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상국제연합 경제부"의 두 판 사이의 차이

24번째 줄: 24번째 줄:
 
=== 기업 전체 가이드 ===
 
=== 기업 전체 가이드 ===
 
==== 이벤트에 관한 가이드 ====
 
==== 이벤트에 관한 가이드 ====
||<tablealign=left><tablewidth=70%><tablebordercolor=#0B610B> '''1. 이벤트 분류'''
+
||<tablealign=left><tablewidth=70%> '''1. 이벤트 분류'''
 
'''이벤트'''를 두가지 분류로 나뉘어서 터뜨립니다. '''큰 이벤트''', '''작은 이벤트'''로 나누었습니다. 큰 이벤트가 발생되고 며칠 동안 지속이 됩니다. 연재자들은 이 이벤트에 대응하게 됩니다. 그렇게 '''대응하면서 작은 이벤트가 자동적으로 발생하거나 혹은 경제부에서 임의로 발생'''시키며 여러이벤트가 발생됩니다. 이렇게 기업관은 이벤트를 통하여 연재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큰 이벤트로 전체적인 연재 흐름을 조성하게 됩니다.
 
'''이벤트'''를 두가지 분류로 나뉘어서 터뜨립니다. '''큰 이벤트''', '''작은 이벤트'''로 나누었습니다. 큰 이벤트가 발생되고 며칠 동안 지속이 됩니다. 연재자들은 이 이벤트에 대응하게 됩니다. 그렇게 '''대응하면서 작은 이벤트가 자동적으로 발생하거나 혹은 경제부에서 임의로 발생'''시키며 여러이벤트가 발생됩니다. 이렇게 기업관은 이벤트를 통하여 연재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큰 이벤트로 전체적인 연재 흐름을 조성하게 됩니다.
 
 

2021년 10월 20일 (수) 15:50 판

경제부
Ministry of Economy
UVN logo.png
한글 명칭경제부
영문 명칭Ministry of Economy
설립일2010년 9월 28일
주업무금융, 기업
최고위원MINJONG
장관이경영

개요

가상국제연합 경제부는 가상국가의 금융기업 관리를 하는 부서이다. 가상국제연합 경제부는 관리최고위원경제최고위원의 공동 감독 아래 위치하고 있다.

주요업무

  • [관리최고위원] UND 시스템/자원/마크서버 연계 관리
  • [경제최고위원] UND 발행 및 uvnofficials 계좌 관리
  • [경제최고위원] 이벤트 발생 관리
  • [경제최고위원] 주식 관리
  • [경제최고위원] 기업 신설 및 게시판 관리
  • [경제최고위원] 결과서 관리
  • [경제최고위원] 월급청구 및 연재자 기본소득기준 관리

컨텐츠 가이드

기업 전체 가이드

이벤트에 관한 가이드

1. 이벤트 분류
이벤트를 두가지 분류로 나뉘어서 터뜨립니다. 큰 이벤트, 작은 이벤트로 나누었습니다. 큰 이벤트가 발생되고 며칠 동안 지속이 됩니다. 연재자들은 이 이벤트에 대응하게 됩니다. 그렇게 대응하면서 작은 이벤트가 자동적으로 발생하거나 혹은 경제부에서 임의로 발생시키며 여러이벤트가 발생됩니다. 이렇게 기업관은 이벤트를 통하여 연재거리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특히 큰 이벤트로 전체적인 연재 흐름을 조성하게 됩니다.

2. 이벤트 발생 원리
이벤트를 발생시킬때에 현재 어떤 연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가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선정된 분야의 기업들의 연재를 각각 판정하고 판정을 토대로 이벤트가 발생합니다.

3. 이벤트의 정의
경제부 기업에서 말하고자 하는 이벤트의 정의는 이렇습니다. 가국련 기업들을 종합해보았을때 내 기업의 순위나 위치, 주가, 시총, 매출액, 영업이익 등 회사의 가치와 그것에 대한 결과를 내어주는 것입니다. 예를 들자면 어떤 회사가 냉장고를 만들었다면 "10개를 만들고 그 중 5개를 팔았다"라는 결론을 내어주는 것. 또 해당 결론이 나기 전에 "냉장고를 만들다가 부도가 났다" "냉장고를 만드는 기술이 올라갔다" 등 이러한 여러분들이 '가상국가의 이벤트'라고 하면 떠올릴 수 있는 내용의 이벤트가 발생할수도 있겠죠 이 모든것을 포함해 이벤트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4. 운영 예시
컴퓨터 제조업 붐 → 컴퓨터 제조 관련 회사 연재자 증가 → '컴퓨터 제조'와 관련된 주제로 큰 이벤트 발생 → 큰 이벤트가 기업관의 흐름을 조성하고 그것에 따름 → 따르게 되면서 발생하는 작은 이벤트 → 지속적인 연재유도 → 다음 주제로 넘어감 → 반복

증권을 통한 전체 시스템 구축에 관한 가이드

1. 개요
투자정보/투자현황/회사소식/회사정보[1]로 회사의 대략적인 규모와 연재내용 그리고 회사의 가치를 판정하고 판단할 수 있게 됩니다. 실시간 주요이슈와 실시간 인기 종목으로 기업세계관의 흐름이 조성됩니다. 증권 소식과 가상커뮤니티로 연재자가 이벤트에 대한 판정을 예측, 유도하여 판정에 관여할 수 있습니다.

2. 회사 가치 책정[2]
이 회사는 백화점을 운영하고있고 백화점의 이름은 OOO이다. 정도가 필수적으로 연재자가 공개해야되는 영역입니다. 시가총액, 주가, 실적, 대표이사진, 주요경영사항, 매출액, 영업이익, 매출구성, 주요사업, 기업정보 등은 연재자가 설정하거나 설정하지 않을 수도 있고 일부 항목에 한해서는 연재자의 설정이 임의로 조정되거나 자동 설정될 수도 있습니다. 그렇게 결정된 설정을 바탕으로 회사 가치를 경제부(공인증권사)에 의해 판정받게 됩니다.

3. 실시간 주요이슈/실시간 인기종목[3]
실시간 주요이슈
경제부 기업이 임의로 지정하는 주제를 가지고 기업관의 전반적인 흐름을 주도합니다. 이를테면 반도체 관련 연재가 없지만 반도체 관련 이벤트를 터뜨려 반도체 관련 기업의 연재를 유도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큰 주제를 이루는 이벤트가 전체적인 흐름을 주도하고 그 안에서 또 관련 이벤트가 자연적 혹은 의도적으로 가지를 치며 발생하게됩니다.
실시간 인기종목
기업관에서 흥하고 있는 업종의 기업들의 연재를 촉진시키기 위해 해당 분야의 연재를 어떻게 하면 더 불태울 수 있을지를 고려하여 이벤트를 발생시킵니다. 이를테면 반도체 관련 연재가 기업관에서 주를 이루고 있을때 관련 이벤트를 터뜨려 붐을 일으키는 방식을 말합니다. 그렇게 흐름을 주도하고 만들어진 연재 분위기 속에서 또 다양한 이벤트가 가지를 치며 자동적 혹은 의도적으로 발생하게 됩니다.

이렇게 '증권사에서 나오는 정보'라는 콘셉트와 경제부 기업시스템을 혼합시킴으로써 구현하기 힘든 주식시장이 자동적으로 조성되며 더욱 완성도 높은 운영방식이 탄생하게 됩니다. 또 다양한 증권사가 탄생하게 되며 행정력이 분산되게 될 것이고 행정력의 균형이 맞춰진다면 더욱 신속 정확한 운영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기타 가이드

  • 월급청구 가이드: 정대성 추가예정
  • 연재자 기본소득 가이드:정대성 추가예정
  • 결과서 가이드:정대성 추가예정
  • 기업게시판 신설 기준
게시판 신설 기준
수정요청게시판 개설이 완료된 기업의 경우 기업명 수정을 원한다면 기업게시판에 수정을 요청하는 글을 올리면 경제부장관이 기업 감사에 반영합니다.
운드를 통한 개설중앙세계관을 본사로 두는 기업의 경우 uvnofficial로 1000UND를 납부하면 개설이 가능합니다.
기업만 연재하는 경우국가 연재를 하지 않고 오직 기업만 연재할 경우 여기(누르면 이동)에 개설을 요청하는 댓글을 달면 개설이 가능합니다.
기업 콘테스트 우승자신의 기업 설정(위키스)가 기업 콘테스트에서 우승할 경우 개설이 가능합니다.
경제부에 의한 개설경제최고위원 혹은 경제부장관의 요청을 통해 개설이 가능합니다. (경제부장관이 판단했을 때 연재가 활발한 기업 대상)
  • 이외에도 시행하고 있는 정책의 가이드가 있다면 추가바람. 가이드가 없다면 시행해서는 안 됨.

지도부

  • UVS 경제최고위원: Minjong
  • UVN 경제부장관: 이경영

임원

  • 기업이벤트 관리관:
  • 주식관리관:
  • 추가바람:

최고위원회 지시사항

  1. 해당 페이지에 시행하고 있는 정책에 대한 가이드등을 배치할 것
  2. 인사명단은 이 페이지에 보고 부탁
  3. uvnofficial 계정의 비번, 아이디 요청은 학회 메일인 [email protected]으로 연락 부탁
    1. 공인증권사(경제부가 공식 인정한 증권사, 사실상 경제부 운영진)가 해당 정보들을 발표한다.
    2. 회사의 정보를 판단하기 위해 회사를 경제판정관(경제부)이 판정하는 시스템입니다.
    3. 경제부가 자체적으로 발생시키는 이벤트에 대한 시스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