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목차}} ==개요== {{{+1 長女}}} 제일 먼저 태어난 [[딸]]을 일컫는 말. [[외동딸]]이나 [[고명딸]]이 아닌 이상 대부분이 [[누나]]나 [[언니]]가 된다.[* [[여동생|차녀]] 이하는 언니라고 쓴다. [[차남]]의 경우 장녀보다 오빠가 아니라면 누나라고 부르며, 장남도 장녀보다 어리면 누나라고 말한다.] 딸 중에서만 고려하기에 꼭 [[맏이]]가 아니어도 위로 언니가 없으면 남자형제가 있는 둘째, 셋째, 심지어 [[막내]]여도 장녀이다. 대부분 집안에서는 외동딸(무남독녀)의 경우 장녀로 간주하지 않지만 엄밀히 말하면 외동딸도 장녀이다. [[순우리말]]로는 맏딸이라고 한다.[* 그러나 이런 원칙적 용법을 어색하게 여기는 사람들도 있다. 오빠-여동생의 경우 여동생은 분명 장녀이지만 '둘째 딸'이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흔하다.] ==상세== 성별 혹은 가족 구성원이 어떠한가에 따라 차이가 약간 있지만, [[장남]]에게 나타나는 현상이 장녀에게도 비슷하게 나타나는 편이다. 장남과 마찬가지로 결혼하고 나서도 다른 자매들보다 친정에 훨씬 신경쓰고 얽매일 확률이 높기 때문에 남편이나 시댁의 입장에선 기피하는 경우가 있다고 한다. 장녀도 장남과 마찬가지로 [[고아]]인 상태에서 동생들이 많은 장녀의 경우. 장녀/장남은 부모가 없을 경우에는 사실상 부모의 역할을 대신하는 경우가 많고, 특히 형제가 많거나 동생과의 나이차가 심할 경우는 더욱 그러하다. 특히, 장녀도 장남과 마찬가지로 장녀와 그 바로 아래 동생의 나이차가 15살 이상 차이날 경우 동생의 입장에서는 누나나 언니가 아니라 그냥 어머니나 다름없고 동생들도 감히 반말을 하지 못하고 깍듯하게 [[경어]]를 사용하는 집안도 적지 않다. 심지어는 어머니가 50살이 넘어서 낳은 늦둥이 막내를 어머니가 젖이 나오지 않아서 30살인 큰누나가 어머니 대신 젖을 먹이고 키운 일도 있었다. 형제가 아주 많은 집 막내들의 경우 어머니의 젖이 아니라 누나의 젖을 먹고 큰 경우가 많다. 이 경우는 장녀가 동생들에게 직접 낳지만 않았다 뿐이지, 말 그대로 [[어머니]]가 된 셈이다. 1960~70년대까지만 해도 그리 이상할 게 없는 일이었다. [[분류:가족]]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목차 (원본 보기) 장녀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