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개요 == {{{+1 生物 / Life }}} '''생물'''이란, [[생명]]을 가지고 스스로 생활 현상을 유지하여 나가는 물체를 말한다. 영양ㆍ운동ㆍ생장ㆍ증식을 하며, [[동물]]ㆍ[[식물]]ㆍ[[미생물]][* 크기 순으로 나열하면 균류(곰팡이, 버섯등)>원생생물(여기까지가 진핵생물)>고균, 세균(원핵생물)]로 나뉜다. 이러한 생물을 다루는 분야를 [[생물학]]이라고 한다. ==생물의 정의== 〈살아있다〉의 정의가 아직까지도 불분명하기 때문에 덩달아서 정의하기 힘든 단어이다.[* 아래의 조건들을 보면 알겠지만 고도로 발달한 [[기계]]도 충분히 가질 수 있는 특성들이다. 바꿔 말하면, 아래의 조건들을 만족하는 기계를 인공적으로 만들 수 있다면 그것을 [[인공생명체]]라 부르지 못할 이유가 없다는 뜻도 된다.] 현재까지는 다음의 특징을 가졌으면 〈생물〉이라고 본다. 생명체를 구성하는 물질은 [[단백질]]의 단위체인 [[아미노산]]의 [[펩타이드 결합]]과 [[핵산]]의 단위체인 [[뉴클레오타이드]]의 결합으로 생성된 서로 다른 유전 물질을 전달하는 [[DNA]], [[RNA]]가 있다. 이와 같이 단위체의 조합으로 생명체 구성 물질을 형성하면 적은 종류의 단위체로도 구조와 기능이 다양한 물질을 만들 수 있어 생명체가 복잡한 생명 현상을 재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뉴클레오타이드 4종류의 결합으로 DNA의 유전자 정보 결정, 아미노산의 결합으로 단백질의 형성 등.] * [[항상성]]: 체온, 수분량 등을 일정 수준으로 맞추는 조절작용을 하는지 여부. * [[세포|조직성]]: 세포성이라고도 한다. 외부와 격리된 유기물질 반투과성 막을 가졌는지 여부. * [[물질대사]]: 물질대사라고도 한다. 동화작용과 이화작용 및 외부와 물질교환을 하는지 여부. * [[반응]]: 외부 자극에 반응하는지 여부. * [[적응]]: 외부 환경에 맞춰 적응할 수 있는지의 여부. * [[성장]]과 [[생식]]: 생장과 발생. 자손이 성장해서 유전 물질 등의 정보를 다음 세대로 전달할 수 있는지의 여부. [[바이러스]]는 생물인지 [[무생물]]인지 애매하고, 몰리큐트와 [[리케차]]는 바이러스인지 애매했으나 현재는 세균으로 분류되어있다. 비슷한 의미에서 [[프리온]]은 생물과 구분할 필요가 있다. ---- [[분류:생물학]] [[분류:생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목차 (원본 보기) 생물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