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분류:카카오톡 가상국가]] [[분류: 가상국가 유저]] {{카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00000; float: right" ! colspan="2" style="background-color: #000000; color: #fff" | <big><big>카쇼프</big></big><br>Kashov |- | colspan="2" width="33%" style="background-image: #fff; color: #fff" | <div style="margin: -5px -9px;">[[파일:김대중.jpg]]</div> |-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000000; color: #fff" | 이름 | align=middle| '''카쇼프'''[br]Kashov |-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000000; color: #fff" | 출생 년도 | align=middle| '''200X년 X월 2X일''' |-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000000; color: #fff" | 출생 | align=middle| [[파일:스위스의 깃발.svg|20px]] '''[[스위스 연방]]''' [[베른]] |-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000000; color: #fff" | 직업 | align=middle| [[파일:스위스의 깃발.svg|20px]] '''[[스위스 연방]] ''' 운영자 |- ! colspan="1" width="33%" style="background:#000000; color: #fff" | 경력 | align=middle| '''[[스위스 연방]] 운영자'''[br]'''[[스위스 연방]] 외교부 장관'''[br]'''[[오스트레일리아]] 운영자'''[br]'''[[익스테딕 공화국]] 교육의원'''[br]'''그 외 국가 방장 혹은 원수직 다수''' |- |} [목차] ==개요== [[카카오톡 가상국가]]의 유저이다. ==행적== ===2021=== 처음으로 [[카카오톡 가상국가]]에 입문했던 시기. 당시, 전성기를 누리고 있던 [[고소연]]으로 처음 가상국가에 대해 알게된다. ===2022=== 가상국가를 본격적으로 시작했던 시기. [[고소연]]의 서기장 [[고양이]]의 신임을 받는다. 2022년 6월 중순, 처음으로 [[스위스 연방]]에 입문한다. 이곳에서도 털털한 성격을 보여주며 당시 방장이던 [[콘라트]]의 신임을 얻어 외교부 장관과 부방장 뱃지를 달게 된다. 외교부 장관의 권한으로 여러 방과 외교 및 맞방을 돌려 순식간에 인구 200명을 달성한다. 8월 초, 스위스 연방에서 대선 선거개입 사건과 강퇴테러 사건으로 멘탈이 나간 콘라트는 [[유토 제국]]에게 방을 팔아넘긴다. 한창 카국과 유토 제국 사이에서 전쟁이 벌어지고 있는 사이여서 이는 매우 민감한 문제로 받아들여졌다. 카쇼프는 [[스위스 연방]]을 재건하고자 임시정부를 만들었지만, 카쇼프도 멘탈이 나갈대로 나가서 결국 스위스를 포기하고 [[독일 연방 공화국]]을 건국한다. 이전 스위스 인구 200명 전성기에 버금가는 인구 170명을 달성하지만, 당시 [[위대한]]이 이끄는 [[러시아 제국]]에 의해 테러를 당한다. 카쇼프는 엎친 데 덮친 격으로 2개월 정지를 당하며 카국을 잠시 쉬어간다. 카국을 복귀하고 [[고소연]]에서 다시 활동을 이어나간다. 가국에 흥미를 잃은 카쇼프는 가국을 잠시 접게 된다. ===2023=== 개인사정으로 인하여 연초와 연말에만 활동하였다. ===2024=== 가국을 본격적으로 복귀하게 된다. [[콘라트]]가 [[스위스 연방]]을 재건했다는 소식을 듣고 스위스로 달려간다. 이전 전성기 시절 멤버인 [[콘라트]], [[강태공]], [[카쇼프]], [[궤양]], [[이명박]], [[캐탈린]], [[그냥 사람]], [[시카고]]가 모두 모이며 제 2의 전성기를 누리게 되지만, 콘라트가 변덕을 부려 또 다시 방을 말아먹게된다. 이후, 카쇼프는 [[익스테딕 공화국]]에 자리잡으며 활동하게 된다. 8월 여름방학 시즌, 뜬금 [[오스트레일리아]]를 개설하였다. 카쇼프는 오스트레일리아를 개설과 폐쇄를 몇 개월 동안 반복한다. [[스위스 연방]]도 사정은 마찬가지. ==평가== ===긍정적 평가=== {{인용문|끈기와 열정 하나만큼은 대단하다.|[[콘라트]]}} {{인용문|주어진 역할은 모두 다 잘 수행해낸다.|[[강태공]]}} ===부정적 평가=== {{인용문|방 좀 그만 터뜨려라.|[[에스커트]]}} ==대인 관계== 웬만한 사람들과는 원만하게 지낸다. 카국 대부분 사람들과 다 알고 지내지만 가끔가다 [[카쇼프]]? 누구임? 을 시전당하기도 한다. ==논란 및 사건사고== ===[[스위스 연방]] 공지 삭제 사건===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인용문 (원본 보기) 틀:카국을 빛낸 100명의 위인들 (원본 보기) 카쇼프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