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

개요

절대자나 초자연적 질서에 관한 관행, 도덕, 신념, 믿음 기타 등등의 문화 체계. 일반적으로 절대적 진리의 추구와 에 대한 숭배, 인간 생활의 고뇌를 해결하거나 삶의 궁극적인 의미와 깨달음을 추구하는 결사로 풀이된다.

어원

한자 문화권에서의 어휘 '종교'(宗敎)는 불교에서 유래했으며, 전통적으로는 '으뜸되는 가르침'이라는 의미로 사용했다.

유럽 언어의 "religion"은 라틴어의 "religio"에서 나온 말로, 근대 일본 학자들이 "religion"을 "宗敎"로 번역한 것에 영향을 받아 근현대 한국중국 등에서도 "宗敎"라는 어휘를 "religion"와 같은 의미로 사용하게 되었다.

키케로는 religio를 '다시 읽다', '정확히 주목하다'를 뜻하는 relegere에서 왔다고 주장했다. 왜냐하면 신들을 숭배하는 모든 것을 다시 생각하기도 하고 다시 읽기도 하기 때문이다. 키케로에 반대하여, 신학자 락탄티우스는 religio를 '뒤로 묶다'를 뜻하는 religare에서 왔다고 주장했다. 히브리계 종교인간에게 뭔가 빚진 것이 있는 노예 정도로 취급하는데, 이에 그는 하느님께 복종하고 인정하는 조건에서 태어난 인간은 경외의 밧줄에 의해 하느님을 향한 의무를 가져 당겨져 묶였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이런 어원에 기초하여 '종교'를 정의하고자 하는 시도가 갖는 한계로는 한자어' "宗敎"건 라틴어 "religio"건 현대의 "종교(religion)"이라는 말과는 의미가 다르다는 점이 있다. 이를테면 한자어 "宗敎"는 '으뜸되는 가르침'이라는 명백히 가치 판단을 담은 표현이며, 키케로 또한 현대에는 '종교'라는 말로 통칭할 현상을 "religio"와 "superstitio"라는 별개의 표현으로 쪼개서 분류한 바 있다. Gothóni, R. (1994). Religio and Superstitio Reconsidered. Archiv Für Religionspsychologie / Archive for the Psychology of Religion, 21(1), 37–46. 이처럼 현대의 '종교'라는 말은 그 어원과는 의미가 상당 부분 달라졌다.

종교의 정의

종교학, 신학, 인류학, 사회학, 심리학 등 여러 학문에서 종교를 정의하고자 시도했다. 여러 쟁점이 남아있지만, 많은 학자들이 동의하는 바로는 다음과 같은 사항이 있다:

  • 일반인들이 상식적으로 생각해낼만한 '종교'에 대한 간단명료한 정의는 대부분 각각 다양한 반례에 부딪힌다.
  • '종교'의 정의는 그 자체로 종종 역사적, 정치적, 사회적 쟁점에 얽혀 있고는 하다.

앤서니 기든스는 《현대사회학》에서 종교가 아닌 네 가지를 설명했다:

  • 종교는 일신론과 동일시되어서는 안 된다.
  • 종교는 도덕적 규범과 동일시되어서는 안 된다.
  • 종교가 반드시 세계를 해명해야 하는 것은 아니다.
  • 종교는 초자연적인 것과 동일시되어서는 안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