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 class="wikitable" style="border:2px solid #FF6600; max-width:450px; width:100%; float:right; text-align:1.05em" ! colspan="3" style="background:#FF6600 ; color:#fff" | {{글씨 크기|14|갯농어}}<br>Milkfish |- | colspan="3" | <div style="margin:-5px -9px">[[파일:갯농어.webp|9900px]]</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FF9934 ; color:#000; width:30%" | 학명 | '''''Chanos chanos'''''<br>(Forsskål, 1775) |- ! colspan="3" style="background:#FF9A66 ; color:#000" | 분류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계 | [[동물계]]^^Animali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문 | [[척삭동물|척삭동물문]]^^Chordata^^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강 | [[조기어강]]^^Actinopterygii^^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목 | 압치목^^Gonorhynchiformes^^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과 | 갯농어과^^Chanidae^^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속 | 갯농어속^^Chanos^^ |- ! colspan="2" style="background:#FFCC66 ; color:#000" | 종 | '''갯농어^^C. chanos^^''' |} {{목차}} ==개요== 압치목 갯농어과의 생선. 농어라고 불리지만 실제 [[농어]]와는 목에서부터 다른 종류다. 성어일 때에는 바다에서 생활하지만, 알에서 깨어나 치어일 때에는 바다와 인접한 강가 등 [[기수#s-6|기수역]]에서 자라기 때문에 갯농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영문으로는 밀크피쉬(Milkfish)라고 하는데, 살이 우유처럼 하얗기 때문이다.[* 우유맛이 난다고 해서 밀크피쉬라는 설도 있다.] 영문을 번역한 젖빛고기 또는 학술명에서 유래한 차노스(Chanos)라는 명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갯농어가 우리나라에서 공식적으로 발견된 건 1994년 8월이다. 군산대학교 생물학과 이충렬, 주동수 교수가 전북 부안군 격포 앞바다에서 채집된 개체 3마리를 조사한 결과 기존에 국내에 보고되지 않은 Chanos chanos 종임을 확인하는 논문을 냈다.[* Chung Lyul Lee and Dong Soo Joo, ''A New Record of Family Chanidae (Gonorhynchiformes ; Chanoidei) from Korea'' (Korean J. Ichthyol. 9(1), 1~4, 1997] 그리고 이때 명명된 이름이 갯농어다. ==특징== 주로 [[인도양]]과 [[태평양]], [[홍해]] 같은 따뜻한 바다에서 서식하며, 캘리포니아 같은 태평양 동부 연안과 [[대만]]이나 [[일본]]에서도 잡힌다. 우리나라에서도 종종 서해안이나 [[제주도]] 인근 해역에서 낚시를 통해 잡히지만 흔한 물고기는 아니다. 하지만 온난화로 인해 해수온이 올라가면서 잡히는 수가 예전보다 늘어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제주도 쇠소깍 같은 기수역에서도 갯농어 치어들이 채집되고 있다. 체장은 약 50cm에서 1m 정도이며 최대 1.8m까지 자란다. 방추형 몸체로 몸 크기에 비해 머리와 입은 작은 편이며, 머리에 비해 눈이 큰 편이다. 수명은 10년에서 15년 정도다. 몸의 대부분은 작은 크기의 은빛 비늘로 덮여 있고 등 부분은 옅은 올리브색이나 파란색을 띈다. 갯농어의 가장 큰 신체적 특징은 전체 체장의 4분의1 이상을 차지하는 커다랗고 높은 V자형 꼬리지느러미다. 맹그로브 숲이나 늪, 하구 등 기수역 등지에서 산란하는데 암컷 한마리가 약 500만개의 알을 낳는다. 유어기 때는 얕은 바다에서 무리 지어서 생활하며, 성어가 된 개체들은 깊은 바다로 나아가 단독생활을 한다. [[조류(수중생물)|조류]]나 플랑크톤을 먹지만 이빨은 없다. 대신 사낭과 유문수[* 경골어류 특유의 기관으로 소화효소를 분비하고 영양소를 흡수하는 역할을 한다.]가 있고, 길고 구불구불한 장을 통해서 먹이를 소화시킨다. 복부를 제외한 몸 전체적으로 머리카락처럼 얇은 잔가시들이 많은 것도 특징 중 하나다. ---- [[분류:갯농어속]]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갯농어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