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0대 대통령 선거(새누리)"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Saeyeon님이 제20대 대통령 선거(Sleep) 문서를 제20대 대통령 선거(새누리) 문서로 이동했습니다)
(차이 없음)

2021년 10월 19일 (화) 17:04 판

새누리 프로젝트.png

제20대 대통령 선거
제20대 대통령 선거-오세훈.png
2017년 5월 9일
19대 대선
2022년 3월 9일
20대 대선
2027년 3월 9일
21대 대선
투표율
76.5%
선거결과
이재명
32.9% / 100% (11,052,393)
오세훈
50.9% / 100% (17,068,693)
심상정
9.7% / 100% (3,257,643)
김동연
4.2% / 100% (1,396,420)
당선인
국민의힘
오세훈

개요

공정과 상생의 가치를 실현하겠다
- 오세훈 당선인이 당선소감으로 밝힌 말

2022년 3월 9일, 대한민국의 제20대 대통령을 선출하기 위해 실시한 선거. 투표 결과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당선되었다. 오세훈 후보가 2위 이재명 후보를 득표율 18.0%p, 표차 6,016,300표라는 헌정 사상 역대 최다 표차로 꺾고 당선되었다. 이전 선거의 문재인 후보와 홍준표 후보의 표차보다 더한 표차이다.

선거일정

후보 경선

더불어민주당

더불어민주당 후보경선.png
이재명 후보가 50.2%를 득표하며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선출되었다.

국민의힘

국민의힘 후보경선.png
오세훈 후보가 54.7%를 득표하며 국민의힘 후보로 선출되었다.

정당별 결과

범민주진영

더불어민주당

예상보다 대패한 선거결과에 더불어민주당은 이번 대선에서 전국정당으로써의 존재감을 위협받을 정도로 패배했다. 제17대 대통령 선거의 시즌2가 발생한 것이다. 이낙연 후보는 승복은 했으나 이재명 캠프의 선거캠프에 참여하지 않았고 축하한다는 말만 전했다. 이로인해 이낙연 후보 지지층이 일부 오세훈 후보나 심상정 후보, 김동연 후보에게 향했을 가능성이 높다.

범보수진영

국민의힘

오세훈 당선.jpg
이전 선거에서 대패했지만 이번 선거에서는 크게 승리하였다. 이번 대선에서의 역대 최다 표차인 600만표라는 엄청난 차이로 승리를 거뒀기에 진정한 정권교체라는 타이틀을 당당하게 들 수 있었다. 2017년 5에 치른 19대 대선에서 자유한국당의 홍준표가 더붕어민주당의 문재인에게 550만표 차이로 대패했던 것을 정확히 5년 만에 되갚았다. 게다가 당내에서 어떠한 잡음도 없이 당 차원에서 똘똘 뭉쳐 일관적인 선거 전략을 취한 것도 상당히 긍정적인 의미가 있었다.

범진보진영

정의당

10일 개표가 완료된 19대 대통령 선거 결과 심상정 정의당 후보는 3,257,643표, 9.7%라는 득표율을 기록했다. 이전 선거보다 약120만표 더 득표하였고, 종전 마지막 여론조사에서 지지율이 6~8%로 나왔던 것을 고려하면 매우 선전한 것이다. 진보정당 역사에서 의미 있는 기록을 세웠다고 할 수 있다.

원외정당

국가혁명당

허경영 후보가 나름 1%를 득표하며 선전하였다. 이정도 득표할 수 있었던 이유로는 뽑을 사람이 없어 허경영을 찍은 이유도 있을 것이다.

국민혁명당

국민혁명당 후보로는 김경재 전 국회의원이 선출되었다. 그러나 0.14% 밖에 득표하지 못하며 지난 제21대 총선서 기독자유통일당이 2% 득표했던 것에 비하면 사실상 패배한 것이다.

진보당

진보당 대통령 후보로 출마한 김재연 후보가 141,083표, 0.4%를 득표했다. 군소정당치고 생각보다 높은 득표율이다. 애당초 1%가 목표였기에 다소 아쉽다는 평가도 있다. 그러나 이전 민중당 김선동 후보가 0.1% (27,229표)를 득표한 것에 비하면 상당히 선전했다.

무소속

김동연

4%를 득표하며 17대 대선 이후 무소속 후보중 최다 득표하였다. 미미한 인지도로 1%도 득표하지 못할 것이란 말도 종종 있었으나 토론회에서 선전, 인지도를 쌓아가며 여론선조사에서 3~6%를 기록하기도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