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분류:대영제국]] [[분류:대영제국 선거]] {{총선 정보 양식 | 테두리색 = | 배경색 = | 글씨색 = 000 | 선거명 = 대영제국 제27대 총선거 | 대표사진 = | 이전투표 날짜 = 2023년 6월 11일 | 이전투표 = 대영제국 제26대 총선거 | 투표 날짜 = 2023년 1월 16일 | 투표명 = 대영제국 제 27대 총선거 | 다음투표 날짜 = 2024년 2월 X일 | 다음투표 = 대영제국 제28대 총선거 | 투표율 = 0(명) | 결과 사진 = | 정당1 = {{영국 보수당}} | 상징색1 = 00AFEF | 비율1 = {{글씨 색|#000|0%}} | 지역구1 = {{글씨 색|#000|0}} | 정당2 = {{영국 노동당}} | 상징색2 = DC241F | 비율2 = {{글씨 색|#000|0%}} | 지역구2 = {{글씨 색|#000|0}} | 정당3 = {{영국 자유민주당}} | 상징색3 = FAA61A | 비율3 = {{글씨 색|#000|0%}} | 지역구3 = {{글씨 색|#000|0}} | 정당4 = 무소속 | 상징색4 = {{글씨 색|#000|0}} | 비율4 = 0 | 지역구4 = | 정당5 = | 상징색5 = | 비율5 = | 지역구5 = | 정당6 = | 상징색6 = | 비율6 = | 지역구6 = | 정당7 = | 상징색7 = | 비율7 = | 지역구7 = | 정당8 = | 상징색8 = | 비율8 = | 지역구8 = }} == 개요 == 2024년 1월 16일에 치뤄진 [[대영제국]]의 제27대 총선거. 대영제국의 2024년 첫 선거이며, 고정정당제가 도입된 첫 선거이다. == 후보 목록 == === 런던 === ===런던===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3399><tablebgcolor=#fff,#003399><rowbgcolor=#003399> '''{{{#fff 기호}}}''' || {{{#fff 이름}}}''' || '''{{{#fff 정당}}}''' || || 1 || [[이회창]] || {{영국 보수당}} || || 3 || [[이진]] || {{영국 자유민주당}} || || 3 || [[도그]] || {{무소속}} || === 맨체스터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3399><tablebgcolor=#fff,#003399><rowbgcolor=#003399> '''{{{#fff 기호}}}''' || {{{#fff 이름}}}''' || '''{{{#fff 정당}}}''' || || 1 || [[이냥]] || {{영국 보수당}} || === 요크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3399><tablebgcolor=#fff,#003399><rowbgcolor=#003399> '''{{{#fff 기호}}}''' || {{{#fff 이름}}}''' || '''{{{#fff 정당}}}''' || || 1 || [[모리슨]] || {{영국 보수당}} || || 3 || 메이지 || {{영국 자유민주당}} || === 에든버러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3399><tablebgcolor=#fff,#003399><rowbgcolor=#003399> '''{{{#fff 기호}}}''' || {{{#fff 이름}}}''' || '''{{{#fff 정당}}}''' || || 1 || [[옵녹]] || {{영국 보수당}} || || 3 || [[은하예]] || {{영국 자유민주당}} || === 글래스고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3399><tablebgcolor=#fff,#003399><rowbgcolor=#003399> '''{{{#fff 기호}}}''' || {{{#fff 이름}}}''' || '''{{{#fff 정당}}}''' || || 1 || [[홀베크]] || {{영국 보수당}} || || 3 || [[이스라엘 (가상국가 유저)|이스라엘]] || {{영국 자유민주당}} || === 카디프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3399><tablebgcolor=#fff,#003399><rowbgcolor=#003399> '''{{{#fff 기호}}}''' || {{{#fff 이름}}}''' || '''{{{#fff 정당}}}''' || || 1 || 케이 || {{영국 보수당}} || || 2 || 김정션 || {{영국 노동당}} || === 더블린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3399><tablebgcolor=#fff,#003399><rowbgcolor=#003399> '''{{{#fff 기호}}}''' || {{{#fff 이름}}}''' || '''{{{#fff 정당}}}''' || || 1 || [[요들]] || {{영국 보수당}} || || 3 || 브라보 || {{영국 자유민주당}} || == 선거 전 상황 == === [[영국 보수당]] === [[파일:Liz 당대표.png]] 이냥 당수를 중점으로 결속되어 7석 모두 공천을 하였다. 자신감 있는 모습으로 지속된 홍보에 나섰고, 정당 중 가장 많은 당원을 모았다. 여론조사 서도 과반을 넘기는 지지를 보여 무난하게 총선을 승리할 것으로 예상된다. === [[영국 노동당]] === 모든 정당 중 가장 늦게 전당대회를 치뤄 후보자 모집 기간 중에도 전당대회가 끝나지 아니하였다. === [[영국 자유민주당]] === 메이지 당수를 중점으로 모여 신입이 가장 많은 정당이다. 신입이 중심임에 따라 인력이 빠르게 모였다. == 여론조사 == ||<tablealign=left><tablebordercolor=#003399><tablebgcolor=#fff,#003399><rowbgcolor=#003399> '''{{{#fff 기호}}}''' || {{{#fff 정당}}}''' || '''{{{#fff 지지도}}}''' || || 1 || {{영국 보수당}} || 53.13% || || 2 || {{영국 노동당}} || 28.13% || || 3 || {{영국 자유민주당}} || 18.75% || == 결과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003399><tablebgcolor=#fff,#003399><rowbgcolor=#003399> '''{{{#fff 이름}}}''' || '''{{{#fff 정당}}}''' || '''{{{#fff 득표수 (득표율%)}}}''' || '''{{{#fff 지역구}}}''' || || [[-]] || {{무소속}} || 0(0.0%) || 런던 || || [[-]] || {{무소속}} || 0(0.0%) || 맨체스터 || || [[-]] || {{무소속}} || 0(0.0%) || 요크 || || [[-]] || {{무소속}} || 0(0.0%) || 에든버러 || || [[-]] || {{무소속}} || 0(0.0%) || 글래스고 || || [[-]] || {{무소속}} || 0(0.0%) || 카디프 || || [[-]] || {{무소속}} || 0(0.0%) || 더블린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무소속 (원본 보기) 틀:사람사는세상 (원본 보기) 틀:색 (원본 보기) 틀:영국 노동당 (원본 보기) 틀:영국 보수당 (원본 보기) 틀:영국 자유민주당 (원본 보기) 틀:인용문 (원본 보기) 틀:총선 결과 양식 (원본 보기) 틀:총선 정보 양식 (원본 보기) 대영제국 제27대 총선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