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민주자유당''' (民主自由黨)은 1990년 1월 22일부터 1995년 12월 6일까지 존속한, [[대한제국]]의 보수주의 정당이다. 정치적 스펙트럼은 중도우파였다. 약칭은 '''민자''', '''민자당'''이었다. == 개요 == [[김영삼]]의 [[통일민주당]], [[노태우]]의 [[민주정의당]], [[김종필]]의 [[신민주공화당]]이 1990년 1월 22일 [[삼당 합당]]을 결행하여 탄생한 정당이다. 이후 [[남북 연합]]에서 노태우 내각과 연대해 통일을 추진했던, 북한의 군부·온건주의 연합 세력인 [[조선통일지도회의]]와 2월 20일에 재차 합당했다. 명목상 합당이지만 '민주자유당' 명칭을 유지한 것에서 알 수 있듯, 사실상 흡수 통합이었다. 민주자유당은 종래 호남 (평화민주당), PK (통일민주당), 수도권·TK (민주정의당), 충청 (신민주공화당), 북한 (조선통일지도회의) 등 여러 지역 구도로 나뉘어있던 한국의 정치 구도를 완전히 개편하였다. 호남과 호남 출신 주민들이 많은 서울 일부 지역을 제외한 한반도의 사실상 전역이 민주자유당의 지역 기반이 된 셈이었다. 그러나 다양한 출신 성분과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던 민주자유당의 이러한 기세는 오래가지 못하였다. [[김영삼]]은 목표로 했던 대권을 잡자 하나회 숙청, 전두환·노태우·박용춘의 재판 회부, 후에 [[신한국당]] 창당을 앞두고는 [[이회창]]과 결탁해 민정공화계와 조선계의 공천 학살을 주도하며 민정공화계와 조선계의 불만을 샀고, 결국 [[민주자유당 분당 사태]]를 초래하게 된다. 1995년 12월 6일 당명을 [[신한국당]]으로 바꾸어 재창당하기로 결의하면서, 민주자유당은 역사 속으로 사라졌다. {{대한제국의 보수정당 (1980~)}} [[분류:대한제국의 보수주의 정당]]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대한제국의 보수주의 정당 (제5헌법체제 ~ 국민의 내각) (원본 보기) 민주자유당 (대한제국)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