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2><tablealign=right><tablewidth=375><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972000><bgcolor=#972000> {{{#fff {{{+1 '''이산반정'''}}}[br] 李祘反正 }}} || ||<-2><bgcolor=#972000> '''{{{#fff 시기}}}''' || ||<-2> 2023년 11월 29일 ~ 2023년 11월 30일''' || ||<-2><bgcolor=#972000> '''{{{#fff 장소}}}''' || ||<-2> '''조선 한성부 경복궁 및 인근''' || ||<-2><bgcolor=#972000> '''{{{#fff 원인}}}''' || ||<-2> [[폐세자 모의 사건]]으로 인한 정치적 갈등 || ||<-2><bgcolor=#972000> '''{{{#fff 주요 인물}}}''' || ||<width=50%> '''왕당파'''[br]• 국왕 이역 [br]• 왕세자 이산[br]• 우의정 서월[br]• 판의금부사 서윤월 [br] --• 호조판서 우즈마키 아템-- [br]• 형조판서 루킹 [br]--• 공조판서 피로연[br]----• 상선 김문대-- [br]• 도승지 조상익 [br]• 병조참판 옵녹 ||<width=50%> '''신권파'''[br]• 영의정 윤원형 [br]• 왕세자빈 한씨[br]• 원손 이향 [br]• 좌의정 젠득이 [br]• 이조판서 이현식 [br]• 병조판서 황희 || ||<-2><bgcolor=#972000> '''{{{#fff 결과}}}''' || ||<-2> '''이역 폐위 및 이산 즉위''' || ||<-2><bgcolor=#972000> '''{{{#fff 영향}}}''' || ||<-2> '''영의정 윤원형의 권위 회복, 신권 강화''' || = 개요 = '''폐세자 모의 사건(廢世子 模擬 事件)'''은 2023년 11월 25일(후인 90일) 당시 왕세자 이산과 영의정 윤원형의 '''갈등이 극으로''' 향하자, 영의정 윤원형이 왕세자를 압박하기 위해 여러 조정 대신들을 데리고 '''왕세자의 폐위를 주청 및 모의한 사건'''이다. 하지만 국왕 이역이 이에 앙심을 품고 영의정 윤원형을 몰아내고자 하여 '''조선 정치, 경제, 사회에 직관되었던 정치적인 스캔'''이다. 결국 이것이 큰 화가 되어 [[이산반정]]의 원인이 되었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인용문 (원본 보기) 이산반정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