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 class="wikitable" style="float: right; border:2px solid #E9C967; text-align: left" |- ! colspan="5" style="font-size: 10.5pt; color: #000; background: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E9C967, #E9C967 20%, #E9C967 80%, #E9C967)"| {{{+2 예수}}} <br> {{{ישוע | Ἰησοῦς Χριστός | Iesus Christus}}}''' |- ! colspan="5" | <center><div style="margin: -5px -9px"> [[파일:예수.webp|400px]] |- | row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000; background: #E9C967" | <center>'''출생'''</center>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기원전^^ 7~2년 추정[* [[서력기원]]의 정의에 따르면 AD 원년(1년)이어야겠지만, 서력기원이 원년을 정의할 때 오차가 있었다. 오늘날 가장 보편적으로 쓰이는 출생 연도는 기원전 4년이다. 학자들에 따라, 어떤 기록을 사용하냐에 따라 생년이 들쭉날쭉하는데, 이는 [[역사적 예수|예수가 살아있을 당시]]에는 크게 유명한 인물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로마 제국 헤로데 왕국 베들레헴<br>(現 팔레스타인 베들레헴) |- | row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000; background: #E9C967" | <center>'''사망'''</center>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서기^^ 30년 4월 7일<br>또는 ^^서기^^ 33년 4월 3일[* [[그리스도교]]에서는 이후 부활 및 승천했다고 믿는다. 따라서 이 두 날을 [[주님 부활 대축일]]([[부활절]]) 및 [[주님 승천 대축일]]로 기념한다.] (향년 33세)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로마 제국 유다이아 속주 예루살렘 골고타<br>(現 이스라엘 예루살렘 골고타) |- | row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000; background: #E9C967" | <center>'''부활'''</center>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서기^^ 30년 4월 10일<br>또는 ^^서기^^ 33년 4월 6일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로마 제국 유다이아 속주 예루살렘 정원 무덤<br>(現 이스라엘 예루살렘 [[성묘교회]][* 다만 [[개신교]]는 이 장소를 인정하지 않는다.]) |- | row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000; background: #E9C967" | <center>'''승천'''</center>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서기^^ 30년 5월 19일<br>또는 ^^서기^^ 33년 5월 15일 |- | colspan="4" style="font-size: 10.5pt | 로마 제국 유다이아 속주 예루살렘 감람산<br>(現 이스라엘 예루살렘 감람산) |- | colspan="2" rowspan="3" style="font-size: 10.5pt; color: #000; width: 25%; background: #E9C967;" | <center>'''가족관계'''</center>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center>외조부</center>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요아킴]]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center>아버지</center>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야훼|성부 하느님]]<br>[[나자렛의 요셉]]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center>어머니</center>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text-align: left" | [[성모 마리아]] |- |} {{목차}} ==개요== '''예수'''는 [[서력기원]] 무렵 [[로마 제국]]의 [[가나안|팔레스티나]] 지역에서 태어나고 활동했던 이스라엘의 현자[* 이 관점은 다른 복음서들과 비교할 때 특히 [[마태오 복음서]]에서 두드러진다. 마태오 복음서에서 예수는 제자들이 율법학자와 바리사이의 의로움을 능가할 것을 요청하며 다음 대당명제(율법에 대한 새로운 개념) 등을 제시한다: ① "살인하지 말라" → "성내지도 말라(마태 5,21-26)" ② "간음하지 말라" → "음란한 생각조차 품지 말라"(마태 5,27-30) ③ "아내를 버리려면 이혼장을 써 주어라" → "불륜의 경우를 제외하고는 아내를 버리지 말라"(마태 5,31-32)]이자, 예언자[* 이 관점은 특히 [[루가 복음서]]에서 두드러진다. 24장에서 제자는 예수의 신원을 다음과 같이 밝힌다: "그분은 하느님과 온 백성 앞에서, 행동과 말씀에 힘이 있는 예언자셨습니다." 현대의 [[역사적 예수]] 담론에서도 예수를 '종말론적 예언자'로 본다. 일찍이 [[알베르트 슈바이처]]에 의해 주장된 이 관점은 샌더스(Ed Parish Sanders), 마이어(John Paul Meier) 등 수많은 후학들에 의해 지지되어, 오늘날 역사적 예수 연구의 기본 키워드로 통한다.]이며, [[기독교|그리스도교(기독교)]]의 창시자이다.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목차 (원본 보기) 틀:실제 인물 (원본 보기) 틀:인용문1 (원본 보기) 예수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