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f8e6c0; max-width:450px; width:100%; float:right; text-align:1.05em" ! colspan="3" style="background:#293f6e ; color:#f8e6c0" | {{글씨 크기|14|조로아스터교}} 拜火敎<br>مزدیسناㅣ Zoroastrianism |- | colspan="3" | <div style="margin:-5px -9px">[[파일:조로아스터교 불의신전.webp|100%]]</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293f6e ; color:#f8e6c0; width:30%" | 계통 | 인도-이란 계통의 종교<br>└ 이란 계통의 종교 |- ! colspan="2" style="background:#293f6e ; color:#f8e6c0" | 유형 | [[일신론]]<br>└ [[유일신교]] |- ! rowspan="2" style="background:#293f6e ; color:#f8e6c0" | 창시 ! style="background:#293f6e ; color:#f8e6c0" | 창시자 | [[자라투스트라]](조로아스터) |- ! style="background:#293f6e ; color:#f8e6c0" | 창시 시기 | [[기원전 2천년기 이전|기원전 1800년경]] ~ [[기원전 7세기|기원전 640년경]]<br>페르시아 |- ! colspan="2" style="background:#293f6e ; color:#f8e6c0" | 규모 | 약 12만 명[* 신자의 대부분은 [[인도]]·[[이란]] 지역에 거주 중이다. 다만 이란의 경우 [[이슬람 근본주의]]로 인해 신자 수가 적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 [목차] ==개요==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 14.4px; border: 2px solid #f8e6c0; 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 style="background: #fff;" | <div style="margin: -5px -9px -6px;">[[파일:3049-1.webp]]</div> |- ! style="background: #ebebeb; color: #000;" | [[페르세폴리스]] 유적의 파라바하르 부조 |- |} '''조로아스터교'''(Zoroastrianism), '''마즈다교'''(Mazdaism) 또는 '''배화교'''(拜火敎)는 [[페르시아]] 지역에서 발원한 [[인도-이란 계통의 종교|이란 계통의 종교]]로, [[자라투스트라]]의 가르침을 따르며 인류 역사상 최고(最古)[* 가장 오래된 유일신 신앙은 이집트의 [[아케나톤]] 파라오의 종교개혁이 꼽히지만, 아케나톤 사후 지속되지 못했기 때문에 제대로 체계를 갖춘 종교라고 보기는 힘들다. 또한, 바빌론 유수 이전의 [[유대교]]는 일신교라 보지 않는다. 당시 유대인들의 인식은 "유대인들은 야훼만을 섬겨야 한다"였지 "다른 민족의 신들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아니었다.]의 [[유일신|일신교]]로 꼽힌다. 그러나 엄밀한 의미로 보면 선한 신과 악한 신을 두고 이원적으로 세상을 보는 [[단일신교]]에 해당한다. 조로아스터교는 창조신 [[아후라 마즈다]]를 중심으로 선과 악의 질서 및 세계를 구분하는 것이 특징이다. '배화교'라는 명칭은 [[중국]]에서 묘사한 이들의 모습이 주로 [[불]]을 숭상한다 하여 붙은 이름인데, 실제로는 조로아스터교도가 하루에 5번 진행되는 의식을 신성히 여기기 때문에 의식에 쓰이는 성화를 보존하려고 한 것이지, 토속 신앙에서처럼 불을 숭배하는 종교는 아니었다. 오늘날의 [[이란]]은 [[이슬람]] 국가이지만, 이란 국민들에게는 전통적인 [[페르시아 제국|페르시아]]를 상징하던 유서 깊은 종교로 여겨지고 있다. 다만 현재는 이슬람 근본주의에 묻히게 되어 조로아스터교를 죄악으로 여기게 되었다. 오히려 본고장인 [[이란]]보다 저 멀리 [[유럽]]에서 더 인기가 많을 정도.[* 서양은 현대에 들어 오리엔탈 판타지 바람이 불며 동양 철학, 동양 종교 붐이 주기적으로 돌고 있다. [[히틀러]]가 인도 사상에 심취했다는 말도 있듯 이런 현상은 그리 최근만의 일도 아니다. 아무래도 구시대적 [[기독교]]적 가치나 물질적인 가치관에서 벗어나고 싶어하는 사람들이 꽤 된다는 모양. [[오컬트]]적 요소에 대한 관심도 있다. 이건 [[불교]]나 [[도교]] 등도 같은 현상을 겪고 있다. 정작 본토에선 [[힌두교]], 이슬람교, [[공산주의]] 등에 밀려 사장되었으나 서양에선 뜨고 있는 아이러니.] 경전은 [[아베스타]]이다. ==신화== ==역사== ---- [[분류:조로아스터교]]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인용문1 (원본 보기) 조로아스터교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