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2><tablealign=right><tablewidth=375><tablebgcolor=#fff,#1f2023><tablebordercolor=#972000><bgcolor=#972000> {{{#fff {{{+1 '''이산반정'''}}}[br] 李祘反正 }}} || ||<-2> [[파일:반정 시작의 모습.jpg]] || ||<-2><bgcolor=#972000> '''{{{#fff 시기}}}''' || ||<-2> 2023년 11월 29일 ~ 2023년 11월 30일''' || ||<-2><bgcolor=#972000> '''{{{#fff 장소}}}''' || ||<-2> '''조선 한성부 경복궁 및 인근''' || ||<-2><bgcolor=#972000> '''{{{#fff 원인}}}''' || ||<-2> 판의금부사 임명 및 [[폐세자 모의 사건]]으로 인한 정치적 갈등 || ||<-2><bgcolor=#972000> '''{{{#fff 주요 인물}}}''' || ||<width=50%> '''조선 왕실(진압군)[br]'''• 국왕 [[영조]] [br]• 왕세자빈 한씨[br]''' ||<width=50%> 반정 세력(반란군)'''[br]• 영의정 윤원형 [br]• 왕세자 이산[br]• 왕세손 이향 [br]• 휘정공주 [br]• 소용 고씨 [br]• 이조판서 [[이현식]] [br]• 병조판서 황희 [br]• 공조판서 피로연 [br]• 대제학 한금청 [br]• 도승지 김대건[br]• 집의 이영석 [br]• 이조참판 최명일 [br]• 상온 박헌영 [br]• 무당 피스톨''' || ||<-2><bgcolor=#972000> '''{{{#fff 결과}}}''' || ||<-2> '''[[영조]] 폐위 및 이산 즉위''' || ||<-2><bgcolor=#972000> '''{{{#fff 영향}}}''' || ||<-2> '''영의정 윤원형의 권위 회복, 신권 강화, [[노론]]과 [[소론]] 등장''' || [[파일:이산 반정 모습.jpg|1080x1080px|가운데]] = 개요 = '''이산반정(李祘反正)'''은 2023년 11월 29일(후인 95일) 당시 국왕 [[대조선국 영조|영조]]와 영의정 윤원형이 판의금부사 임명 문제를 두고, [[폐세자 모의 사건]]의 2차 갈등이 발생하여 영의정 윤원형이 왕족, 문무관 대신들을 포섭하여 '''국왕 [[대조선국 영조|영조]]를 폐위시키고 왕세자 이산을 왕위에 옹립한 사건'''이다. 내부에서 왕위를 찬탈한 반정은 2016년 왕위계승전쟁 이후, '''7년'''만에 발생한 것이며 근현대에선 '''최초의 반정'''이다. = 배경 = 신권파가 반정을 일으킨 이유는 여러 이유가 있었다. 첫째로 영의정 윤원형은 피스톨을 판의금부사로 임명하고자 하였으나 [[대조선국 영조|영조]]가 반대하고 과거시험을 보게하라며 경복궁에서 갈등이 있었다. 신권파에서도 여러 의견들이 오갔고, [[대조선국 영조|영조]]와 타협하는것과 반정을 일으키는 의견으로 좁혀졌다. 윤원형은 [[대조선국 영조|영조]]를 찾아가 '''타협'''을 요구했으나 [[대조선국 영조|영조]]는 이를 '''거부'''하였다. = 경과 = === 11월 29일(반정 발발) === • 반정이 일어나기전 [[대조선국]] 마크 서버에서 세자를 감금하고 윤원형이 반란을 꾀하고있다는 소식이 경복궁에 들려왔다. • 결국 영의정 윤원형은 [[폐세자 모의 사건]]에서 생겨난 '''신권파'''와 자신에 여러 측근들과 함께 '''반정'''을 일으켰다. • 23시 35분경 한성에서 반정군들이 포착됐고, 소리를 지르며 '''경복궁'''으로 향하는것이 '''포착'''됐다. • 병조판서 황희도 반정군에 합류했다. • 23시 44분경 반정군과 그들의 수장 윤원형이 경복궁을 '''''점령'''''하는데 성공했다. === 11월 30일(반정 종료) === • 0시 52분경 윤원형은 경복궁에서 [[대조선국 영조|영조]]를 '''폐위'''시키고 세자 이산을 옹립하였다. = 결과 = 이 사건으로 주상이었던 [[대조선국 영조|영조]]가 '''폐위'''되어 상왕이 되었다. === 신권파 === 신권파를 윤원형과 함께 권위를 회복했고 [[폐세자 모의 사건]]을 씻어낼수 있었다. 그리고 신권파에서도 어떠한 의견이 있었는지도 알수있었다. 또한 조정에서의 신권파 진출과 신권파의 권한이 확대됐다. 하지만 이후 이산이 왕위에 오르자 신권파는 [[노론]]과 [[소론]]으로 나누어졌다. === 왕당파(이역) === 이번 반정으로 인해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대조선국 영조|영조]]는 이번 사건으로 인하여 '''폐위'''되고야 말았다. 또한 붕당정치에서 [[노론]]과 [[소론]]만 있을뿐 왕당파 세력은 붕당에서 조차 없어졌다. = 반정이 실패했다면? = 반정이 실패했다면 영의정 윤원형은 영의정에서 삭탈관직 됐을것이다. 또한 [[폐세자 모의 사건]]이 일어난지 얼마 안된 시점이라 그런지 신권파도 몰락하고 숙청될듯하다. 왕당파를 보자면 왕당파와 [[대조선국 영조|영조]]의 권위는 상승할것이다. = 입장 = === 신권파 === • 윤원형은 [[대조선국 영조|영조]]에게 기회를 드리고 우리의 요구사항을 수용하지 않는다면 반정을 일으키겠다고 반정군들에게 말하였다. • 반정시작전 윤원형은 주상이었던 [[대조선국 영조|영조]]가 반란 일으켜봐라 라며 신권파에 요구사항을 거부하였다. • 반정이 시작하자 윤원형은 수도 한양에서 반정군들에게 "으아아아아아"를 외치라며 말하였다. === 왕당파 === • 반정이 일어나기전 세자는 마크 서버에서 감금당하자 영의정 윤원형이 반란을 꾀하고있다고 전했다. • 경복궁에서 반정군들이 들어오자 주상 이역은 해봤자 뭐하겠냐며 반정군들을 비난했다.[*이후 [[대조선국 영조|영조]]는 폐위됐다.] • [[대조선국 영조|영조]]가 폐위된후 이역이 직접 반역의 무리가 하는 말을 왜 들어야하냐며 이리 되어도 나의 선택을 후회하지 않는다고 전했다. = 관련 어록 = {{인용문|"반역자 무리가 하는말을 왜 들어야하는지, 이리 됬어도 난 후회하지 않는다."|[[대조선국 영조|영조]]}} {{인용문|"백성들에게 편안함이 되길"|[[이현식]]}} {{인용문|"으아아아아아아!"|반정군}} {{인용문|"실패하면 반역 성공하면 혁명 아닙니까!"|[[이현식]]}}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인용문 (원본 보기) 이산반정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