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목차}} ==개요== {{{+1 軍事獨裁 / Military dictatorship}}} [[쿠데타]]를 통해 [[행정부]]와 [[입법부]]를 [[군부]] 세력이 장악한 정부 형태를 이르는 말. 본 문서는 [[민주정]]에 대비되는 [[독재]] 체제로서 근현대의 [[군사]] 독재를 다룬다.[* 전근대의 군정은 [[군정]] 문서 참고.] ===사회인식=== 많은 [[사회]] 구성원이 [[공화주의]], [[민주주의]]를 받아들일만큼 [[계몽]]되지 못한 경우, 당장 사회적 강제력을 가진 [[군부]]가 정권을 잡는다. [[이집트]] 등 [[아프리카]]의 많은 군사독재 정권이 여기에 해당한다. 정상적인 [[국가]]가 모종의 사태로 [[일반인]]들의 [[정부]]를 구성하지 못 할 정도로 무너진다면 사태를 수습하기 위해 강제력과 무력을 지니고 있는 군부가 [[정권]]을 잡을 수도 있기는 하지만, [[현대]]에는 국가 체제가 그 정도 수준까지 무너지는 일이 거의 발생하지 않기에 이런 사례는 별로 없다. 또는 사회적으로 [[엘리트]]가 매우 부족한 상황에는 군사교육을 통해 어느 정도 배운 [[군인]]들이 그나마 [[통치]]에 적합한 엘리트 중 하나이다. 실제로 [[제2차 세계 대전]] 직후 [[제3세계]]에서는 [[군인]]들이 직접 [[정치]]에 나서는 것에 대해서 지금처럼 부정적이지 않았다. [[1952년]] [[이집트 왕국|이집트]]에서 [[가말 압델 나세르]]가 이끄는 [[군부]] 세력이 [[아랍민족주의]]를 내걸고 [[쿠데타]]로 정권을 장악한 이후 [[1960년대]]까지 수십여 개 [[후진국]]에서 군사정권이 들어섰는데, 이들은 대부분 반(反) 외세, [[민족주의]] 성향으로 [[대중]]들에게 초기에는 상당히 긍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했다.[* 대표적인 인물이 지금은 최악의 [[독재자]]로 평가되는 [[리비아]]의 [[무아마르 카다피]]이다.] [[제1세계]] [[한국]]에서도 1961년 [[5.16 군사정변]]이 터졌을 때, [[장준하]] 같은 상당수의 [[지식인]]들이 긍정적인 평가를 내렸고, 일부는 [[박정희]]가 만든 [[민주공화당]]에 참여하기도 했다. [[4.19 혁명]] 중 [[이승만]]과 면담한 [[학생]] 대표들이 "2년 정도 [[군정]]을 해서 [[북한]]의 침입에 대응하고, 사회 안정을 꾀해야 한다."는 주장을 하기도 했다. ===국제정세=== [[분류:군정]]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각주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일반 기타 (원본 보기) 모듈:Check for unknown parameters (원본 보기) 군사독재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