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정치인 문서 양식 | 틀 끝색 = #003153 | 틀 중간색 = #003153 | 테두리색 = #003153 | 틀 글씨색 = #f0c234 | 색상 = #003153 | 글씨색 = #f0c234 | 최고직위 = 대한제국 대황제 | 이름 = <big>이진</big> | 기타이름 = 李𡋤ㅣLee jin | 대표사진 = 이진 대황제.png | 대표사진 크기 = 500px | 출생일 = 1899년 6월 29일 | 출생지 = [[대한제국|한성부 창덕궁 대조전]] (現 [[대한제국|한성부 경운궁 석조전]] | 직위1 = 대한제국 황태제 | 재임기간1 = 1918년 7월 21일 ~ 1922년 2월 2일 | 직위2 = 대한제국 황제 | 재임기간2 = 1922년 2월 2일 ~ | 직위3 = 만주국 황제 | 재임기간3 = 1922년 2월 2일 ~ | 직위4 = 몽고국 칸 | 재임기간4 = 1922년 2월 2일 ~ | 직위5 = 유구 국왕 | 재임기간5 = 1931년 6월 15일 ~ | 직위6 = | 재임기간6 = | 서명 사진 = | 링크 주소 = | 링크 설명 = | 본관 = 전주 이씨 | 본적 = [[대한제국|전라도 전주시]] | 원적 = | 부모 = 아버지 이천 , 어머니 영선광황후 이씨 | 형제자매 = 순종 효황제 이택(형) , 경친왕 이원(남동생), [[정친왕 이영]](남동생) , 경선공주(여동생),경순공주(여동생) | 배우자 = 無 | 자녀 = 無 | 학력 = | 병역 = | 약칭 = 대황제 폐하 | 연호 = 강명(强明) | 자 = 태화(太和) | 왕작 = 성친왕(成親王) | 기타2 명칭 = | 기타2 = | 기타3 명칭 = | 기타3 = | 기타4 명칭 = | 기타4 = | 기타5 명칭 = | 기타5 = | 기타6 명칭 = | 기타6 = | 기타7 명칭 = | 기타7 = | 기타8 명칭 = | 기타8 = }} = 개요 = 이진은 대한의 4대 황제이다. 형인 이택(이우)의 급사(急死)로 뒤를 이어 즉위했다. = 카국일생 = == 대한국 시절 == 양유진의 대한국에서 국가재건회의의 수장을 맡아, 개혁을 이끌려 했으나, 양유진과 쿠데타 세력들의 친위 쿠데타로, 사실상 뒤집어졌고, 양유진이 대한국을 게임으로 바꾸면서, 흐지부지 되었다. 이후 이를 눈 여겨보던, [[아덴]]이, 이영에게 대한제국으로의 이민을 추천하면서, 넘어오게 되었다. == 대한제국 초기 == [[아덴]]의 요구로 황태자직에 올라, 아덴에게 조언과 도움을 주면서, 운영에 힘을 실어줬으나, 당시 아버지 였던 이우가 제국을 테러하면서, 갑자기 즉위하게 되었다. == 대한제국 == 역대 3명의 황제중, 가장 오랫동안 재위하고 있으며, 국민들에게 가장 지지받는 인물중 하나이다. 지지율 투표에선, 압도적인 차이로 '''매우 지지'''가 나왔다. 하지만, 황후였던 김채령이 불과 일주일도 안되어 급사(急死)했다. 이후 마지막 황태자인 이헌도 의문사 하면서, 자식이 없다.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정치인 문서 양식 (원본 보기) 이진(카카오톡 대한제국)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