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분류:대조선국 국왕}} ||<width=100><#972000><-999> {{{+2 {{{#ffffff '''조선 초대 국왕''' }}}}}} || ||<width=100><#972000><-999> {{{+1 {{{#ffffff '''태조 | 太祖''' }}}}}} || ||<table align=right><table width=400><-999> [[파일:태조어진.png]] || ||<-3><#972000> {{{#ffffff 출생}}} || 2022년 9월 30일 [br] {{{-1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자선당}}} || ||<-3><#972000> {{{#ffffff 즉위}}} || 2022년 12월 4일 [br] {{{-1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근정전 }}} || ||<-3><#972000> {{{#ffffff 사망}}} || 2023년 2월 10일 (향년 86세) [br] {{{-1 대조선국 한양 경복궁 강녕전 }}} || ||<-3><#972000> {{{#ffffff 능}}} || '''정릉(貞陵)''' || ||<-3><#972000> {{{#ffffff 재위기간}}} || 2022년 12월 4일 ~ 2023년 2월 10일 (69일) || ||<-3><#972000> {{{#ffffff 본관}}} || 전주 이씨 || ||<-3><#972000> {{{#ffffff 휘}}} || 조(祖) || ||<-3><#972000> {{{#ffffff 부모}}} || 부왕 [[환종]], 모후 [[의혜왕후]] || ||<-3><#972000> {{{#ffffff 형제자매}}} || 원손 이벽 || ||<-3><#972000> {{{#ffffff 배우자}}} || 세자빈 [[현빈 심씨]], 정비 [[신의왕후]], 계비 [[신덕왕후]] || ||<-3><#972000> {{{#ffffff 자녀}}} || 장남 [[인종]] || ||<-3><#972000> {{{#ffffff 종교}}} || 유교 || ||<-3><#972000> {{{#ffffff 신장}}} || 183cm || ||<-3><#972000> {{{#ffffff 묘호}}} || '''태조(太祖)''' || ||<-3><#972000> {{{#ffffff 호}}} || '''성문신무정의광덕대왕(聖文神武正義光德大王)''' || {{인용문| '''창업 군주이자 창건 군주이신 대행왕의 묘호를 태조라 한다.''' | '''2023년 2월 11일, 태조의 묘호가 확정될 때''' }} '''조선의 초대 국왕.''' 묘호는 태조(太祖), 시호는 성문신무정의광덕대왕(聖文神武正義光德大王)이고 휘는 조(祖)이다. 대조선국의 '''창업 군주'''이자 [[조선 왕조]]의 창건자이다. [[환종]]과 [[의혜왕후]]의 차남으로 태어났다. 형인 원손 이벽이 갑작스럽게 요절하며 왕위를 이을 후계자가 되었고, 2022년 12월 4일 왕위에 즉위하여 '''대조선국을 건국'''하였다. 재위 기간 동안 많은 후손들을 보았으며 왕비와 세자빈이 폐위되는 '''왕실 스캔'''들을 겪기도 하였다. '''조선의 초기 시스템을 구축시킨 군주'''이다. 창업 군주로 이름을 널린 그는 왕으로써 '''많은 업적'''을 남겼으며 늘 엄숙하고 생각이 깊은 군주였다고 한다. 가정에선 엄격하고 차가울 때도 있으나 늘 자식에겐 다정하고 온화적인 모습이였다고 한다. 이후 69일간 재위한 끝에 향년 86세로 훙서하였다. ==[[파일:현재2.png|width=30]] '''즉위전 생애'''== 2022년 9월 30일, [[환종]]과 [[의혜왕후]] 사이에서 차남으로 태어났다. 얼마 안가 10월 1일 형이던 원손 이벽이 걸렸던 독감이 점점 심해지다가 결국 요절 하며 차기 왕위계승자가 되었다. 조용히 자란 그는 10월 30일, 부유 심씨의 왕세손빈 심씨와 혼례를 치룬다. 세손빈 심씨와 조용히 자란 그는 아버지 [[환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2022년 11월 4일, 조선의 왕세자가 된다. 이후 8일 세자빈 심씨가 세손 이경을 낳으며 첫 아들을 보게 된다. 11월 22일, 향년 36세로 세자빈 심씨가 암으로 요절하며 부인을 잃고 만다. 이후 왕세자가 되어서도 조용히 자란 그는 아버지 [[환종]]의 갑작스러운 양위로 인해 2022년 12월 4일, 46세의 나이로 조선의 국왕으로 즉위한다. ==[[파일:현재2.png|width=30]] '''조선 국왕 즉위'''== 국왕으로 즉위한 이조는 대조선국을 선포하고, [[조선 왕조]]를 창립하며 조선의 초대 국왕으로 즉위하였다. 아버지가 사전 이야기도 없이 갑작스럽게 양위하여 많은 짐을 가지게 된 태조는 '''아버지에 대한 불만을 가지게 된다.''' 그 결과 사실상 상왕으로 물러나있던 아버지의 왕족 지위를 폐위시키고, 평민으로 신분을 격하시켰다. 이때 패륜 행위라는 욕을 먹기도 했으나 당시 민심이 흉흉하던 [[환종]]의 폐위가 꼴 좋다는 반응도 많았다. 다음날인 11일 장남 이경을 조선의 왕세자로 책봉한다. ==[[파일:현재2.png|width=30]] '''가족 관계'''== ---- ||<tablebordercolor=#003893; width=600px; table align=center><#003893><:> {{{#ffffff '''자녀'''}}} ||<#003893><:> {{{#ffffff '''이름'''}}} ||<#003893><:> {{{#ffffff '''출생'''}}} ||<#003893><:> {{{#ffffff '''배우자/자녀'''}}} || ||<#E6FFFF> 1녀 ||<#E6FFFF> 프린세스 로열 메리 <br> {{{-2 (The Princess Royal)}}} ||<#E6FFFF> 2023년 4월 8일 ||<#E6FFFF> 에든버러 공작 해리슨 <br> 케임브리지 공작 에드워드 윌리엄 리처드 루이, 웨식스 백작 [[허드슨 앨버트 크리스티안 에드워드]] || 찰스 국왕과 에리카 왕비의 자손으로는 장녀 1명 손자 2명, 증손주 1명이 있다. =[[파일:Royal Arms of the United Kingdom (Scotland).svg|width=30]] '''여담'''= ・어머니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 다람쥐]]의 체질인지, 스포츠를 매우 좋아해서 어린 시절부터 폴로를 했다. ・[[대영제국 국왕]]중 '''최초로 외국인 배우자'''인 [[에리카 프랜시스 스펜서]]를 왕비로 둔 국왕이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동음이의 (원본 보기) 틀:알림 상자 (원본 보기) 틀:인용문1 (원본 보기) 태조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