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주국의 행정 구역

문주국의 행정 구역
광역지방자치단체 기초지방자치단체 비자치구역
특별시 자치 행정
광역시
· 행정

자치 ·
행정
행정

특정 일반
특별자치시
자치
· 행정
자치 행정

문주국의 행정 구역(文洲國의 行政 區域)은 문주국의 통치권을 행사하는 지역에서 1개의 특별시, 5개의 광역시, 1개의 특별자치시, 9개의 , 1개의 이상 총 17개의 행정구역은 광역지방자치단체로 분류된다.

역사

  • 부(部)와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부(府)는 설치되지 않았으나 부(部) 폐지 이후 부(府)가 설치되기 시작하였다.
  • 도(道)를 설치하고 나서 부(府)를 폐지하였다가 부활하여 대도시에 설치하였다.
  • 지역발전을 위해서 행경제(行京制)[1]를 시행하였다가 오경제(五京制)[2]를 시행하였다. 그 후 조선을 따라서 양경제(兩京制)[3]를 시행하였다.
  • 부(府)를 폐지하고 시(市)를 설치하였으나 이후 광역행정구역으로 부활하였다가 현재 목단부만 존속하고 있다.
  • 1986년 경기도 일부지역(장곡시, 양산시, 양평시)과 란성도, 영평도의 읍면 산하의 동을 리로 변경하였다.[4]
  • 특별시, 광역시, 특별자치시가 설치되었다.

행정구역 현황

연성특별시(連城特別市)

옛 지명과 행정구역은 연주부, 연주목 등이었다. 일제강점기에는 경기도청이 위치하였다가 광복과 동시에 경기도 양주군(현재 경기도 양주시)으로 이전하였다.

행정 구역

  • 강남구(江南區)
  • 강북구(江北區)
  • 서구(西區)
  • 중구(中區)
  • 남구(南區)
  • 성북구(城北區)
  • 양천구(楊川區) : 바로 옆에 양주시 양천동이 존재함으로 내호동을 양천동으로 개명하지는 못하였다.

역사

  • 1973년 중구가 강서구(江西區)와 성서구(城西區)로 개편되었다.
  • 1986년 성서구와 강서구가 중구로 통합되었다.
  • 1986년 강남구에서 지금의 양천구 지역을 편입하면서 남구가 분리 및 신설되었다.
  • 2006년 특별시로 전환되었다.
  • 2006년 남구에서 내호구(內湖區)가 분리 및 신설되었다.[5]
  • 2006년 북구 및 성북구 일부를 합쳐 서구를 신설하였고 북구 및 성북구 잔여지역을 성북구로 통합하였다.
  • 2012년 7월 1일 내호구가 양천구로 개명되었다.

장연광역시(長淵廣域市)

  • 동구(東區)
  • 서구(西區)
  • 중구(中區)
  • 북구(北區)

역사

  • 1990년 장연읍, 장천면, 장남면, 동면 일대가 장연시로 송천읍, 장담면, 서면 일대가 해서시로 분리 승격되었으며 장연군이 용연군(龍淵郡)으로 개칭되었다.[6]
  • 1991년 용연군 용연면이 용연읍으로 승격되었다.
  • 1993년 용연군이 해서시에 통합요청을 했으나 거절되었다.
  • 1993년 장연시에 3개구가 설치되었다.[7]
  • 1996년 용연군이 해서시와 만해군의 광역시 통합승격 시도에 반발하여 시승격을 요구하였다.
  • 1997년 장연시와 용연군이 장연시로 통합되었으며 동구와 남구가 동구로 통합되고 3개 일반구가 추가로 설치되었다.[8]
  • 1998년 경기도 장곡시 파평구가 편입되면서 동구와 통합되었으나 분리 후 경기도 장곡시로 환원되었다.[9]
  • 1999년 부로 승격되었다.
  • 2006년 광역시로 전환되었다.

만해광역시(灣海廣域市)

만해광역시는 계획도시에서 출발했다고 볼 수 있는데 1980년대 강명그룹[10]에서 간척사업을 하였다가 계열사인 강명건설이 파산한 후 버려진 곳을 광명리로 편입한데에서 시작하였다. 이후 억지를 부려서 광역시로 승격되었다.

행정 구역

  • 동구(東區)
  • 서구(西區) : 광역시 소재지이다.
  • 남구(南區)
  • 해서구(海西區)
  • 광평군(光平郡)

역사

  • 1994년 만해군 남면 광평리 일대에 광평면을 신설하였다.
  • 1996년 만해군과 해서시가 만해부 에 관한 통합을 추진하였다.
  • 2000년 만해군과 해서시가 통합하여 만해부로 승격되었다. 해서시가 해서구로 개편되었으며, 동면이 동구로 만해읍, 서면, 군내면이 서구로, 남면(군도리 제외)이 남구로, 광평면과 남면 군도리가 광평군으로 승격되었다.[11]
  • 2006년 광역시로 전환되었다.

능강특별자치시(陵江特別自治市)

옛 지명 및 행정구역은 능강현, 능강군, 능주군, 능주목, 능강시 등이었다. 능강특별자치시는 2013년 1월 1일 능강특별자치시 설치에 관한 법률에 의해 특별자치시로 승격되었다. 모혜연의 묘가 모혜동(慕惠洞)[12]에, 모강우의 생가가 강우동(康優洞)에 위치해있다.

역사

  • 부군면 통폐합 당시 능강면을 능강부로 승격하였고 교외지역을 능주군(陵州郡)으로 하였다.
  • 1986년 능주군 모혜리 외 5개 리를 합쳐 모혜면을 신설하였다.[13]
  • 1989년 모혜면이 모혜읍으로 승격되였다.
  • 1994년 능강시와 능주군의 통합이 불발되자 모혜읍을 능강시로 이관하고 모혜동, 강우동으로 개편하였다.[14]
  • 1995년 논의 끝에 능강시와 능주군이 통합하여 도농복합시인 능강시가 출범하였다. 시청을 모혜동으로 이전하기로 합의하였다.[15][16]
  • 2006년 모혜동에 위치한 능강시청이 완공되어 이전하였다.[17]
  • 2006년 지방자치법 개정에 따라서 능강특별자치시로 승격하였다.

경기도(京畿道)

대한민국과 마찬가지로 수도 주변 지역이라고 하여 경기도라고 작명되었다. 도 소재지는 웅주시이다.[18]

행정 구역

  • 양주시(楊州市)
    • 동구(東區)
    • 남구(南區)
  • 양천시(楊川市)
  • 양산시(楊山市)
  • 양평시(楊平市)
  • 장곡시(長谷市)
    • 북구(北區)
    • 중구(中區)
    • 파평구(坡平面)
  • 웅주시(熊州市) : 도 소재지, 남웅동에 위치해 있다.
  • 남양시(南陽市)
  • 금천시(錦川市)
  • 해강시(海江市)
  • 남해군(南海郡)
  • 웅남군(熊南郡)
  • 서해군(西海郡)
  • 신려군(新麗郡)
  • 삼강군(三江郡)

역사

  • 부군면 통폐합 당시 경기도 결성군과 앙골도 남해군을 경기도 결성군으로 통합하였다가 남해군으로 개명하였다.
  • 1986년 내호동(현재 내호1~4동)을 연성부 남구로 편입하였다.
  • 1995년 양주군 양주읍이 5개의 동으로 전환되면서 양주시로 승격되었다.
  • 2012년 양주시 양천면 양북리, 동호리 일대가 양천동으로 승격되었다.

영평도(永平道)

영평시(永平市)와 평성시(平城市)의 앞 글자를 따서 작명한 행정구역이다.[19] 도 소재지는 하미시 영천동에 위치한다.[20] 하미시는 특이하게 설치된 행정 구역인데 영산군 2개시와 영천군 3개리를 합하여 하미면(下尾面)을 설치하여 영산군에 편입하였다가 하미읍(下尾邑)으로 승격함과 동시에 하미읍(河尾邑)으로 개명함과 동시에 영천군(永川郡)으로 이관하였다. 그 후 하미시로 승격되었다. 영천군은 주변 시군으로 분할 편입되어 폐지되였다. 여담으로 하미시와 영산군이 통합을 논의할 때마다 현재까지 5번이나 영평시(!?)에서 반대시위를 하여 무산되버렸다.

행정 구역

  • 영평시(永平市)
  • 평성시(平城市) : 도 소재지이다.
  • 하미시(河尾市)
  • 영산군(永山郡) : 부군면 통폐합 당시 영평부 교외지역에 신설되었던 행정 구역이다.
  • 홍주군(洪州郡)
  • 예안군(禮安郡)
  • 평해군(平海郡) : 부군면 통폐합 당시 평성부의 월경지에 설치한 행정구역이다.
  • 영해군(永海郡) : 부군면 통폐합 당시 영평부의 월경지에 설치한 행정구역이다.
  • 주북군(洲北郡)
  • 금성군(金城郡)

역사

  • 부군면 통폐합 당시 영평면을 영평부로 승격하고 잔여지역을 영산군으로 개명하였다.
  • 1994년 영평시에서 삼영통합(三永統合)을 추진하였으나 무산되었다. 이 후 영천군은 하미시와 영산군에 분할 편입되어 폐지되었다. 영천군청은 기념관으로 쓰이다가 1997년 이후 영평도청으로 사용중이다.
  • 같은 해 1994년 평성시, 하미시, 영천군, 영산군에서 영평시의 횡포를 보다 못하여 도청 이전을 추진하였고 1997년에 옛 영천군청으로 이전되었다.
  • 2006년 도청을 평성시 동구청 본관으로 이전하였다.[21][22]

란성도(丹城道)

란주시(丹州市)의 앞 글자와 나성군(羅城市)의 뒷 글자를 따서 작명한 행정구역이다.[23][24] 도 소재지는 란주시 라란구에 위치한다.

행정구역

  • 란주시(丹州市)
    • 라란구(羅丹區) : 도 소재지이다. 옛 란주군의 중심지인 란주읍[25](현 란주동(丹州洞)[26], 라란동(羅丹洞)[27], 문단동(文丹洞), 문성동(文聖洞) 일대)이 위치했던 지역이다. 라란구 하남동은 영평도 갈말군 서면에서 이관되었다.[28] 동구로 개명을 추진중이다.
    • 남구(南區)
    • 중구(中區) : 시 소재지이다.
    • 북구(北區) : 본래 서구(西區)였다가 문경동(文京東) 일대를 편입하고 북구로 개명당했다.
  • 나성군(羅城郡)
  • 영북군(永北郡)

성원도(星原道)

성주시(星州市)의 앞 글자와 원주시(原州市)의 앞글자를 따서 작명한 행정구역이다. 도 소재지는 원주시에 위치한다. 지명에 주(州)자가 들어가는 지역이 얼마나 많은지 다주도(多州道)라는 별칭까지 가지고 있다.

행정구역

  • 원주시(園州市) : 원남동에 도청이 위치해있으며 다주동[29]에 시청이 위치해 있다.
  • 성주시(星州市)
  • 광주시(光州市)
  • 승주시(昇州市)
  • 신주시(新洲市)
  • 송정시(松亭市)
  • 하주시(夏州市)
  • 광산군(光山郡)
  • 주남군(洲南郡)
  • 안기군(安綺郡)

앙골도(昻骨道)

도 소재지는 앙주시(昻州市)이다. 부군면 통폐합 이전에는 구 남해군과 구 서해군도 산하에 두고 있었다.[30][31]

행정구역

  • 앙주시(昻州市) : 앙골도 소재지
  • 여주시(麗州市)
    • 중구(中區)
    • 동앙구(東昻區)
    • 미동구(美東區)
  • 미주시(美州市)
  • 미양군(美養郡) : 미주읍이 미주시로 승격 후 남은 잔여지역을 미양읍에서 유래한 미양군으로 개명하였다. 현재까지도 미주시와 통합하지 못하고있다.
  • 장선군(張善郡)
  • 신앙군(新昻郡)

목단부(木丹府)

란승연의 난 당시 란승연이 최후의 거점으로 삼았던 목단성이 목단성구에 위치해있다.

행정 구역

  • 남단시(南丹市) : 부 소재지이다.
  • 서구(西區)
  • 중구(中區)
  • 목단성구(木丹城區)
  • 북단군(北丹郡)

역사

  • 부군면 통폐합 이전에는 목단군(木丹郡), 북단군(北丹郡)이었다.
  • 부군면 통폐합 당시 목단군 목단면(木丹面), 단성면(丹城面)을 목단부로 승격하고 목단군을 목주군(木州郡)으로 개명하였다.
  • 목주군 남면 일대에 남단부(南丹府)를 설치하였으나 폐지되었다.
  • 목주군 남면을 목단부에 편입하였다.
  • 1994년 목단시에 북구와 남구를 설치하였다.
  • 1997년 목단시, 목주군, 북단군[32]이 통합하여 목단부로 승격하였다.(삼단통합 三丹統合) 목단시 남구는 그대로 유지되었으며 북구가 서구로, 북단군 남면 단성리(丹城里)와 목주군이 목단성구로, 북단군(남면 단성리 제외)이 중구와 북구로 개편되었다.
  • 2006년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자치시를 설치할 수 있게 됨에 따라 남구가 남단시로, 북구가 북단군으로 개편되었다.[33] 옛 북구 산하 행정동 기준으로 북단동(구 북면)과 신북동(新北洞), 구북동(舊北洞)을 북단읍으로, 해안1동과 해안2동을 해안읍[34]으로 주북동(洲北洞)과 문주동(文州洞)[35], 문혜동(文惠洞)이 문주면(文州面)으로 전환되었다.
  • 2012년 7월 1일 지방자치법 개정으로 남단시에 있던 해안동 일부 (대안도, 만해도)가 서구 신해동으로 편입되었다.[36][37][38]

여담

  • 목단성은 목단성구 단성동이 아닌 목단성구 단곡동(丹谷洞)에 위치한다.
  • 나성군과의 합병을 시도하였으나 나성군에서 반발하여 무산되었다. 나성군은 란성도 잔류를 조건으로 목단성구와 통합을 해야한다는 주장하고 있다.

여담

  • 란주시는 성씨가 가장 많은 본관이다.
  • 나성군과 금성시는 성의 명칭이 그대로 지명이 되었다.

각주

  1. 정해진 수도가 없고 왕실과 조정이 이동하는 곳이 바로 수도가 되는 것이다.
  2. 평경(평성), 문경(란주 문경동 일대)→상경(란주), 동경(강평), 중경(능강), 남경(연성) 5경이다. 이후 남경은 옛 지명인 연주에서 연경으로 변경하여 명칭을 사용했다.
  3. 연성, 평성 2경이다.
  4. 당시 타 지역은 읍면 산하에 리가 설치되어 있었다. 경기 북부에 동이 설치되었던 이유는 천도 이후 영평도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며 이로 인해 양주군 당시 중북부와 남부의 행정구역의 차이가 있었다.
  5. 양천구로 하려고 했으나 양주시 양천면(현재 양천동)이 존재하는 바람에 명칭을 내호구로 하였다.
  6. 명칭은 용연면에서 유래함
  7. 동구, 남구, 북구
  8. 동구, 서구, 중구, 북구
  9. 장연시가 경기도에 편입될 계획이었으나 무산되었다.
  10. 1998년에 한나그룹과 미성그룹에 매각되었다.
  11. 광평군이 최초로 광역부(광역시)에 설치된 자치군이다.
  12. 왜구 잔당들이 능주목의 어느 마을에 거주였고 마을이름을 혜연동으로 하려고 했으나 모혜연을 사모한다는 의미로 모혜동으로 하였다고 한다.
  13. 하미읍(현 하미시 하미동 일대)과 비슷한 경우이다.
  14. 능강시로 이관하여 통합하는 방식을 하기로 논의하였다.
  15. 능강시청을 쓰기에는 뭣하고 그렇다고 능주군청을 쓰기도 애매했다.
  16. 능주군청은 현재 능서출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17. 능강시가 특별자치시로 승격하는 바람에 능강시청으로 존재한 기간은 고작 3개월뿐이다.
  18. 일제 시대에는 도청이 연성부에 위치하였다가 광복과 동시에 이전하였다.
  19. 이름만 보면 영평시를 따라서 작명한 것으로 잘못알기도 한다.
  20. 일제강점기 당시 평성시에서 영평시로 이전하였다가 1994년 평성시, 하미시, 영천군, 영산군에서 영평시의 횡포를 보다못하여 도청 이전을 추진하였고 1997년에 옛 영천군청으로 이전되었다.
  21. 별관은 옛 중구청사였다.
  22. 옛 도청은 영천출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23. 유일하게 유래가 된 지명의 뒷 글자를 사용하였다.
  24. 나성군과 란주시는 라란국에서 유래된 지명이다. 란주는 라란국 시대부터 존재한 지명이다.
  25. 란주시 설치와 동시에 라란읍으로 개명당했는데 왜 란주읍도 없는데 란주군과 란주읍을 개명하면서까지 시 명칭을 란주시로 하였는지 이해불능.
  26. 구 라란1동
  27. 구 라란2동
  28. 위치로 보나 생활권으로 보나 남구에 편입되는 것이 맞는데 란주군 당시에 편입되어 라란군을 거쳐 란주시에 통폐합된 지금까지도 라란구 소속이다. 뭐... 하북동도 중구가 아닌 남구 소속이니...
  29. 성원도의 별칭인 다주에서 유래한 명칭을 사용중.
  30. 남해군은 부군면 통폐합 당시 결성군(決城郡)과 통합되어 그 명칭을 경기도 결성군으로 하였다가 경기도 남해군으로 개명되었다.
  31. 서해군은 부군면 통폐합 당시 성원군과 통합하여 경기도로 편입되었다.
  32. 북안면(현 나성군 서북면) 제외
  33. 자치군은 이전에도 설치가 가능했으나 설치를 하지 않았다.
  34. 해안1동 일대와 해안2동 일대를 분리하자는 주장도 있었다. 예를 들어 해안면과 남면으로 말이다.
  35. 문주국(文洲國)과 한자가 다르다.
  36. 배편도 해안동에서 운행하고 거리상으로도 남단시가 가깝지만 지방도를 타면 해안동 주민센터가 신해동 주민센터 보다 거리가 멀기 때문이다.
  37. 위치상으로 보면 남단시에 편입 되는 것이 맞는게 아닌가 싶지만 교통문제로 이관되었던 거라 도로가 건설되었다면 현재까지도 남구였을지도 모른다.
  38. 애초에 서구 신동과 남단시 해안동을 통합하여 신설한 것이 신해동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