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르큰 왕국/군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이 문서는 다르큰 왕국의 군대인 다르큰 왕국군을 설명하는 문서입니다. == 개요 == 다르큰 왕국군은 왕국이 내륙국에 속하므로 해군력...)
 
 
2번째 줄: 2번째 줄:
  
 
== 개요 ==
 
== 개요 ==
다르큰 왕국군은 왕국이 내륙국에 속하므로 해군력이 없지만, 해군력에 투자하는 방위비를 육군과 공군에 투자하고 있다. 왕국군은 16만여명으로 인구대비 군인이 적다. 몇년 전 좌파 진영에서는 징병제를 도입하자는 의견이 있었지만 주변국들의 관계 악화를 우려한
+
다르큰 왕국군은 왕국이 내륙국에 속하므로 해군력이 없지만, 해군력에 투자하는 방위비를 육군과 공군에 투자하고 있다. 왕국군은 16만여명으로 인구대비 군인이 적다. 몇년 전 좌파 진영에서는 징병제를 도입하자는 의견이 있었지만 주변국들의 관계 악화를 우려한 카모르 3세와 우파 진영이 격렬히 반대했다. 병력수를 육군과 공군으로 나누면 육군 12만명,공군 4만명으로 나뉜다. 도칼 가문의 독재 시절 때 친사회주의 국가였기 때문에 동구권 무기와 서구권 무기의 비중이 비슷한 이유가 되었다.
 
 
카모르 3세와 우파 진영이 격렬히 반대했다.
 
 
 
병력수를 육군과 공군으로 나누면 육군 12만명,  
 
 
 
공군 4만명으로 나뉜다. 도칼 가문의 독재 시절 때 친사회주의 국가였기 때문에 동구권 무기와 서구권 무기의 비중이 비슷한 이유가 되었다.
 
 
 
  
 
== 육군 ==
 
== 육군 ==

2020년 11월 20일 (금) 20:54 기준 최신판

이 문서는 다르큰 왕국의 군대인 다르큰 왕국군을 설명하는 문서입니다.

개요

다르큰 왕국군은 왕국이 내륙국에 속하므로 해군력이 없지만, 해군력에 투자하는 방위비를 육군과 공군에 투자하고 있다. 왕국군은 16만여명으로 인구대비 군인이 적다. 몇년 전 좌파 진영에서는 징병제를 도입하자는 의견이 있었지만 주변국들의 관계 악화를 우려한 카모르 3세와 우파 진영이 격렬히 반대했다. 병력수를 육군과 공군으로 나누면 육군 12만명,공군 4만명으로 나뉜다. 도칼 가문의 독재 시절 때 친사회주의 국가였기 때문에 동구권 무기와 서구권 무기의 비중이 비슷한 이유가 되었다.

육군

앞서 말했듯이 육군은 12만명의 규모로 유지되고 있다. 전차전력으로는 레오파드 2A4 167대,

레오파드 2A5 111대, NJ 8대, t-72도 82대 보유 중에 있다. 또한 PT-91 99대, MA형 31대,

MA1형 124대, T-90 67대를 보유 중에 있다.

장갑차는 BMP 1331대, MT-LB 423대 보유 중이다. 포병으로는 2S1 자주포 439문, 다나 209문, M109 팔라딘 150mm 32문을 운용 중이다.

(다련장:BM-21 149문, RM-70 32문, WR-40 83문 야전포 213대)

공군

공군은 4만명 규모이며, 전투헬기는 하인드 35기.

전투기는 F-16A 68기, B형 79기, D형 61기,

미그-29A/UB 86기, SU-22 85기가 있다. 또 미그-31A 73기를 보유중이다.계속해서 F-16을 도입하고는 있지만 시간이 오래 걸릴 것으로 보인다. 또한 공중급유기 4대, 조기경보기 7대를 운용 중이다.

그 외

국방비:GDP 대비 3.4%(120,4444,7967💲)

국경 주둔

제 1 군단-독일 남부국경선에 주둔 중

제 4 사단-독일 남부국경선에 주둔 중

제 5 사단-독일 북부국경선에 주둔 중

제 2 여단-독일 북부국경선에 주둔 중

제 5 여단-독일 북부국경선에 주둔 중

제 7 여단-독일 북부국경선에 주둔 중

제 1 사단-발트 국경선에 주둔 중

제 1 보병연대-발트 국경선에 주둔 중

제 6 여단-발트 국경선에 주둔 중

제 1 여단-갈리치아 국경선에 주둔 중

제 2 여단-리베르티아 국경선에 주둔 중

제 5 연대-리베르티아 국경선에 주둔 중

국내 주둔

수도방위군단-네리트마에 주둔 중

제 2 사단-네리트마에 주둔 중

제 2 군단-바르샤바에 주둔 중

제 3 군단-바르샤바에 주둔 중

제 3 사단-바르샤바에 주둔 중

제 3 여단-네리트마에 주둔 중

제 2 보병연대-네리트마에 주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