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쟁 관련 학자"의 두 판 사이의 차이

5번째 줄: 5번째 줄:
 
* 칭궈와 로즈크랜스는 평화적 흥기(peaceful rise)는 신흥강국이 기존 세계질서와 제도를 받아들이는지 여부, 해외 영토팽창의 포기 여부, 국가의 부 신장을 위해 무역에 의존하는지 여부, 자유주의나 민주주의와 같은 기본 가치의 공유여부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고 있다. 두 학자는 기본적으로 중국을 미국 중심의 세계 질서에 순응하는 현상유지 국가로 파악하고 있다 Qingguo and Rosecrance believe that peaceful rise is determined by (1) whether emerging powers accept existing world order and institutions, (2) whether they abandon of foreign territorial expansion,(3) whether they depend on trade to boost the country, and (4) whether they share basic values such as liberalism and democracy. The two scholars basically identify China as a status quo that conforms to the U.S.-centered world order <ref> Jia Qingguo and Richard Rosecrance, “Delicately Poised: Are China and the US Heading for Conflict?” Global Asia, Vol. 4, No. 4 (Winter 2010). </ref>
 
* 칭궈와 로즈크랜스는 평화적 흥기(peaceful rise)는 신흥강국이 기존 세계질서와 제도를 받아들이는지 여부, 해외 영토팽창의 포기 여부, 국가의 부 신장을 위해 무역에 의존하는지 여부, 자유주의나 민주주의와 같은 기본 가치의 공유여부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고 있다. 두 학자는 기본적으로 중국을 미국 중심의 세계 질서에 순응하는 현상유지 국가로 파악하고 있다 Qingguo and Rosecrance believe that peaceful rise is determined by (1) whether emerging powers accept existing world order and institutions, (2) whether they abandon of foreign territorial expansion,(3) whether they depend on trade to boost the country, and (4) whether they share basic values such as liberalism and democracy. The two scholars basically identify China as a status quo that conforms to the U.S.-centered world order <ref> Jia Qingguo and Richard Rosecrance, “Delicately Poised: Are China and the US Heading for Conflict?” Global Asia, Vol. 4, No. 4 (Winter 2010). </ref>
  
* [[도전자 모델]](challenger model)은 과거 수백 년 동안 또는 그보다 긴 시간 에 걸친 위상, 영토, 시장을 둘러싼 국가들의 투쟁에 대한 해석을 담고 있는 지도력 장주기론(leadership long-cycle theory)에 기반을 두고 있다.  
+
* [[도전자 모델]](challenger model)은 과거 수백 년 동안 또는 그보다 긴 시간 에 걸친 위상, 영토, 시장을 둘러싼 국가들의 투쟁에 대한 해석을 담고 있는 지도력 장주기론(leadership long-cycle theory)에 기반을 두고 있다. The "challenger model" is based on leadership long-cycle theory, which contains interpretations of countries' struggles over status, territory, and markets over the past several hundred years or longer <ref> George Modelski, Long Cycles in World Politics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87); George Modelski and William R. Thompson, Leading Sectors and World Powers: The Coevolution of Global Economics and Politics (Columbia: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996) </ref>
  
 
* 세력균형의 변화에 기초하여 양자 사이의 관계 변화를 설명하려는 노력이 전이평화(transition peace)론이다. [[전이평화론]]이란 두 숙적이 세력전이를 경험하는 동안 긴장을 완화하고 신뢰를 구축하기 위한 회담, 제안, 협정과 사람, 상품, 금융, 정보의 거래를 통한 협력과 화해를 위한 노력의 증가를 의미한다.
 
* 세력균형의 변화에 기초하여 양자 사이의 관계 변화를 설명하려는 노력이 전이평화(transition peace)론이다. [[전이평화론]]이란 두 숙적이 세력전이를 경험하는 동안 긴장을 완화하고 신뢰를 구축하기 위한 회담, 제안, 협정과 사람, 상품, 금융, 정보의 거래를 통한 협력과 화해를 위한 노력의 증가를 의미한다.
 +
The transition peace theory is an effort to explain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based on the change in the balance of power. Transitional Peace Theory refers to an increase in cooperation and reconciliation efforts through talks, proposals, agreements, and transactions of people, goods, finance and information to ease tensions and build trust while the two enemies experience a power transition.
  
 
=== 레퍼런스 ===
 
=== 레퍼런스 ===

2022년 10월 24일 (월) 07:59 판

상위항목: 국제정치 관련 학자

Regarding Peaceful Rises

  • 칭궈와 로즈크랜스는 평화적 흥기(peaceful rise)는 신흥강국이 기존 세계질서와 제도를 받아들이는지 여부, 해외 영토팽창의 포기 여부, 국가의 부 신장을 위해 무역에 의존하는지 여부, 자유주의나 민주주의와 같은 기본 가치의 공유여부에 의해 결정된다고 보고 있다. 두 학자는 기본적으로 중국을 미국 중심의 세계 질서에 순응하는 현상유지 국가로 파악하고 있다 Qingguo and Rosecrance believe that peaceful rise is determined by (1) whether emerging powers accept existing world order and institutions, (2) whether they abandon of foreign territorial expansion,(3) whether they depend on trade to boost the country, and (4) whether they share basic values such as liberalism and democracy. The two scholars basically identify China as a status quo that conforms to the U.S.-centered world order [1]
  • 도전자 모델(challenger model)은 과거 수백 년 동안 또는 그보다 긴 시간 에 걸친 위상, 영토, 시장을 둘러싼 국가들의 투쟁에 대한 해석을 담고 있는 지도력 장주기론(leadership long-cycle theory)에 기반을 두고 있다. The "challenger model" is based on leadership long-cycle theory, which contains interpretations of countries' struggles over status, territory, and markets over the past several hundred years or longer [2]
  • 세력균형의 변화에 기초하여 양자 사이의 관계 변화를 설명하려는 노력이 전이평화(transition peace)론이다. 전이평화론이란 두 숙적이 세력전이를 경험하는 동안 긴장을 완화하고 신뢰를 구축하기 위한 회담, 제안, 협정과 사람, 상품, 금융, 정보의 거래를 통한 협력과 화해를 위한 노력의 증가를 의미한다.

The transition peace theory is an effort to explain the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based on the change in the balance of power. Transitional Peace Theory refers to an increase in cooperation and reconciliation efforts through talks, proposals, agreements, and transactions of people, goods, finance and information to ease tensions and build trust while the two enemies experience a power transition.

레퍼런스

  1. Jia Qingguo and Richard Rosecrance, “Delicately Poised: Are China and the US Heading for Conflict?” Global Asia, Vol. 4, No. 4 (Winter 2010).
  2. George Modelski, Long Cycles in World Politics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1987); George Modelski and William R. Thompson, Leading Sectors and World Powers: The Coevolution of Global Economics and Politics (Columbia: University of South Carolina Press, 199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