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콩특별행정구/정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3번째 줄: 3번째 줄:
 
==역사==
 
==역사==
 
==입법==
 
==입법==
[[파일:홍콩입법부로고.png|200px]]<br>
+
[[파일:홍콩입법부로고.png|90px]]<br>
 
[[홍콩특별행정구|홍콩]]의 입법부는 '''[[홍콩특별행정구 입법회]](香港特別行政區立法會)'''가 담당하고 있다. 1843년에 설치된 영국령 시절 입법국을 최초전신으로 두고있다. 1995년에 최후의 영국령 홍콩 총독인 크리스 패튼의 정치개혁으로 소선거구제 도입과 직능선거권자 범위 확대 등으로 완전 민선화되었다. 홍콩 반환 이후 최근 홍콩 독립운동을 지지하는 급진 인사들이 당선되어 구 민주파 정당들이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었으나, 친중계열 정치인들이 대거 정권교체를 진행하는 바람에 민주파 정당의 세력은 2,3년전 보다 악화되었다.
 
[[홍콩특별행정구|홍콩]]의 입법부는 '''[[홍콩특별행정구 입법회]](香港特別行政區立法會)'''가 담당하고 있다. 1843년에 설치된 영국령 시절 입법국을 최초전신으로 두고있다. 1995년에 최후의 영국령 홍콩 총독인 크리스 패튼의 정치개혁으로 소선거구제 도입과 직능선거권자 범위 확대 등으로 완전 민선화되었다. 홍콩 반환 이후 최근 홍콩 독립운동을 지지하는 급진 인사들이 당선되어 구 민주파 정당들이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었으나, 친중계열 정치인들이 대거 정권교체를 진행하는 바람에 민주파 정당의 세력은 2,3년전 보다 악화되었다.
  
9번째 줄: 9번째 줄:
  
 
==행정==
 
==행정==
[[파일:홍콩특별행정구문장.png|200px]]<br>
+
[[파일:홍콩특별행정구문장.png|90px]]<br>

2021년 8월 22일 (일) 19:10 판

개요

역사

입법

홍콩입법부로고.png
홍콩의 입법부는 홍콩특별행정구 입법회(香港特別行政區立法會)가 담당하고 있다. 1843년에 설치된 영국령 시절 입법국을 최초전신으로 두고있다. 1995년에 최후의 영국령 홍콩 총독인 크리스 패튼의 정치개혁으로 소선거구제 도입과 직능선거권자 범위 확대 등으로 완전 민선화되었다. 홍콩 반환 이후 최근 홍콩 독립운동을 지지하는 급진 인사들이 당선되어 구 민주파 정당들이 위기의식을 느끼고 있었으나, 친중계열 정치인들이 대거 정권교체를 진행하는 바람에 민주파 정당의 세력은 2,3년전 보다 악화되었다.

사법

행정

홍콩특별행정구문장.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