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2><tablealign=right><tablewidth=375><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972000><bgcolor=#972000> {{{#fff {{{+1 '''이산반정'''}}}[br] 李祘反正 }}} || ||<-2><bgcolor=#972000> '''{{{#fff 시기}}}''' || ||<-2> 2023년 11월 29일 ~ 2023년 11월 30일''' || ||<-2><bgcolor=#972000> '''{{{#fff 장소}}}''' || ||<-2> '''조선 한성부 경복궁 및 인근''' || ||<-2><bgcolor=#972000> '''{{{#fff 원인}}}''' || ||<-2> 판의금부사 임명 및 [[폐세자 모의 사건]]으로 인한 정치적 갈등 || ||<-2><bgcolor=#972000> '''{{{#fff 주요 인물}}}''' || ||<width=50%> '''조선 왕실(진압군)[br]'''• 국왕 이역 [br]• 왕세자빈 한씨[br]''' ||<width=50%> 반정 세력(반란군)'''[br]• 영의정 윤원형 [br]• 왕세자 이산[br]• 왕세손 이향 [br]• 휘정공주 [br]• 소용 고씨 [br]• 이조판서 이현식 [br]• 병조판서 황희 [br]• 공조판서 피로연 [br]• 대제학 한금청 [br]• 도승지 김대건[br]• 집의 이영석 [br]• 이조참판 최명일 [br]• 상온 박헌영''' || ||<-2><bgcolor=#972000> '''{{{#fff 결과}}}''' || ||<-2> '''이역 폐위 및 이산 즉위''' || ||<-2><bgcolor=#972000> '''{{{#fff 영향}}}''' || ||<-2> '''영의정 윤원형의 권위 회복, 신권 강화''' || = 개요 = '''이산반정(李祘反正)'''은 2023년 11월 29일(후인 95일) 당시 국왕 이역과 영의정 윤원형이 판의금부사 임명 문제를 두고, [[폐세자 모의 사건]]의 2차 갈등이 발생하여 영의정 윤원형이 왕족, 문무관 대신들을 포섭하여 '''국왕 이역을 폐위시키고 왕세자 이산을 왕위에 옹립한 사건'''이다. 내부에서 왕위를 찬탈한 반정은 2016년 왕위계승전쟁 이후, '''7년'''만에 발생한 것이며 근현대에선 '''최초의 반정'''이다. = 배경 = 신권파가 반정을 일으킨 이유는 여러 이유가 있었다. 첫째로 영의정 윤원형은 피스톨을 판의금부사로 임명하고자 하였으나 주상 '''이역'''이 반대하고 과거시험을 보게하라며 경복궁에서 갈등이 있었다. 결국 영의정 윤원형은 [[폐세자 모의 사건]]에서 생겨난 '''신권파'''와 자신에 여러 측근들을 이용해 '''7년'''만에 '''반정'''을 일으켰다. 신권파에서도 여러 의견들이 오갔고, 주상과 타협하는것과 반정을 일으키는 의견으로 좁혀졌다. 윤원형은 주상 '''이역'''을 찾아가 '''타협'''을 요구했으나 주상 이역은 이를 ''''''거부''''''하였다. = 경과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인용문 (원본 보기) 이산반정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