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목차}} == 개요 == '''축구 선수'''(Football player)란 [[축구]]를 본업으로 삼으며 [[스포츠 클럽|축구단]](소속 구단, 국가대표)에 소속되어 축구 경기를 뛰며, [[소득|수입]]을 버는 [[직업]]을 말한다. == 목록 == === [[축구 선수/대한민국|대한민국]] ===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대한민국 외 === ==== [[축구 선수/아시아|아시아(AFC)]] ==== 자세한 내용은 [[/아시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축구 선수/유럽|유럽(UEFA)]] ==== 자세한 내용은 [[/유럽]]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축구 선수/남아메리카|남미(CONMEBOL)]] ==== 자세한 내용은 [[/남아메리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축구 선수/북아메리카|북중미 및 카리브(CONCACAF)]] ==== 자세한 내용은 [[/북아메리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축구 선수/아프리카|아프리카(CAF)]] ==== 자세한 내용은 [[/아프리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축구 선수/오세아니아|오세아니아(OFC)]] ==== 자세한 내용은 [[/오세아니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 기타 == * 축구라는 스포츠가 애초에 몸싸움과 체력이 상당히 필요하기 때문에, 선수들은 하나같이 체력과 힘이 뛰어나다. * 축구는 공을 몰고 달리거나 패스를 해야 하기 때문에, 선수들은 하나같이 일반인보다 달리기가 빠르다. 정말 빠른 선수들은 어지간한 육상 선수와 비슷한 수준이다. * 반면, 부상 위험도 매우 높다. [[태클(축구)|태클]]이라도 잘못하면 상대 선수가 심각한 부상을 입어, 몇 개월 내지 몇 년은 재활 치료에 들어가야 해서, 축구를 할 수 없게 되며, 더 심하면 아예 선수 생활을 포기해야 되는 경우도 있다. 물론 심하다 싶으면, [[축구 심판|심판]]이 그 때마다 제지를 하긴 하나 정당하다 싶으면 그냥 넘어가는 경우가 있기도 한데, 가끔 잘못된 판단으로 선수가 큰 부상을 입을 수가 있으며, 심판이 제대로 판단해 레드 카드를 부여했다고 해도 반칙을 당한 선수가 입은 부상은 회복되지 않는다.<ref>[[로베르토 아본단시에리]]가 [[2006 FIFA 월드컵 독일]] 이후 자취를 감춘 이유이기도 하다.</ref> 이 때문에 축구 선수들은 체력과 힘이 좋고 신장, 심장, 간, 췌장 등의 내장은 일반인보다 한참 건강하지만 <ref>다만 [[심장병]], [[당뇨병]], 신장질환 등을 젊어서부터 안고 뛰는 인간승리자도 극소수 있다. 이런 선수들은 부상을 당했다고 하면 팬들이 더 걱정한다.</ref> 부상 때문에 군대를 가지 않는 비율이 일반인에 비해 한참 높다. <ref>거기다가 [[예술체육요원]]까지 합치면 현역병으로 가는 선수는 더 줄어든다. 심지어 [[우크라이나]] 같이 국위선양을 이유로 전쟁 중인데도 군 면제 처리를 해 주는 나라도 있다!</ref> * 수많은 관중들 앞에서 경기를 해야 되기 때문에 선수들의 압박감도 장난 아니다.<ref> 특히 홈 경기의 메리트는 분명 존재하나, 홈 팬이나 자국 팬들로부터 받는 압박감은 홈에서 뛰는 선수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가장 극단적인 사례가 다름 아닌 [[미네이랑의 비극]].</ref> 이 중 단연 최고봉은 [[FIFA 월드컵]] 결승전이다. 월드컵 결승전의 경우 그라운드에 나오는 것 하나만으로도 심장이 멎을 것 같은 엄청난 압박감을 느끼게 되며 이 감정은 직접 경험해보지 못하면 이해하기 힘든 압박감이다. * 어느 스포츠든 마찬가지지만, 축구도 결국 경쟁에서 이겨야 출전을 할 수 있다. 물론 감독마다 스타일이 각각 다르지만, 그래도 기본적으로 선수의 피지컬과 기술 및 실력, 그리고 팀에 얼마나 적합한지<ref> [[2006 FIFA 월드컵 독일]] 본선 진출팀 중 [[아르헨티나 축구 국가대표팀]]에서 [[가브리엘 바티스투타]]가 빠진 이유 중 하나이기도 하다. 바티스투타는 혼자 돌격해서 상대 수비진을 들쑤시는 플레이는 엄청 잘하지만 문제는 [[호세 페케르만]] 감독이 특정 선수가 혼자 공을 오래 잡고 있는 플레이를 매우 싫어한 탓에 바티스투타를 제외시켰다.</ref>를 우선적으로 보기 때문에, 선수들은 같은 팀이어도 결국 경쟁을 해서 이겨야 선발 출전이 우선적으로 주어지게 된다. 특히 단 한 명만 출전할 수 있는데다 교체도 거의 되지 않는 [[골키퍼]]는 경쟁이 가장 심한 포지션으로 알려져 있다. * [[인성]] 또한 당연히 중요하다. 물론 경기가 과열되면 감정이 격해질 수 있고, 승부욕 때문에 과한 동작을 할 수도 있지만, 그래도 상대 선수도 똑같은 동업자라는 것을 알고, 어느 정도 매너를 보여야 한다. 경기 후에는 서로 악수해주고, 상대를 존중할 줄 아는 [[스포츠맨십]] 또한 가져야 한다. 단순 축구만 잘한다고, 상대를 무시하고 비하하는 것은 축구 선수로는 이미 실격에 가깝다. 인성은 조직력과 직결되기 때문에 아무리 실력이 뛰어나도 팀과 협업하지 못하는 인성을 가진 선수는 되려 팀에 방해된다. 예를 들면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한정 [[크리스티아누 호날두]]가 그러했다.<ref> 호날두는 다른 월드컵때는 안 그랬는데 카타르 월드컵때만 요상하게 이랬다.</ref> * [[언어]] 문제도 무시할 수 없다. 특히 유럽 진출을 꿈꾸는 선수들은 [[영어]]만큼은 반드시 마스터해야 하고, 영어권 국가가 아니라면 해당 국가의 언어도 추가로 학습해야 한다. == 관련 문서 == * [[축구/관련 인물]] {{나무위키 퍼옴 |링크=https://namu.wiki/w/%EC%B6%95%EA%B5%AC%20%EC%84%A0%EC%88%98?from=%EC%B6%95%EA%B5%AC%EC%84%A0%EC%88%98 |제목=축구 선수 r276판}} [[분류:축구선수]]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나무위키 퍼옴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색 (원본 보기) 틀:알림 상자 (원본 보기) 틀:축구선수 프로젝트 (원본 보기) 축구선수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