원제, 다당제 ||
||<-2><#005BAC> {{{#ffffff '''민주주의지수'''}}} ||<-4>167개국 중 30위(결함있는민주주의) ||
+
||<-2><#005BAC> {{{#ffffff '''민주주의지수'''}}} ||<-4> 167개국 중 22위(결함있는민주주의) ||
||<-2><#005BAC> {{{#ffffff '''국가원수'''}}} ||<|2><-4>레우벤 리블린 ||
+
||<-2><#005BAC> {{{#ffffff '''국가원수'''}}} ||<|2><-4> 무라카와 준모 ||
 
||<-2><#005BAC> {{{#ffffff '''대통령'''}}} ||
 
||<-2><#005BAC> {{{#ffffff '''대통령'''}}} ||
||<|3><#005BAC> {{{#ffffff '''정부 요인'''}}} ||<#005BAC> {{{#ffffff '''총리'''}}} ||<-4>[[베냐민 네타냐후]] ||
+
||<|3><#005BAC> {{{#ffffff '''정부 요인'''}}} ||<#005BAC> {{{#ffffff '''국무총리'''}}} ||<-4> 도요타 다이쥬 ||
||<#005BAC> {{{#ffffff '''의회 의장'''}}} ||<-4>율리 에델스타인 ||
+
||<#005BAC> {{{#ffffff '''의회 의장'''}}} ||<-4> 코로 부켄 ||
||<#005BAC> {{{#ffffff '''대법원장'''}}} ||<-4>에스테르 하유트 ||
+
||<#005BAC> {{{#ffffff '''대법원장'''}}} ||<-4> 분자이 와자와이 ||
 
||<-8><#005BAC> {{{#ffffff '''경제'''}}} ||
 
||<-8><#005BAC> {{{#ffffff '''경제'''}}} ||
||<-2><#005BAC> {{{#ffffff '''경제 체제'''}}} ||<-4>[[자본주의]] ||
+
||<-2><#005BAC> {{{#ffffff '''경제 체제'''}}} ||<-4> 자본주의, 자유시장경제 ||
||<|2><#005BAC> [[GDP|{{{#ffffff '''명목 GDP'''}}}]] ||<#005BAC> {{{#ffffff '''전체 GDP'''}}} ||<-4>$361.609억 / 34위 ||
+
||<|2><#005BAC> [[GDP|{{{#ffffff '''명목 GDP'''}}}]] ||<#005BAC> {{{#ffffff '''전체 GDP'''}}} ||<-4> $906억 / 64위 ||
||<#005BAC> {{{#ffffff '''1인당 GDP'''}}} ||<-4>$40,762 / 20위 ||
+
||<#005BAC> {{{#ffffff '''1인당 GDP'''}}} ||<-4> $57,703 / 7위 ||
||<|2><#005BAC> [[GDP(PPP)|{{{#ffffff '''GDP(PPP)'''}}}]] ||<#005BAC> {{{#ffffff '''전체 GDP'''}}} ||<-4>$332.541억 / 54위 ||
+
||<|2><#005BAC> [[GDP(PPP)|{{{#ffffff '''GDP(PPP)'''}}}]] ||<#005BAC> {{{#ffffff '''전체 GDP'''}}} ||<-4> $1198억 / 81위 ||
||<#005BAC> {{{#ffffff  '''1인당 GDP'''}}} ||<-4>$37,486 / 35위 ||
+
||<#005BAC> {{{#ffffff  '''1인당 GDP'''}}} ||<-4> $76,301 / 5위 ||
||<|2><#005BAC> {{{#ffffff '''수출입액'''}}} ||<#005BAC> {{{#ffffff '''수출'''}}} ||<-4>$1,268,293,000 ||
+
||<|2><#005BAC> {{{#ffffff '''수출입액'''}}} ||<#005BAC> {{{#ffffff '''수출'''}}} ||<-4> $10,109,080,000 ||
||<#005BAC> {{{#ffffff '''수입'''}}} ||<-4>$1,167,007,000 ||
+
||<#005BAC> {{{#ffffff '''수입'''}}} ||<-4> $5,367,800,000 ||
||<-2><:><#005BAC>'''[[외환보유액|{{{#ffffff 외환보유액}}}]]'''||<-4>$83,976,000,000 ||
+
||<-2><:><#005BAC>'''[[외환보유액|{{{#ffffff 외환보유액}}}]]'''||<-4> $209,556,000,000 ||
||<-2><#005BAC> {{{#ffffff '''신용 등급'''}}} ||<-4>[[무디스]] A1[br][[S&P]] A+[br][[Fitch]] A ||
+
||<-2><#005BAC> {{{#ffffff '''신용 등급'''}}} ||<-4> [[무디스]] Aaa[br][[S&P]] AAA[br][[Fitch]] AAA ||
||<|2><#005BAC> {{{#ffffff '''화폐'''}}} ||<#005BAC> {{{#ffffff  '''공식 화폐'''}}} ||<-4>[[셰켈#s-4|이스라엘 신 셰켈]](שקל חדש,₪) ||
+
||<|2><#005BAC> {{{#ffffff '''화폐'''}}} ||<#005BAC> {{{#ffffff  '''공식 화폐'''}}} ||<-4> 후쿠오카 달러 (FK$) ||
||<#005BAC> [[ISO 4217|{{{#ffffff '''ISO 4217'''}}}]] ||<-4>ILS ||
+
||<#005BAC> [[ISO 4217|{{{#ffffff '''ISO 4217'''}}}]] ||<-4> FKD ||
||<-2><#005BAC> {{{#ffffff '''인간개발지수(HDI)'''}}} ||<-4>[[무디스]] A1[br][[S&P]] A+[br][[Fitch]] A ||
+
||<-2><#005BAC> {{{#ffffff '''인간개발지수(HDI)'''}}} ||<-4> 0.905 ||
||<-2><#005BAC> {{{#ffffff '''지니 계수'''}}} ||<-4>[[무디스]] A1[br][[S&P]] A+[br][[Fitch]] A ||
+
||<-2><#005BAC> {{{#ffffff '''지니 계수'''}}} ||<-4> 39,6 ||
 
||<-6><#005BAC>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ffffff '''ccTLD'''}}}]] ||
 
||<-6><#005BAC> [[국가 코드 최상위 도메인|{{{#ffffff '''ccTLD'''}}}]] ||
||<-6> .il ||
+
||<-6> .fk ||
 
||<-6><#005BAC> {{{#ffffff '''국가 코드'''}}} ||
 
||<-6><#005BAC> {{{#ffffff '''국가 코드'''}}} ||
||<-6> 376, IL, ISR ||
+
||<-6> 391, FK, FUK ||
 
||<-6><#005BAC> {{{#ffffff '''국제 전화 코드'''}}} ||
 
||<-6><#005BAC> {{{#ffffff '''국제 전화 코드'''}}} ||
||<-6> +972 ||
+
||<-6> +811 ||
 
||<-6><#005BAC> {{{#ffffff '''단위'''}}} ||
 
||<-6><#005BAC> {{{#ffffff '''단위'''}}} ||
||<-2><#005BAC> {{{#ffffff '''법정연호'''}}} ||<-4>[[서력기원]] ||
+
||<-2><#005BAC> {{{#ffffff '''법정연호'''}}} ||<-4> 서력기원 ||
||<-2><#005BAC> {{{#ffffff '''시간대'''}}} ||<-4>(UTC+2)([[일광 절약 시간제]] 사용) ||
+
||<-2><#005BAC> {{{#ffffff '''시간대'''}}} ||<-4> UTC+9 ||
||<-2><#005BAC> {{{#ffffff '''도량형'''}}} ||<-4>[[SI 단위]] ||
+
||<-2><#005BAC> {{{#ffffff '''도량형'''}}} ||<-4> SI 단위 ||
 
||<-6><:><#005BAC>'''{{{#ffffff 외교}}}'''||
 
||<-6><:><#005BAC>'''{{{#ffffff 외교}}}'''||
||<-2><#005BAC> '''{{{#ffffff 대한수교현황}}}''' ||<-4>[[대한민국]]: [[1962년]] [[4월 10일]][br][[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미수교[* 미승인 상태.] ||
+
||<-2><#005BAC> '''{{{#ffffff 수교국}}}''' ||<-4> 1개국 ||
||<-2><#005BAC> '''{{{#ffffff 국제연합 가입}}}''' ||<-4>[[1949년]] [[5월 11일]] ||
+
||<-2><#005BAC> '''{{{#ffffff 가상국제연합 가입}}}''' ||<-4> 가입예고] ||
||<-2><#005BAC> '''{{{#ffffff 무비자 입국}}}''' ||<-4>양국 모두 90일 ||
+
||<-6><:><#005BAC>'''{{{#ffffff 위치}}}'''||
||<-6><:><#005BAC>'''{{{#ffffff 주한 대사관/총영사관}}}'''||
+
||<-6><:><#FFFFFF> [[파일:후쿠오카 지도.png|250px]] ||
||<-2><#005BAC> '''{{{#ffffff 주한이스라엘대사관}}}''' ||<-4>서울특별시 종로구 청계천로 11 ||
 

2018년 8월 31일 (금) 20:55 판

후쿠오카 공화국
Republic of Fukuoka
福岡共和国
width=100%width=100%
국기국장
상징
표어극동의 관문
(영어:Gateway to peace in the Far East)
(일본어:極東平和の関門)
국가희망의 빛
국화매화
국목먼나무
국조붉은부리갈매기
역사
영국으로부터 독립
자유도시 성립 1340년
자치화 1587년
후쿠오카 번 성립 1600년
영국 점령 1862년 12월 1일
시민투표 1990년 8월 31일
독립 1995년 12월 1일
수도
후쿠오카 [1]
면적
343.39km²
인문 환경
인구총인구1,570,095 명
민족 구성일본계(72.5%)
백인(16.9%)
중국계(6.0%)
기타(4.6%)
인구밀도4,572명/km²
출산율1.71명 / 세계 171위
공용 언어일본어, 영어
종교국교 없음(정교분리)
신토(21%)
불교(18%)
기독교(11%)
기타(5%)
무종교(45%)
자국군 보유 여부후쿠오카군
하위 행정구역
1시 7구
정치
정치 체제의원 내각제, 단원제, 다당제
민주주의지수167개국 중 22위(결함있는민주주의)
국가원수무라카와 준모
대통령
정부 요인국무총리도요타 다이쥬
의회 의장코로 부켄
대법원장분자이 와자와이
경제
경제 체제자본주의, 자유시장경제
명목 GDP전체 GDP$906억 / 64위
1인당 GDP$57,703 / 7위
GDP(PPP)전체 GDP$1198억 / 81위
1인당 GDP$76,301 / 5위
수출입액수출$10,109,080,000
수입$5,367,800,000
외환보유액$209,556,000,000
신용 등급무디스 Aaa
S&P AAA
Fitch AAA
화폐 공식 화폐후쿠오카 달러 (FK$)
ISO 4217FKD
인간개발지수(HDI)0.905
지니 계수39,6
ccTLD
.fk
국가 코드
391, FK, FUK
국제 전화 코드
+811
단위
법정연호서력기원
시간대UTC+9
도량형SI 단위
외교
수교국1개국
가상국제연합 가입가입예고]
위치
후쿠오카 지도.png
  1. 도시국가이므로 후쿠오카가 유일한 도시이자 수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