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잉글랜드 왕국"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기후 추가)
14번째 줄: 14번째 줄:
 
||<bgcolor=#CF142B><:>{{{#white '''공용 언어'''}}}||<-2> 영어 ||
 
||<bgcolor=#CF142B><:>{{{#white '''공용 언어'''}}}||<-2> 영어 ||
 
||<bgcolor=#CF142B><:>{{{#white '''공인된 지역언어'''}}}||<-2> 웨일스어,콘월어 ||
 
||<bgcolor=#CF142B><:>{{{#white '''공인된 지역언어'''}}}||<-2> 웨일스어,콘월어 ||
||<bgcolor=#CF142B><|6><:>{{{#white '''정치'''}}}||<bgcolor=#CF142B><:>{{{#white '''국체'''}}}||<-2> 입헌군주제 ||
+
||<bgcolor=#CF142B><|6><:>{{{#white '''정치'''}}}||<bgcolor=#CF142B><:>{{{#white '''국체'''}}}||<-2> 전제군주제 ||
 
||<bgcolor=#CF142B><:>{{{#white '''정부형태'''}}}||<-2> 의원내각제 ||
 
||<bgcolor=#CF142B><:>{{{#white '''정부형태'''}}}||<-2> 의원내각제 ||
 
||<bgcolor=#CF142B><:>{{{#white '''국왕'''}}}||<-2> [[오셀롯]] ||
 
||<bgcolor=#CF142B><:>{{{#white '''국왕'''}}}||<-2> [[오셀롯]] ||
 
||<bgcolor=#CF142B><:>{{{#white '''웨일스 대공'''}}}||<-2> [[공석]] ||
 
||<bgcolor=#CF142B><:>{{{#white '''웨일스 대공'''}}}||<-2> [[공석]] ||
 
||<bgcolor=#CF142B><:>{{{#white '''콘월 공'''}}}||<-2> [[공석]] ||
 
||<bgcolor=#CF142B><:>{{{#white '''콘월 공'''}}}||<-2> [[공석]] ||
||<bgcolor=#CF142B><:>{{{#white '''총리'''}}}||<-2> [[공석]] ||
+
||<bgcolor=#CF142B><:>{{{#white '''수상'''}}}||<-2> [[공석]] ||
 
||<bgcolor=#CF142B><|3><:>{{{#white '''경제'''}}}||<bgcolor=#CF142B><:>{{{#white '''GDP'''}}}||<-2> $1조 8000억 ||
 
||<bgcolor=#CF142B><|3><:>{{{#white '''경제'''}}}||<bgcolor=#CF142B><:>{{{#white '''GDP'''}}}||<-2> $1조 8000억 ||
 
||<bgcolor=#CF142B><:>{{{#white '''1인당 GDP'''}}}||<-2> $35,300 ||
 
||<bgcolor=#CF142B><:>{{{#white '''1인당 GDP'''}}}||<-2> $35,300 ||
30번째 줄: 30번째 줄:
 
==잉글랜드 왕국==
 
==잉글랜드 왕국==
 
==역사==
 
==역사==
 +
{{참조|잉글랜드 왕국/역사}}
 
==외교==
 
==외교==
 +
{{참조|잉글랜드 왕국/외교}}
 
==왕실==
 
==왕실==
 +
{{참조|잉글랜드 왕국/왕실}}
 +
==가문==
 +
{{참조|잉글랜드 왕국/가문}}
 
==신분==
 
==신분==
 
잉글랜드 왕국에는 명목상의 신분제가 존재한다.작위는 세습,종신,성직 세가지로 분류가 된다.
 
잉글랜드 왕국에는 명목상의 신분제가 존재한다.작위는 세습,종신,성직 세가지로 분류가 된다.
71번째 줄: 76번째 줄:
 
==자연환경==
 
==자연환경==
 
===기후===
 
===기후===
===지리===
+
잉글랜드는 유럽 대륙 서해안에 나타나는 서안해양성 기후의 전형으로 여름에 선선하고 겨울에 따뜻하다. 이는 난류인 북대서양해류가 영국 주변에 흐르고 편서풍이 불어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륙 동안에 비해 여름은 선선하여 위도 20° 가량 북쪽에, 겨울은 따뜻하여 10° 가량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국가의 기후와 비슷하다. 
 +
 
 +
아조레스섬 부근의 고기압과 아이슬란드 부근의  저기압 및 유럽 대륙에 중심을 가진 겨울의 고기압, 여름의 저기압 등도 영국의 기상·기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잉글랜드 기후가  매우 변덕스러운 것은 이들 기압에 의한 변화 때문이며, 특히 아이슬란드 저기압에서 2차적으로 발생하는 이동성 저기압이 접근하여 통과할 때 기상변화가 심하다.
 +
 
 +
잉글랜드의 7월의 평균기온은 16.4℃, 런던은 17.6℃이며, 1월의 평균기온은 4.1℃,런던 4.2℃로 연교차가 비교적 적어 겨울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대륙과 달리 매우 해양적이다. 연중 기온차가 적지만 7월의 등온선이 동서로 뻗고 1월의 등온선이 남북으로 뻗어 장소에 따라 기온차가 상당하다.
 +
 
 +
잉글랜드의 북서부에서는 선선한 여름과 온화한 겨울, 북동부에서는 선선한 여름과 추운 겨울, 남서부에서는 더운 여름과 온화한 겨울, 남동부에서는 더운 여름과 추운 겨울이 나타난다. 강수량의 분포는 지형의 영향으로 지역차가 상당하다. 대서양에 면한 북부 및 서부 산지에서는 비가 많지만 동쪽 저지로 갈수록 비가 적어져 동서의 차이가 심하다.페나인산맥은 1,500∼2,500mm, 웨일스 산지가 1,000∼1,500mm이며, 가장 적은 곳은 잉글랜드 동부로 600∼700mm이다.  비는 연중 고르지만 대개 3월부터 6월까지가 가장 건조하며 9월부터 1월까지가 가장 습윤하다
 +
===지리,지형===
 +
잉글랜드의 지형은 가파르지 않으면서 고지로 된 ‘고지 잉글랜드’와 완만한 기복을 그리는 ‘저지 잉글랜드’로 대별되며, 그 경계는 동해안의 미들즈브러 부근에서 남해안의 엑서터까지 그은 선과 거의 일치된다. '고지 잉글랜드'란 이 선의 북쪽 또는 북서쪽 부분으로 페나인산맥·레이크지방·웨일스·콘월반도 등이 포함된다. 고지 잉글랜드는 해발고도가 400∼900m로서 편마암·결정편암·사암·석회암·화강암 등의 단단한 암석으로 구성되며, 콘월반도를 제외하고 양배암, 양군암 및 빙하의 침식작용으로 생긴 U자곡 등의 빙식지형이 나타난다.저지 잉글랜드는 잉글랜드의 심장부에 해당하는 잉글랜드의 저지대를 말하며, 그 북서부에는 신적암이라는 2첩기·3첩기의 사암과 점판암으로 된 평야가 전개되고, 북동부에는 두세 줄의 케스타 평야가 발달해 있다.
 +
 
 +
케스타란 암질에 따른 침식의 차이가 나타나는 지형으로, 석회암·사암 등과 같이 단단한 지층은 침식에 맞서 급사면을 이루며, 이암·점토층 등과 같이 무른 지층은 반대 쪽으로 완만한 사면을 형성한다. 고지 잉글랜드와 저지 잉글랜드의 경계 근처에는 잉글랜드 산업혁명의 모태가 된 석탄층이 널리 분포해 있다.
 +
 
 +
그 대부분은 고생대 석탄기에 생긴 역청탄이며, 주요 탄전으로는 북동 해안의 노섬벌랜드더럼탄전, 페나인산맥 동쪽 기슭의 요크셔 탄전, 노팅엄더비 탄전, 웨일스 남부의 남웨일스 탄전 등이 있다. 그밖에 주요 광물자원으로는 철광석과 주석이 있다. 철광석은 요크셔의 클리블랜드를 비롯하여 페나인산맥의 가장자리와 웨일스 남부 등에 광산이 많으며, 주석은 콘월반도에서 산출되는데, 현재는 부광이 고갈 상태이다.
 +
 
 
==행정구역==
 
==행정구역==
 
===주===
 
===주===

2019년 3월 3일 (일) 16:59 판

잉글랜드 왕국
Kingdom of England
잉글랜드 국기.png
국기
잉글랜드 문장.png
국장
국호잉글랜드 왕국
Kingdom of England
상징국가하느님,국왕 폐하를 지켜주소서
국화장미
국수사자
표어하느님과 나의 권리
자연환경면적(영토)150,509km²
인문환경인구57,849,756명
인구밀도391명/km²
공용 언어영어
공인된 지역언어웨일스어,콘월어
정치국체전제군주제
정부형태의원내각제
국왕오셀롯
웨일스 대공공석
콘월 공공석
수상공석
경제GDP$1조 8000억
1인당 GDP$35,300
공식 화폐운드
단위
법정연호서력기원 2019년
시간대GMT(UTC +0)

잉글랜드 왕국

역사

외교

왕실

가문

신분

잉글랜드 왕국에는 명목상의 신분제가 존재한다.작위는 세습,종신,성직 세가지로 분류가 된다.

작위 등급 세속작위 성직작위
1 (황제) (교황)
2 국왕 추기경
3 대공 추기경
4 공작 총대주교
5 후작 대주교
6 백작 주교
7 자작 사제
8 남작 사제
9 준남작 부제
10 기사 수도사 (또는 부제)
11 명예시민 수도사
12 시민 수도사

[1]

문화

스포츠

축구

잉글랜드 왕국의 국기는 축구이다.그 만큼 국민 전체가 축구에 대한 자부심이 강하며 국내 축구 리그인 프리미어 리그도 전세계에서 손에 꼽힐 정도의 수준을 자랑하고 있다.
프리미어리그

럭비

자연환경

기후

잉글랜드는 유럽 대륙 서해안에 나타나는 서안해양성 기후의 전형으로 여름에 선선하고 겨울에 따뜻하다. 이는 난류인 북대서양해류가 영국 주변에 흐르고 편서풍이 불어오기 때문이다. 따라서 대륙 동안에 비해 여름은 선선하여 위도 20° 가량 북쪽에, 겨울은 따뜻하여 10° 가량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국가의 기후와 비슷하다.

아조레스섬 부근의 고기압과 아이슬란드 부근의 저기압 및 유럽 대륙에 중심을 가진 겨울의 고기압, 여름의 저기압 등도 영국의 기상·기후를 결정하는 주요 요인이다. 잉글랜드 기후가 매우 변덕스러운 것은 이들 기압에 의한 변화 때문이며, 특히 아이슬란드 저기압에서 2차적으로 발생하는 이동성 저기압이 접근하여 통과할 때 기상변화가 심하다.

잉글랜드의 7월의 평균기온은 16.4℃, 런던은 17.6℃이며, 1월의 평균기온은 4.1℃,런던 4.2℃로 연교차가 비교적 적어 겨울 기온이 영하로 떨어지는 대륙과 달리 매우 해양적이다. 연중 기온차가 적지만 7월의 등온선이 동서로 뻗고 1월의 등온선이 남북으로 뻗어 장소에 따라 기온차가 상당하다.

잉글랜드의 북서부에서는 선선한 여름과 온화한 겨울, 북동부에서는 선선한 여름과 추운 겨울, 남서부에서는 더운 여름과 온화한 겨울, 남동부에서는 더운 여름과 추운 겨울이 나타난다. 강수량의 분포는 지형의 영향으로 지역차가 상당하다. 대서양에 면한 북부 및 서부 산지에서는 비가 많지만 동쪽 저지로 갈수록 비가 적어져 동서의 차이가 심하다.페나인산맥은 1,500∼2,500mm, 웨일스 산지가 1,000∼1,500mm이며, 가장 적은 곳은 잉글랜드 동부로 600∼700mm이다. 비는 연중 고르지만 대개 3월부터 6월까지가 가장 건조하며 9월부터 1월까지가 가장 습윤하다

지리,지형

잉글랜드의 지형은 가파르지 않으면서 고지로 된 ‘고지 잉글랜드’와 완만한 기복을 그리는 ‘저지 잉글랜드’로 대별되며, 그 경계는 동해안의 미들즈브러 부근에서 남해안의 엑서터까지 그은 선과 거의 일치된다. '고지 잉글랜드'란 이 선의 북쪽 또는 북서쪽 부분으로 페나인산맥·레이크지방·웨일스·콘월반도 등이 포함된다. 고지 잉글랜드는 해발고도가 400∼900m로서 편마암·결정편암·사암·석회암·화강암 등의 단단한 암석으로 구성되며, 콘월반도를 제외하고 양배암, 양군암 및 빙하의 침식작용으로 생긴 U자곡 등의 빙식지형이 나타난다.저지 잉글랜드는 잉글랜드의 심장부에 해당하는 잉글랜드의 저지대를 말하며, 그 북서부에는 신적암이라는 2첩기·3첩기의 사암과 점판암으로 된 평야가 전개되고, 북동부에는 두세 줄의 케스타 평야가 발달해 있다.

케스타란 암질에 따른 침식의 차이가 나타나는 지형으로, 석회암·사암 등과 같이 단단한 지층은 침식에 맞서 급사면을 이루며, 이암·점토층 등과 같이 무른 지층은 반대 쪽으로 완만한 사면을 형성한다. 고지 잉글랜드와 저지 잉글랜드의 경계 근처에는 잉글랜드 산업혁명의 모태가 된 석탄층이 널리 분포해 있다.

그 대부분은 고생대 석탄기에 생긴 역청탄이며, 주요 탄전으로는 북동 해안의 노섬벌랜드더럼탄전, 페나인산맥 동쪽 기슭의 요크셔 탄전, 노팅엄더비 탄전, 웨일스 남부의 남웨일스 탄전 등이 있다. 그밖에 주요 광물자원으로는 철광석과 주석이 있다. 철광석은 요크셔의 클리블랜드를 비롯하여 페나인산맥의 가장자리와 웨일스 남부 등에 광산이 많으며, 주석은 콘월반도에서 산출되는데, 현재는 부광이 고갈 상태이다.

행정구역

대공령

공작령

정부와 정치

내각

의회

귀족원

서민원

  1. 잉글랜드 왕국에서 존재하지 않는 작위는 괄호로 표기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