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FF6600; max-width:450px; width:100%; float:right; text-align:1.05em" ! colspan="3" style="background:#FF6600 ; color:#fff" | {{글씨 크기|14|캥거루}} (캉가루, 강가루)<br>袋鼠 | Kangaroo, Roo |- | colspan="3" | <div style="margin:-5px -9px">[[파일:캥거루 가족.webp|9900px]]</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FF9934 ; color:#000; width:30%" | 학명 | '''''Macropodidae'''''<br>(Gray, 1821) |- ! colspan="3" style="background:#FF9A66 ; color:#000" | 분류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계 | [[동물계]]^^Animali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문 | [[척삭동물문]]^^Chordat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강 | [[포유류|포유강]]^^Mammali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목 | 캥거루목^^Diprotodonti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아목 | 캥거루아목^^Macropodiformes^^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과 | '''캥거루과^^Macropodidae^^''' |} [목차] ==개요== 캥거루과에 속하는 포유류 동물들의 총칭이다. [[호주]] 대륙에 서식하며 나무타기캥거루 등의 일부 종들은 [[뉴기니]]에도 산다. 뉴기니의 존재감이 약하고 수적으로 [[호주]]에 많이 서식하는 관계로 [[호주]] 그 자체를 상징하는 말로도 쓰이고 호주 국장에도 들어간 동물이다. [[호주]]의 플래그 캐리어인 [[콴타스]]도 별칭이 '플라잉 캥거루'[* 비행기에 크게 그려진 콴타스의 로고가 캥거루 실루엣이라서 이런 별명이 붙었다. ], [[호주 축구 국가대표팀]]의 [[별명]]도 '사커루'다.[* 호주 관중들이 캥거루 풍선을 들고 응원하기도 한다.] 호주발 유럽 항로도 [[캥거루 루트]]라고 불릴 정도. 호주 정부의 추산으로는 2016년 기준으로 호주에 캥거루 4500만 마리가 서식한다고 한다. 호주 국민이 2500만 명이니 ---캥거루의 머릿수가 호주 국민보다 1.8배 더 많은 격이다!---[* [[https://www.news.com.au/technology/science/animals/experts-warn-australians-need-to-eat-more-kangaroos-as-the-marsupials-population-booms/news-story/9465175b998f4b88b505997b086603e1#:~:text=KANGAROOS%20are%20overrunning%20Australia%20and,about%2027%20million%20in%202010|출처]]] ==상세== 캥거루의 [[어원]]이 백인들이 [[호주 원주민]]들에게 "저 동물이 무슨 동물이냐?"라고 손짓 발짓을 해가며 질문하자 그들 언어로 "[[모루겟소요|나도 모른다]]." 혹은 "무슨 말인지 못 알아듣겠다."라고 대답한 단어를 동물의 이름인 줄 알고 부르기 시작했다는 설이 [[민간어원|흔히 알려졌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진짜 어원은 구구 이미디르족의 언어로 회색 캥거루를 뜻하는 강우루(gangurru). 1970년대에 언어학자 John B. Haviland에 의해 반증되었지만 여전히 재미난 상식처럼 떠돌아다니고 있다. 이를 재미있게 응용한 내용이 영화 [[컨택트]]에 나온다. [[http://iceager.egloos.com/3165545|관련 글: '캥거루'라는 이름의 유래]][* 다만 캥거루의 어원에 대한 루머와 비슷하게 이름이 생긴 케이스는 종종 있다. [[모루겟소요]]나 성경의 [[만나]] 같은...] 캥거루의 [[문화어]]는 캉가루이다. 어르신들 중에서도 캉가루라고 하는 경우가 꽤 많다. [[일제 강점기]] 시절에는 일본어 발음을 따라 '강가루'로 불렸다. [[백석(시인)|백석]]의 시 '강가루'가 대표 작품이다. 권투를 한다는 이미지가 있다. 서거나 걷거나 하는 자세가 권투하는 것과 비슷해 보이고 싸울 때 앞 다리를 파닥거리면서 견제를 하는데 그게 권투하는 것처럼 보여서 그렇게들 여기는 것이다.[* [[철권|어느 격투게임]]에는 [[로저(철권)|등장인물]]로 나오기도 한다.] 사실 캥거루는 순해보이는 외모와 달리 사나우며 힘이 센 편이고 사람을 해칠수 있는 [[맹수]]이다. 싸움을 잘하는 건 아니고 꼬리를 지탱하여 주로 다리로 공격한다.[[https://m.youtube.com/watch?v=U2VH445527g&feature=youtu.be|호주의 흔한 캥거루 싸움]] 실제로 캥거루한테 공격당한 사례들이 있는데 [[튀르키예]]에서 어느 장사꾼이 캥거루로 길거리에서 쇼를 하며 제법 홍보도 하고 쏠쏠하게 돈을 벌었는데 몇 해동안 그러다가 어느날 갑자기 캥거루에게 가슴팍을 걷어차여 갈비뼈가 부러진 사례가 있다고 한다.[* 물론 인간의 갈비뼈는 부러지기 쉬워서 심폐소생술 시행중에도 종종 부러진다.] 2018년 2월, 캥거루 사냥꾼이 캥거루에게 당해 턱뼈가 부러지고 목숨을 잃을 뻔한 사고가 있었다.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hm&sid1=104&oid=081&aid=0002893839|기사]] 호주에서는 70대 노인이 기르던 애완용 캥거루의 공격을 받아 숨지는 일이 발생했다. 이 캥거루는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까지 위협하여 경찰한테 사살되었다. [[https://www.wikitree.co.kr/articles/789080|기사]] 성체 캥거루는 체중이 35~90kg이라 편차가 큰 편이다. 또한 야생 동물인 만큼 발톱도 날카로운 편이다. 호주의 한 관광객이 캥거루에게 공격을 받았는데, 발톱에 베이는 바람에 22바늘이나 꿰매야 했던 사례도 있다. 또한 캥거루는 주로 두 다리와 꼬리를 사용하여 체중을 지탱하는데 그 때문에 상체 근육이 약한 편이다. 다만 캥거루가 나이가 들면서 다리와 꼬리 힘이 떨어져 네 발로 다니면서 상체를 사용하게 되고 그 때문에 상체 근육이 증가하는데 오히려 이런 경우는 노쇠한 개체라서 순발력이 떨어진다. 나무캥거루 종류를 빼면 뒷다리를 독립적으로 움직일 수가 없다. 그래서 항상 깡총거리며 점프한다. 또한 캥거루는 달릴 때 속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뛰는 횟수가 아니라 보폭을 늘리는 것이다. 예를 들어 시속 6km로 달릴 때와 20km로 달릴 때의 뛰는 횟수가 같다. 게다가 폴짝폴짝 뛰어다니느라 에너지 소비가 상당할 것 같지만, 뒷다리의 힘줄 덕에 오히려 '''빨리 달릴수록 에너지 효율이 올라간다'''. 스프링식으로 운동하는 힘줄 덕에 에너지가 저장되었다가 다음 점프에 사용되는 식인데, 느릴 때보다 빠를 때 더 효율적이다. 사람으로 치면 달리기가 걷기보다 편하다는 얘기. 다만 효율이 아무리 좋아도 소비 에너지는 속력에 비례해 '''세제곱으로 증가'''하는 데다가,[* 지구는 공기 저항이 있다] 저 말을 반대로 하면 걸을 때 효율이 안 좋다는 뜻이므로 무조건 캥거루의 이동방식이 다른 동물들보다 낫다고 판단할 수는 없다. 캥거루는 척박한 호주 대륙에 사는 대형 초식동물이다. 살아남기 위해서는 먼 거리를 움직이며 풀을 잔뜩 먹어야 하므로 저런 형태로 진화했다고 추정한다. 캥거루는 경우에 따라서 앞발까지 땅에 대고 다닐 수 있으나 이는 아주 천천히 움직일 때만 한다. 또한 캥거루는 신체구조상 뒤로는 이동할 수 없다. 캥거루는 '''눈에 [[휘판]]이 없는 극소수 포유동물'''이다.[* 휘판이 없는 동물로는 [[인간]]과 같은 [[영장류]]와 [[조류]], [[다람쥐]], [[돼지]]가 있다.] 휘판이 없다고 [[야간 시력]]이 안 좋단 말은 아니다.[* [[조류]]와 [[영장류]]는 야간시력보다 시력과 색각력을 위해 원뿔세포를 발달시켰기 때문에 밤에는 거의 [[장님]] 수준이지만, [[올빼미|야행성 맹금류]]나 [[안경원숭이|야행성 영장류]]는 눈에 휘판이 있는 웬만한 동물들보다도 야간 시력이 압도적이다. 이는 눈에 간상체라는 막대 세포가 매우 발달하였기 때문이다.] 캥거루는 원뿔세포보다 막대세포가 발달하였기 때문에 밤에도 매우 예리하게 볼 수 있다. [[동부회색캥거루]]는 주로 낮에는 나무와 관목 그늘에서 잠을 자고 밤에는 풀을 뜯기 위해 나온다. ==분류== 캥거루란 [[유대류|유대하강]], 캥거루목, 캥거루과에 속하는 [[포유류]] 동물들의 총칭으로 특정 종에 대한 명칭이 아니다.[* 캥거루란 명칭은 캥거루과 동물들의 총칭이다.] 보통 일반적으로 부르는 동물의 이름은 과명이나 속명이다. 예를 들어 [[사슴]]의 경우 사슴과에 속하는 동물의 총칭이며 사슴과의 수십 종에 이르는 사슴을 일일이 액시스사슴, 붉은사슴 등으로 구분하여 부르지는 않는다. [[파일:캥거루.webp]] ---- [[분류:캥거루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캥거루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