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목차] ==개요== {{{+1 民族宗敎 / Ethnic Religion}}} 타 민족에 대한 전도력이 미약한, 주로 특정한 [[민족]] 내에서 통용되는 [[종교]]. 민족종교는 이름 그대로 특정 민족의 이해관계와 정서 등을 대변하는 속성상 범인류적인 친화성이 결여되어 [[불교]], [[기독교]], [[이슬람]] 같은 '''세계종교에 비해 영향범위나 신자 수 등이 현저히 낮은 경향이 있다.''' 물론 [[힌두교]]나 다음 가는 [[도교]] 정도쯤 되면 한 나라만 갖고도 무지막지한 영향범위와 신자를 보유할 수도 있긴 하다. 단순히 신자 수만 따지면 힌두교는 불교의 3배에 육박하며 기독교나 이슬람교의 아성을 넘보는 '''세계 3위'''의 거대종교이고 도교 역시 중국+대만+화교를 합치면 상당한 신자를 갖고 있다.[* 종교사를 보면 중국 역사 내내 중국 내에서도 불교한테 밀려서 언제나 콩라인이었던 것도 사실이다. 실제로 중국에서 제일 도교가 성한 당송 시대에조차 사원 수만 따져도 불교가 더 많았다. 무엇보다 도교는 교단 등의 조직적 체계가 미비하고, 그래서 도교 신자인가 아닌가를 가리는 것이 쉽지 않다.] 이런 속성상 [[민족주의]]와 결합력을 갖고 있으며 타 종교에 대한 배타성이 강하다. 물론 불교와 융합한 [[신토]], 힌두교와 이슬람을 융합한 [[시크교]]처럼 민족종교치고는 놀라운 수용력을 보이는 사례도 적지는 않다. 사실 현재 세계종교라 불리는 것들도 원래는 다 특정 민족의 민족종교에서 출발했었다. 기독교[* 다만 창시 당시에는 [[유대교]]였다.]만 보더라도 중동 촌구석 히브리족만의 종교에서 시작했고 이슬람도 아라비아 반도 부족의 종교로 시작했다. 지금은 민족종교라 불리는 것들도 미래에는 세계종교가 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 그러나 이러기 위해서는 오랜 시간에 걸쳐 단일 체제를 유지하는 한편, 특정 민족에 대한 선민적 요소를 쳐내야 한다. ---- [[분류:민족]][[분류:종교]] 민족종교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