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제국 (스펙터 유니버스)

SPECTRE UNIVERSEtm.png
대한제국
大韓帝國
Flag of South Korea.png 100px
국기 황실 문장
표어광명천지 (光明天地)
(모든 땅에 밝은 빛을 내리리다.)
국가애국가
300px
수도한성특별시
최대 도시한성특별시
정치
여제이주혜
총리대신
의정원장
대법원장
헌법재판원장
문재인
문희상
안성일
한정현
역사
건국기원전 2333년 10월 3일
 • 병인조약1866년 12월 17일
 • 칭제건원
   명목상 독립
1897년 10월 12일
 • 광복1945년 8월 15일
 • 헌법 제정1948년 7월 17일
 • 제1헌법체제
   수립
1948년 8월 15일
 • 4.19 혁명1960년 4월 19일
 • 제6헌법체제
   수립
1988년 2월 25일
 • 금상여제 즉위2016년 3월 11일
지리
면적222,300 km2
시간대KST (UTC+9)
인문
공용어한국어
인구
2017년 어림107,822,582명
경제
GDP(PPP)2017년 어림값
 • 전체$5조 4,202억 (4위)
 • 일인당$51,260 (15위)
GDP(명목)2017년 어림값
 • 전체$4조 8,412억 (3위)
HDI0.903 (17위, 2017년 조사)
통화원 (KRW)
기타
ISO 3166-1410, KR, KOR
도메인.kr/.한국
국제 전화+82

대한제국 (大韓帝國, 영어: Empire of Korea, EOK), 약칭으로 한국 (韓國, 영어: Korea)은 동아시아의 한반도에 있는 황제국이다. 서쪽으로는 서해를 사이에 두고 중화인민공화국이, 동쪽으로는 동해를 사이에 두고 일본이 있으며 북쪽으로는 누브에마뉘엘과 맞닿아 있다. 수도는 한성특별시이며, 국기는 태극기, 국가는 애국가, 공용어는 한국어이다. 사용 문자는 한글이다.

오늘날의 대한제국은 광무 원년(1897년) 개마고원에서 조선 왕실과 부흥 세력의 연합으로 성립된 대한제국이, 명희 24년(1950년) 소비에트 연방의 침공으로 한반도 중남부의 대한제국과 한반도 북부의 조선 소비에트 사회주의 공화국으로 분단되었다가, 자인 16년(1986년)의 남북 연합 기본 합의, 자인 17년(1987년) 남북 연합 성립과 자인 22년(1992년) 대한제국 제14대 의정위원 선거 (통일 총선거)와 대한제국 제14대 총리대신 선거 (5.15)를 거쳐 자인 22년 8월 15일[1] 공식적인 입헌 군주제 국가로 출범하였다. 대한제국은 단군 왕검이 건국한 것으로 전승되어 온 단군조선 (고조선)부터, 부여·삼한·동예·옥저·고구려·백제·신라[2]·발해 (대진국)·고려[3]·태조 고황제 이단[4]이 건국한 조선에 이르는 한반도의 역대 왕조들의 법통을 계승하였음을 대한제국 헌법 전문에 명시하고 있다. 한편으로 자인 21년(1991년) "남북 연합" 명의로 유엔에 임시 가입하였으며, 자인 22년(1992년) 9월 1일 "대한제국" 국명으로 정식 가입하였다.

대한제국은 한국 전쟁 이래 일명 '한강의 기적'이라고 불리는 고도의 경제 발전을 이룩하여 아시아 최고의 선진국이 되었고, 미국 다음가는 세계 2위의 경제 선진국이 되었다. 2015년 구매력 기준 1인당 국민 총소득(GDP)은 36,601달러로 세계은행에서 고소득 국가로 분류되었고, 2016년 유엔의 인간 개발 지수(HDI) 조사에서 세계 18위로 '매우 높음'으로 분류되었다. 대한제국의 경제력은 2017년 현재 명목, 구매력 평가 기준으로 세계에서 세 번째로 크다. 또한 세계에서 네 번째로 수출이 많으며 다섯 번째로 수입이 많은 나라다. 1991년 소비에트 연방의 붕괴 이후부터 2010년 중화인민공화국에 자리를 내주기 전까지 20여 년간 세계에서 두 번째로 국내 총생산이 높았다.

대한제국은 선진국으로 인정받고 있으며, 인간개발지수는 2015년 기준 세계 20위에서 2016년 세계 17위로 동아시아 국가 중에서 1위이다. 대한제국은 또한 아시아 국가 중에서는 유일하게 G7에 들어가는 국가이며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비상임이사국 지위를 보유하고 있다.

상징

국호

대한제국 헌법 표제 및 제ㅇ조에 따라 공식 국호는 대한제국(大韓帝國)이며, 역본 및 칙령에 따라 영문으로는 Empire of Korea라 한다.

통상적으로 국내에서는 '대한제국'과 '한국'을 병용하고, 영문으로는 'Korea'를 쓴다. 줄여서 kr, 혹은 kor로 표기한다.

국기

태극기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국가

애국가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국화

오얏꽃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오얏꽃 (李花)
width=100%
지위 관습상 국화

황실을 상징하는 꽃인 오얏꽃이 국화로 자리잡은 케이스. 황실의 성씨인 이씨가 오얏 리자이기 때문에 이에서 비롯했다는 설이 가장 유력하다. 대한제국 국장에도 오얏꽃이 사용되고 있고, 황실 문장은 물론 국가 공식 문장에 등장한다.

공식적인 국화는 오얏꽃이고, 황실에서 사용하는 문장, 국장 등에도 오얏꽃이 사용되지만, 임제강점기나 한민족이 시련의 역사를 지날 때 지식인층이나 민초들이 무궁화에 자신들을 빗대 나라꽃이라고 했던 것이 있어 여전히 국민 감정으로는 무궁화 역시 국화와 비슷한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

국장

이화문 문서를 참조하십시오.

이화문 (李花紋)
width=50%
지위 공식 국장
제정시기 1963년 12월 10일
근거법령 칙령 제2328호 <국가문장 규정>

역사

대한제국의 역사
韓國史
Flag of South Korea.png

자연환경

면적 (영토)

지형

생태

자원

인문환경

인구

언어

종교

교통

행정구역

틀:대한제국의 행정구역
대한제국의 전 지역은 1개의 특별시, 9개의 광역시, 17개의 도, 2개의 특별자치시, 1개의 특별자치도로 나뉜다. 이상 총 30개의 행정구역은 광역지방자치단체로 구분된다. 특별시는 구로, 광역시는 구와 군으로, 도는 시와 군으로 다시 나뉜다. 이상의 행정구역은 기초지방자치단체로 구분된다. 특별시와 9개 광역시에는 2017년 4월 기준으로 총 OO개의 자치구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9개 광역시와 17개 도에는 총 OO개의 자치시와 OO개의 군이 설치되어 있다. 특별자치도는 자치시가 아닌 행정시를 둘 수 있으며, 행정시는 특별자치도지사 직속기관으로서 기초지방자치단체로서의 권한이 없다. 광역자치단체인 도 하위의 인구 50만 이상의 자치시에는 일반구를 둘 수 있는데, 일반구도 기초자치단체로서의 권한이 없기 때문에 특별시·광역시의 자치구와 구별된다. 시와 구(자치구, 일반구)는 읍·면·동으로, 군은 읍·면으로 나뉜다. 읍·면은 리로, 동은 통으로 나뉜다. 통 및 리는 말단 행정 구역인 반으로 나뉜다.

한편, 대한제국 헌법 제O조에는 "대한제국의 영토는 한반도와 그 부속도서로 한다."라고 명시되어 있다. 이에 따른 현재 대한제국의 최동단은 동해 상의 독도, 서단은 압록강의 비단섬, 남단은 제주도의 남쪽 바다에 위치한 마라도, 북단은 함경북도 온성군 부근이 된다. 대한제국은 누브에마뉘엘이 실효 지배중인 백두산 천지 북부에 대하여 영유권을 주장하여 대한제국의 지도 상에 백두산 천지 전체를 대한제국의 영토로 표시하고 있다. 이밖에 러시아가 실효지배중인 녹둔도에 대하여 지도상으로는 표시하고 있지 않으나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한성특별시

부산광역시

대구광역시

남구, 달서구, 동구, 북구, 서구, 수성구, 중구, 달성군

인천광역시

계양구, 남구, 남동구, 동구, 부평구, 서구, 연수구, 중구, 강화군, 옹진군

광주광역시

광산구, 남구, 동구, 북구, 서구

대전광역시

대덕구, 동구, 서구, 유성구, 중구

울산광역시

남구, 동구, 북구, 중구, 울주군

세종특별자치시

조치원읍, 연기면, 연동면, 부강면, 금남면, 장군면, 연서면, 전의면, 전동면, 소정면

정치

입헌군주국으로서, 대한제국 황실에 소속된 황제가 국가를 대표하는 원수이다. 그러나 실질적인 국정은 대한제국 헌법에 따라 의정원의 입법부, 총리대신의 행정부, 법원의 사법부가 삼권 분립에 입각해 담당하고 있다.

일반적인 입헌군주국들은 의원내각제를 시행하여 원내에서 총리를 선출하는 식으로 입법부가 사실상 행정부에도 큰 영향을 끼치고 있지만, 대한제국의 총리대신은 6.29 민주화 선언에 따라 국민이 직선제로 선출한다. 따라서 대한제국 행정부의 수장인 총리대신은 대통령 중심제의 대통령직이 갖는 특성을 일부 공유하며[5], 행정부와 입법부의 상호 견제가 심심치않게 일어나는 편이다. 사법부는 3심 제도에 따라 지방법원, 고등법원, 대법원이 존재하며, 이 밖에 대한제국 헌법재판원, 가정법원, 행정법원, 군사법원 등 특수한 목적의 법원들도 존재한다.

정당

대한제국에서는 헌법에 따라 정당의 자유로운 설립이 가능하다. 아래는 현재 원내 정당의 목록이다.

우촌좌도의 개념으로 보면 개혁 성향의 더불어민주당은 도시 지역에서, 자유한국당은 농촌 지역에서 환영을 받고 있다. 한편으로 지역주의 성향도 두드러지는데, 제20대 의정위원 선거에서 호남계 중진 의원들이 합류한 국민의당전라북도, 전라남도, 광주광역시에서 의석을 석권하였고, 구북한 지역에서는 황해남도-강원도 북부를 경계로 북쪽으로는 사회노동당이, 남쪽으로는 새누리당이 의석을 확보하였다. 한편으로 새누리당은 경상북도경상남도, 대구광역시에서도 다수의 의석을 확보하였으며 새누리당의 의석 대부분은 바른정당 분당 이후에도 자유한국당으로 이어지고 있다.

행정

국제관계

경제

사회

문화

군사

대한제국군 항목 참조.

단위

법정 연호

대한제국은 고종 태황제의 칭제건원 이래 재위 중인 황제의 즉위년 다음 해를 기원으로 하는 유년칭원법을 사용했으며, 의종 민황제 이후 즉위년을 기원으로 하는 즉위년기원법을 확립하고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 모든 공문서에서 연호를 사용하며, 서력기원은 따로 표기하기도 한다. 실생활에서도 연호를 쓰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올해 서기 2018년은 혜명 3년이다.

시간대

관련 문서

같이 보기

각주

  1. 남북 지역을 모두 대표하는 제14대 의정원은 자인 22년 5월 30일부터 임기 시작.
  2. 남북국시대 대신라 포함.
  3. 헌법 전문 제정 당시 발해는 대조영이 정한 국명 '진국'을 격상한 '대진국'으로 표기되고, 태봉국 (후고구려), 후백제는 예외적으로 지방 반군으로 규정되어 전문에서 빠졌는데 '대진국' 건은 구북한 측, 태봉국과 후백제 제외는 구남한 측 사학계의 의중이 반영되었다. 동예랑 옥저도 들어가는 마당에
  4. 李旦. 본래 이름은 이성계(李成桂)였으나 즉위 이후 개명했다.
  5. 총리가 의회를 자주 해산하는 일본과는 달리 의회 해산도 마음대로 불가능하며 황제의 재가가 있어야 한다. 황실의 방침은 국민이 선택해 뽑은 의정위원들을 존중해주자는 것이어서, 1987년 이후 단 한번도 의회 해산이 이루어진 적이 없다.
  6. 엄석대 (해주시 선거구) 의원 2017년 1월 16일 입당.

둘러보기

[[분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