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진핵생물역}}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01CC00; max-width:450px; width:100%; float:right; text-align:1.05em" ! colspan="3" style="background:#01CC00 ; color:#fff" | {{글씨 크기|14|식물}}<br>植物 | Plant |- | colspan="3" | <div style="margin:-5px -9px">[[파일:J7rONwgfdVwJnjoOWgrowTBUH1dsvIkoystc9Q2yvELZi3tAWSEb6BhV5GPDiHRupqzeeFWw1EFM12lRa3KqYteBsufDqshVD5lQdRiqhx23UL5axvtCDsQ4tdFrnTd8xOz15WMU9SKTzr-80pMSmA.webp|100%]]</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ABF200 ; color:#000; width:30%" | 학명 | '''Plantae'''<br>(Haeckel, 1866) |- ! colspan="3" style="background:#DAFF13 ; color:#000" | 분류 |- ! colspan="2" style="background:#D7FFCD ; color:#000" | 역 | [[진핵생물|진핵생물역]]^^Eukaryota^^ |- ! colspan="2" rowspan="3" style="background:#D7FFCD ; color:#000" | 계통군 | 쌍편모생물군 ^^Bikonta^^ |- | 식물 + HC + SAR 대형군 ^^Diaphoretickes^^ |- | 원시색소체생물 ^^Archaeplastid^^ |- ! colspan="2" style="background:#D7FFCD ; color:#000" | 계 | '''식물계^^Plantae^^''' |} [목차] ==개요== {{인용문1|"식물들은 열대림처럼 좋은 환경에서도 살지만, 그 외에도 얼어붙은 바위나 북극의 자갈밭, 그리고 사막의 뜨거운 모래밭에서도 살고 있습니다. 식물들은 불이나 태풍 속에서도 살아남는 법을 알고 있습니다. 또한 각종 동물들의 공격도 극복하며 때로는 반대로 동물을 잡아먹기도 합니다.|다큐멘터리 <식물의 사생활>을 마치며<ref>* 한글번역은 KBS더빙, 다큐멘터리에서는 중간에 '퀸스랜드의 작은 열대림도 마찬가지죠'라는 말이 들어가 있다.</ref>}} {{{+1 植物 / Plant}}} '''식물'''이란, [[진핵생물]] 중 [[셀룰로스]]로 이루어진 세포벽이 있으며 [[엽록소]] a와 b를 가지고 있고,[* 다만 이 부분은 혼재되는 경우가 있다. [[기생(생물학)|기생]]식물 중에서는 엽록소가 완전히 퇴화하여 광합성을 전혀 하지 않는 식물들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색소체]](plastid)가 2개의 막으로 덮여있는 [[다세포 생물]]들을 분류하는 생물계를 일컫는다. [[남세균]]과 [[규조류]], [[홍조류]], [[갈조류]] 등 [[광합성]]을 하는 다른 생물들과 함께 태양 에너지를 사용할수 있게 하는 원천으로, 전 세계의 대부분의 생태계[* 심해에서는 광합성 대신 열수구 등 다른 화학반응을 통해 생활하고 있어서 예외다.]와 인간 문명을 지탱하는 생물군이다. ==식물의 정의== 과거에는 [[동물]]이 아닌 것을 모두 가리키는 의미로 불리었지만 [[균류]]나 [[원생동물]] 등의 생물이 식물과 같지 않다는 점을 알게 되어 그 범위가 줄어들어 현재는 '''녹색식물(Viridiplantae)'''에 속하는 단세포-다세포 생물과 육상식물만을 포함하는 분류군이 대세이다.[[https://ko.wikipedia.org/wiki/%EC%9B%90%EC%8B%9C%EC%83%89%EC%86%8C%EC%B2%B4%EC%83%9D%EB%AC%BC|#]] 다만 이 분류는 학자에 따라 기준이 달라, 어디까지가 식물인지는 아래의 3가지의 분류로 나뉠 수 있다. *'''Sensu Strictssimo:''' 엽록소를 지녀 광합성을 하며 육상생활에 적응한 생물(유배식물). 식물을 분류하는 기준 중 가장 엄격한 기준으로, 우산이끼문, 뿔이끼류, [[이끼]]류와 유관속 식물만을 포함한다. *'''Sensu Stricto:''' 엽록체를 지니고 광합성을 하는 생물(녹색식물). 식물을 분류하는 기준 중 현재 '''학계에서 표준으로 사용되는 기준'''으로, 녹[[조류(식물)|조류]](Green Algae)를 포함한다. 다만 이는 녹조류가 측계통적 분류임을 전재로 하여, 아직도 학계에서 분류 중에 있다. *'''Sensu Lato:''' 색소체(엽록체, 유색체, 백색체)를 지닌 생물(원시색소체생물). 식물을 분류하는 기준 중 가장 폭넓은 기준으로, 녹조류 외에 홍조류(Rhodophyta)와 회청조류(Glaucocystophyta)도 포함한다. 이 두 조류들은 다른 식물들과 같이 엽록체를 보유하고 있으나, 홍조녹말(Floridean starch)을 색소체 바깥 세포질에 저장한다. *~~Sensu Amplo:~~ 움직이지 않는 생물(동물의 [[여집합]]). 식물을 분류한다기보다는 움직이지 않는 생물들을 전부 식물로 본 고전시대의 분류방법이다. 이 분류식은 갈조류나 규조류 같은 광합성을 하는 [[SAR 상군]]([[대롱편모조식물]])은 물론, [[균류]]와 [[박테리아]] 등도 몽땅 식물에 포함한다. 당연히 현대에 와서는 쓰이지 않는 분류법이다. ==식물의 진화== 현재까지 화석적 증거로는 가장 먼저 등장한 [[다세포 생물]]로 보인다. 빠르면 12억년전 [[엑타시스기]]에 등장했으며, 늦어도 10억년전 [[토노스기]]에 출현했다.[[https://www.sciencetimes.co.kr/news/10%EC%96%B5-%EB%85%84-%EB%90%9C-%ED%95%B4%EC%A1%B0%EB%A5%98-%ED%99%94%EC%84%9D-%EB%B0%9C%EA%B2%AC/|#]] 같은 쌍편모 생물에서 독자적으로 진화한 광합성하는 다세포 생물인 [[대롱편모조식물]]은 8억 7천만년전 토노스기에 단편모생물인 [[동물]]과 비슷한 시기에 등장한것과 대조적이다. 다만 후발주자인 대롱편모조식물은 식물을 빠르게 밀어내고 바다에서 우세종이 되어서 식물은 다른 서식지를 찾기 시작했다. 식물이 육상에서 등장하기 시작한 것은 [[고생대]] [[실루리아기]] 무렵이며, [[데본기]] 이후 건조 기후에 적응을 마친 다. 이후 빠르게 육상을 정복하여 기존에 육상을 뒤덮은 [[균류]][* 조류와 공생한 [[지의류]] 덕분에 지상에 먼저 진출한 상태였다. 식물이 상륙하기전 [[오르도비스기]] 때만 해도 나무 크기 만한 버섯인 [[프로토택사이트]] 같은 균류가 지상의 우세종이였다.]를 밀어내고 땅을 뒤덮어 버린 결과물이 [[석탄기]]의 이름을 결정지었다. 건조한 육상 환경에서 생식세포의 건조를 막기 위해 동물이 체내수정과 알껍질을 진화하는 방식으로 습한 환경을 보전해 주는 형태로 진화했다면 그 환경 자체에 적응해 버린 결과물이 꽃가루와 씨. 다만 습한 곳에서만 계속 살아가던 식물들도 있는데 이들이 [[양치류]] 식물, 우산이끼, 뿔이끼와 [[이끼]]류 등이다. 양치류 식물들은 [[포자]]를 통한 번식을 하여 물이 꼭 필요하며, 이끼들은 관다발형 조직이 없어 중력의 힘 밖으로 물을 조달하지 못해 공기 중 수분에 의지해 Dawsonia 종 같은 예외가 있으나 대부분 물의 조달이 편한 작은 형태로 남아있다. 석탄기에 등장한 [[겉씨식물]]은 건조하거나 추운환경도 완전히 적응해 지상을 빽빽하게 식물로 뒤덮어 그 흔적이 [[석탄]]으로 많이 남아있다. 겉씨식물은 양치류 식물을 밀어내고 [[쥐라기]]까지 번성하였다. [[백악기]]초엔 [[속씨식물]]이 등장했으며, 수분을 도와주는 [[곤충]]의 등장으로 현대적인 식물들이 등장하였다. 이 속씨식물은 겉씨식물을 밀어내고 식물의 우세종이 되었으며 현재도 겉씨식물이 남아있지만 속씨식물에 비해 세력이 상당히 줄었다. 속씨식물은 이후 곤충외에도 [[조류]] 같은 공룡과 [[인간]] 같은 포유류를 매개로 수분이나 열매를 통한 씨앗 이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진화하여 성공적으로 자리잡았다. 속씨식물은 [[외떡잎식물]]과 [[쌍떡잎식물]] 등으로 분화되었고 현재 쌍떡잎식물이 외떡잎식물보다 우세한 상황이다. ---- [[분류:식물]]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인용문1 (원본 보기) 틀:진핵생물역 (원본 보기) 식물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