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 class="wikitable" style="text-align: left; border: 2px solid #4b92db; float: right; max-width: 420px; font-size: 10.5pt;" |- ! colspan="2" style="font-size: 10.5pt; color: #fff; background: 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4b92db, #4b92db 20%, #4b92db 80%, #4b92db)" | {{글씨 크기|15|세계 인권 선언}}<br>{{글씨 크기|9|世界人权宣言[br]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 ! colspan="2"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The universal declaration of human rights 10 December 1948.jpg|250px]]</div> |- | colspan="3" | <div style="margin:-5px -9px; font-size:10.5pt; text-align:center">▲ 세계 인권 선언문</div> |- ! style="background: #4b92db; color: #fff; | 채택일시 | [[1948년]] [[12월 10일]][br](채택일로부터 {{Age nts|1948|12|10}}년 경과) |- ! style="background: #4b92db; color: #fff; | 관련 국제기구 | [[유엔]] |- ! style="background: #4b92db; color: #fff; | 작성자 | 존 험프리 |- ! style="background: #4b92db; color: #fff; | 링크 | [[파일:UN 엠블럼(파란색).svg|25px|link=https://www.un.org/en/about-us/universal-declaration-of-human-rights]]^^(공식 홈페이지)^^ | [[파일:UN 엠블럼(파란색).svg|25px|link=https://www.ohchr.org/en/human-rights/universal-declaration/translations/korean-hankuko]]^^(한국어 전문)^^ |- |}</div> {{목차}} ==개요== [[파일:Eleanor Roosevelt UDHR.jpg]] [[엘리너 루스벨트]]가 세계 인권 선언 초안을 검토하는 모습 [[1948년]] [[12월 10일]]에 [[유엔]] 총회에서 채택된 세계 [[인권]] 선언문이다. [[제2차 세계 대전]]이 끝나고 나서, [[추축국]]들이 저지른 만행이 세상에 알려지자, 이와 같은 비극이 다시 반복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만들어졌다. 수많은 소중한 생명이 참혹하게 죽은 끔찍한 전쟁을 치른 후 '''국적을 불문하고 모두가 함께 지켜야 할 하나의 윤리 기준'''을 세우기 위한 선언이었다. 선언은 그 자체로서는 법적 구속력을 갖고 있지 않은 결의문이지만, 전 세계 국가와 국민들이 모두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나타낸다는 점에서 권위가 있다. 또한 세계인권선언을 골격으로 하여 경제적 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규약을 비롯하여 수 많은 인권 조약들이 탄생했고 선언의 내용이 거의 모든 국가의 헌법에 반영되어 있다는 점에서 선언의 내용이 하나의 [[국제관습법]]의 지위를 갖는다고 볼 수 있다. [[1946년]] 선출된 [[유엔]] 인권위원회의 의장이자 [[프랭클린 D. 루스벨트]]의 [[영부인]]이었던 [[엘리너 루스벨트]]가 선언문의 기안에 큰 기여를 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허버트 에바트]] 전 [[유엔 총회]] 의장이 초안 작성에 기여했다. 이 선언문은 모든 세계에서 지켜져야 한다는 취지에 걸맞게 동일한 텍스트가 최소 500여 개가 넘는 언어로 번역되어 있다. 이 때문에 언어학 쪽에서는 [[주기도문]]/[[주님의 기도]]나 [[북풍과 태양]]처럼 병렬말뭉치(Parallel text)로 유명하다.[* 때문에 해당 전문을 각국의 언어로 읽은 영상이 위키스의 각 언어 관련 문서마다 존재한다. 일례로 [[한국어]] 문서에서는 [[반기문]] 전 UN사무총장이 한국어로 읽은 영상이 링크되어 있다.] 다만 주기도문/주님의 기도와 북풍과 태양과는 달리 문어체인데다가 문장의 구조도 복잡하고 근대적 내지는 추상적 어휘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비교언어학]]적으로 사용하기에 그리 적합한 텍스트는 아니다. [[제2차 세계 대전]]의 가장 많은 피해를 입은 [[유럽]]에서도 이에 영향을 받아 세계 대전의 발발을 예방하고 [[유럽의회]]에 가입한 국가들을 동유럽에서 시작해 중부유럽까지 침투한 [[스탈린주의]]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유럽 인권 조약]]을 [[1950년]] 채택해 [[1953년]]부터 비준하게된다. 이는 [[유럽인권재판소]] 설립에 대한 토대가 되기도 한다. ==전문== ==조항== ===제1조=== ===제2조=== ===제3조=== ===제4조=== ===제5조=== ===제6조=== ===제7조=== ===제8조=== ===제9조=== ===제10조=== ===제11조=== ===제12조=== ===제13조=== ===제14조=== ===제15조=== ===제16조=== ===제17조=== ===제18조=== ===제19조=== ===제20조=== ===제21조=== ===제22조=== ===제23조=== ===제24조=== ===제25조=== ===제26조=== ===제27조=== ===제28조=== ===제29조=== ===제30조=== [[분류:인권]][[분류:선언]][[분류:국제법]][[분류:근대화]]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Age nts (원본 보기) 틀:Formtnaum:76 (원본 보기) 틀:Nts (원본 보기) 틀:Nts/Qno/Fyes/Sno/0 (원본 보기) 틀:각주 (원본 보기) 틀:글씨 크기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인용문1 (원본 보기) 틀:일반 기타 (원본 보기) 모듈:Check for unknown parameters (원본 보기) 세계 인권 선언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