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table align=right><:> {{{+3 '''isiZulu'''}}} || ||||<:> {{{+1 '''줄루어'''}}} || ||<:> 주요사용국 ||<#ffffff> '''[[남아프리카 공화국]], [[짐바브웨]], [[레소토]], [[말라위]]등[* 그외에 [[에스와티니]]와 [[모잠비크]] 같은 나라 들도 있다.]''' || ||<:> 원어민 ||<#ffffff> '''약 1,200만 명''' || ||<:> 어족 ||<#ffffff> '''니제르콩고어족[br]애틀랜틱콩고어파[br]볼타콩고어군[br]베누에콩고어[br]반투어군[br]줄루어'''|| ||<:> 문자 ||<#ffffff> [[로마자]] || ||||<:> '''언어 코드''' || ||<:> ISO-639 ||<#ffffff> '''ZU''' || ||<-2> '''주요 사용 지역''' || ||<-2> 남아프리카(남아공, 레소토, 모잠비크) || {{목차}} ==개요==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공용어 중 하나로 [[니제르콩고어족]]에 속하며 주로 콰줄루나탈주에서 사용된다. 줄루어로는 isiZulu라고 하는데, 참고로 줄루인 한 사람은 umZulu, 줄루족은 amaZulu, 줄루족의 나라는 kwaZulu라고 한다. 바로 옆동네에서 쓰이는 [[코사어|코사(Xhosa)어]][* 정확히 말해선 xh는 흡착음이지만 한글로 적을 방법이 없어 일반적으로 코사라고 적는다. 억지로 적을려면 쯛호사 정도 되겠다. ]나 [[에스와티니]]에서 쓰이는 [[스와티어]](siSwati)와 밀접한 연관이 있다. 가장 널리 쓰이는 반투어 중 하나이다. 제1언어로 쓰는 인구는 1200만명 가량이지만 제2언어로 쓰는 인구는 1800만명 정도 된다. 된소리와 거센소리의 구분이 있으나 한글로 표기할 땐 어째 무시되는 경향이 매우 강하다(...) 또한 [[코이산어족]]의 영향으로 [[흡착음]] c, q, x이 존재하는데 각각 이빨, 이빨과 입천장 사이, 입천장을 사용한다. 한글로 표시하면 각각 '쯧'[* [[치음#s-2.2.11|치 흡착음]]. 혀를 차는 소리. 한국어에서 "쯧쯧쯧..."하고 남을 걱정하거나 힐난할 때 쓰는 바로 그 발음이다.], '딱'[* [[치경음#s-2.15|치경 흡착음]]. 혀끝을 윗잇몸에 살짝 댄 다음, 힘을 주고 혀를 뒤로 강하게 끌어당기는 소리. 시계소리를 흉내낼 때 '똑딱똑딱'에서 '딱'을 세게 발음한다고 생각하면 된다.], '짝'[* [[치경음#s-2.13|치경 설측흡착음]]. 혀 옆구리를 어금니 쪽에 대고 혀를 차는 소리로, [[승마]]를 해봤다면 말을 몰 때 내는 소리의 발음이고, 혹은 아저씨들이 가끔씩 '내 그럴 줄 알았지' 정도의 의미에서 "끌끌"거릴 때 쓰는 발음(...)이다.] 정도에 해당한다. 또한 성조도 존재하나 글로 쓸 땐 성조를 일반적으로 쓰지 않는다. 어순은 SVO로 영어와 비슷한 어순을 띄고 있고 다른 반투어처럼 수많은 접사가 여기저기 붙는다. 명사는 15가지 종류로 분류되며, 이에 따라 동사 또한 변화된다. 줄루어를 기반으로 [[영어]]와 [[아프리칸스어]] 등이 뒤섞여 만들어진 [[https://en.wikipedia.org/wiki/Fanagalo|파나갈로]]라는 [[피진]] 언어도 있는데, 여러 인종이 함께 일하는 [[광산]] 등의 장소에서 사용된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학부에서 [[하우사어]], [[스와힐리어]]와 함께 이 언어를 가르치고 있었다가 현재는 커리큘럼에서 사라져서 학부 과정에서 줄루어를 배울 수 있는 곳은 없다. 또한 줄루어는 한국에선 [[특수외국어]]에 포함된 언어이다. ==각주== [각주] [[분류:개별 언어]]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목차 (원본 보기) 틀:색 (원본 보기) 틀:언어 (원본 보기) 줄루어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