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어

Русский
러시아어[1]
언어 기본 정보
주요사용국러시아CIS 국가들과 구소련 국가들 [2]
원어민약 2억 6천만명
어족인도유럽어족
발트슬라브어파
동슬라브어군
러시아어
문자키릴 문자
언어 코드
ISO-639RU


러시아어로 읽은 세계 인권 선언 제6조.[3]

개요

러시아어는 유럽에서 가장 모어화자가 많은 언어이며, 모어 화자수에서는 세계에서 8번째로 많고, 제2언어화자수도 포함하면 세계에서 4번째로 많다. 러시아의 음역어인 노서아를 차용한 노어라는 이름도 있다. 냉전 당시에는 영어만큼 큰 지위를 누렸던 국제어 이기도 하며, 또한, 이 언어는 지구상에서 약 20분의 1이 쓴다고 해도 무방한것이다. 이 언어는 폴란드어, 우크라이나어벨라루스어와 비슷한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며, 리투아니아어, 라트비아어와도 약간의 단어가 유사하며, 동부 러시아어는 카자흐어몽골어의 영향도 소수로 받은 편이다. 역사적으로는 그리스어, 라틴어, 폴란드어, 네덜란드어,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에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핀우고르어족, 투르크어족, 페르시아어, 아랍어에서도 차용어를 들여왔다. 러시아어는 문법적으로는 굴절어에 속한다. 유엔에서 정한 6개 공용어 중 하나이며 독립국가연합에 속한 나라들이 주로 사용한다.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몽골, 동유럽중앙유럽(폴란드, 체코,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등에서는 상용어로 사용되며, 나머지 사용자는 제2언어로 사용한다. 방언은 북부(러시아 북부에서 시베리아), 중부(러시아 중앙부), 남부(캅카스와 러시아 남서부)로 나뉘며, 표준어는 모스크바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모스크바 방언은 원래 남부 방언에 속했으나 북부방언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중부 방언으로 탄생했다. 일본 홋카이도 지역에서도 일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터키에서도 소수가 쓰는 편이며, 그리스, 독일, 오스트리아, 핀란드에서도 약간의 사용자가 있다. 그 밖에도 민족마다 러시아어 억양이 다르다. 이를테면 우크라이나의 러시아어(우크라이나억양의 러시아어, 주로 서부지역과 오데사에서 많이 사용), 캅카스의 러시아어 (캅카스 억양의 러시아어, 러시아의 북캅카스 지방의 여러 민족과 코카서스 3국에서 사용), 중앙아시아의 러시아어(터키 억양의 러시아어, 중앙아시아 5개 공화국에서 많이 사용) 등이 있다.

알파벳

А
a/아
Б
b/베
В
v/붸
Г
ɡ/게
Д
d/데
Е
jɛ/예
Ё
jo/요
Ж
ʐ/줴
З
z/즈
И
i/이
Й
j/이-끄라뜨코예
К
k/까
Л
l/엘
М
m/엠
Н
n/엔
О
o/오
П
p/뻬
Р
r/에르
С
s/에스
Т
t/떼
У
u/우
Ф
f/에프
Х
x/하
Ц
ʦ/쪠
Ч
ʨ/체
Ш
ʂ/샤
Щ
ɕː/샤
Ъ
-/뜨뵤르듸 즈나크
Ы
ɨ/의[4]
Ь
◌ʲ/먀흐끼 즈나크
Э
ɛ/에
Ю
ju/유
Я
ja/야

А, Ы, У, Э, О는 경모음이고, Я, И, Ю, Е, Ё는 연모음이다. Й는 반자음이다.

문법

명사

명사에는 남성, 중성, 여성의 3개의 성으로 나뉘어 있다. 남성명사는 자음 -й, ь으로 끝나고, 여성명사는 ―а,-я,-ь의 어미로 끝나고, 중성명사는 ―о, -е, -мя로 끝나는 것이 보통이다.

복수인 경우에는 남성 및 여성 명사는 어미의 경·연으로 ―ы와 ―и로 끝나고, 중성 명사는―а와 ―я로 끝난다.

명사의 격은 주격, 생격, 여격, 대격, 조격, 전치격의 6가지 격종류 말고도 일부는 호격으로 바뀐다. (예: Боже мой! 나의 신이여!)

수사와 수사에 관련된 명사는 특수한 변화를 보인다. 1은 단수 주격이지만, 2-4 은 단수생격, 5이상이 복수생격을 받는다. 2-4의 단수생격은 쌍수형의 자취이다.

인칭대명사

단수 복수
1인칭 я 야 -나는(I) мы 믜 -우리들은(we)
2인칭 ты 띄 -너는(you)
Вы 븨 -당신은
Вы 븨 -당신들은(you)
3인칭 он 온 -그는(he)
она 아나 -그녀는
оно 아노 -그것은(it)
они 아니 -그들은
그녀들은
그것들은

모두 주격을 이용하고 있다. 높여 부르는 Вы에서 "В"는 대문자여야 한다. 여러 사람들 앞에서는 무조건 Вы를 사용해야 하며, 나이의 높고 낮음에 상관 없이 서로가 친하다고 느껴지면 ты를 사용할 수 있다.

소유자 단수 소유 피소유자
я (야) мой (모이) 남성
моя (마야) 여성
моё (마요) 중성
мои (마이) 복수
ты (띄) твой (뜨보이) 남성
твоя (뜨바야) 여성
твоё (뜨바요) 중성
твои (뜨바이) 복수
он (온) его (이보) 남성
그녀 она (아나) её (이요) 여성
그것 оно (아노) его (이보) 중성
우리 мы (믜) наш (나쉬) 남성
наша (나샤) 여성
наше (나쉐) 중성
наши (나시) 복수
너희 вы (븨) ваш (바쉬) 남성
ваша (바샤) 여성
ваше (바쉐) 중성
ваши (바시) 복수
그들 они (아니) их (이흐) 남성

동사

동사는 완료체(러시아어: CB - 에스베)와 불완료체(러시아어: HCB - 엔에스베)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각각 완망상(perfective)과 비완망상(imperfective)에 대응한다.

형용사

형용사는 명사와 같이 성·수·격에 따라 변화되고, 한정적 용법에는 형용사가 일치한다. 서술적 용법에서는 어미가 짧은 "단어미형"도 이용된다.

발음

러시아어 발음에서 특기할 만한 요소가 Ударе́ние[5]인데 강세가 의미를 구분하는 기능을 하는데다, 강세가 없는 모음들의 발음이 변화하기 때문이다.

о는, 강세가 있어야만 오(о́)로 발음된다. 강세가 없을 시에는 강세 있는 모음의 앞: а로 발음된다. 우유을 뜻하는 Молоко[6]에서 두 번째 o의 발음이 이렇게 나온다. 강세 있는 모음의 뒤: а와 '어'의 중간발음이지만 а로 봐도 사실 상관은 없다.
е는 강세가 있어야만 예(е́)로 발음된다 Е́льцин[7]. 강세가 없을 때, 위치에 상관 없이 '이'로 발음된다. 다만 어미에서는 원래의 발음(예)을 약하게 해준다.

я[8]는 강세가 있을 때, 또는 어미에 오는 경우에 야(я́)로 발음된다. 강세가 없는 경우에는 약해져서 '이'에 가깝게 발음된다. .

ё는 항상 강세가 있어서 언제나 '요'로 발음된다. 다만 일상생활에선 이 글자를 그냥 е로 써 버리는 경우가 많아 е를 읽는 데의 경우의 수가 늘어난다. 이를테면 Потёмкин전함이 있다.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ё를 е로 바꿔 쓰고 있으며, 이것에 반대하는 사람들과 이로 인해 불편을 겪은 사람들도 있다.

й는 자음이므로 당연히 강세가 실리지 않는다.

Γ는 보통 /g/발음이 나지만, 문법적 변화(남성 단수 생격변화)가 된 단어의 어미에서는 /v/ 발음이 난다. 단, бо́г[9], мя́гкий[10], лёгкий[11][12]는 로 읽는다.

억양

모든 언어가 그렇긴 하지만 러시아어에서 억양은 문법적인 요소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을 정도로 중요하다. 이는 억양구조(Интонационная конструкция)라고 하고, 보통 앞글자를 따 ИК(이까)라고 부른다. 종류가 몇 가지인가에 대해서는 학자마다 의견의 다르나, 보통은 일곱 가지라고 보며, 학술적인 단계에 가지 않는 이상 다섯 가지만 학습하게 된다.

  • ИК-1은 주로 평서문에 쓰인다. 문장의 중심이 되는 단어의 강세에서 억양의 높이가 완만히 하강한다.
  • ИК-2는 주로 감탄사를 말할 때, 강조할 때 또는 의문사가 있는 의문문에서 쓰인다. 문장의 중심이 되는 단어의 강세에 힘을 주어 때리듯이 말한다.
  • ИК-3은 주로 의문사가 없는 의문문을 말하거나 열거할 때 쓰인다. 문장의 중심이 되는 단어의 강세에서 억양이 급격히 상승한 후 다시 급격히 하강한다.
  • ИК-4는 주로 간단한 반문을 할 때나 열거할 때 쓰인다. 문장의 중심이 되는 단어에서 억양이 하강한 후 다시 상승한다.
  • ИК-5는 주로 감탄문을 말할 때 쓰인다. 문장 첫 단어의 강세에서 상승한 후 문장 끝 단어의 강세에서 하강한다.

각주

  1. 약간 구식이지만 아직도 노어 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아직도 대학교에서 노어노문학과 라는 표현을 쓰는걸 보면 당연한듯. 인 이유는 러시아를 한자로 음차한 노서아(露西亞) 에서 따온 것이다.
  2. 인구의 다수가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하거나 유창하게 말하고, 러시아어가 공식 언어인 국가들이다. 소위 소련이었던 나라들
  3. 한국어 해석: "모든 사람은 어디에서나 법 앞에 인간으로서 인정받을 권리를 가진다."
  4. [ɨ]는 중설모음으로, 한국어 및 현행 한글 체계에는 없는 발음이다. 이를 한글로 표기하기 위해 많은 러시아어 학습서에서는 후설모음 ㅡ이 자음화된 연구개 접근음 [ɰ]와 전설모음 ㅣ의 이중모음인 ㅢ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엄밀히 말하면 옳지 않은 표기다.
  5. 발음은 /우다레니예/
  6. /말라꼬/
  7. 그분이다
  8. /야/
  9. /보흐/
  10. /미야끼/
  11. 사실 룍끼라고 해도 알아듣는다 아님말고
  12. /료흐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