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가상국제연합 디폴리틱 세계관 국가목록}} {{예루살렘 왕국 관련 문서 (식혜)}} ---- {| class="wikitable" style="max-width: 450px; width: 100%; text-align: left; font-size: 14.4px; border: 2px solid #000; float: right;" ! colspan="3" style="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FFD200 0%, #FFD200 20%, #FFD200 80%, #FFD200); color: #000;" | <div style="margin: 6px 0px 3px;">{{글씨 크기 (px)|20|예루살렘 왕국}}<br>Roïaume de Ierusalia<br>Kingdom of Jerusalem</div> |- ! colspan="2" style="width: 50%; height: 150px; background: #F5F5F5;" | <div style="margin: 0 auto; width: 80%;">[[파일:예루살렘 왕국 국기 (식혜).png]]</div> ! style="width: 50%; background: #F5F5F5;" | <div style="margin: 0 auto; width: 50%;">[[파일:예루살렘 왕국 국장, 왕실 문장 (수정본).png]]</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국기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국장 |- ! colspan="3" style="background: none;" | {{글씨 색|#000|Lux ex Oriente}}<br>{{글씨 색|#000|빛은 동방으로부터}}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D200; color: #000;" | 상징 |- ! style="width: 35%; background: #000; color: #fff;" | 국가 | colspan="2" | [[예루살렘 왕국 국가 (사제왕)|예루살렘 왕국 국가]] |- ! style="width: 35%; background: #000; color: #fff;" | 국목 | colspan="2" | 백향목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D200; color: #000;" | 역사 |- | colspan="3" | <div class="mw-customtoggle-Korea_Table_001"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2px 0px; font-size: 14.4px;">'''[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Korea_Table_001"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5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margin: -1px -15px -13px -2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4.4px; text-align: left;" | • '''예루살렘 해방''' 1099년 <br> • '''하틴 전투''' 1190년 <br> • '''오스만 영향권에 복속''' 1517년 <br> • '''압스부르크에브론 왕조 창립''' 1720년 <br> • '''오스만으로부터 독립''' 1920년 <br> • '''헌법 공포''' 1921년 |- |}</div></div>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D200; color: #000;" | 지리 |- | colspan="3" | <div class="mw-customtoggle-Korea_Table_002"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2px 0px; font-size: 14.4px;">'''[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Korea_Table_002"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5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margin: -1px -15px -13px -2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4.4px; text-align: left;"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수도 | [[예루살렘 (식혜)|예루살렘]] |- ! colspan="2" style="width: 7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면적 | 37,252㎢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접경국 | 시리아, 요르단, 이집트 |- |}</div></div>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D200; color: #000;" | 인문 환경 |- | colspan="3" | <div class="mw-customtoggle-Korea_Table_003"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2px 0px; font-size: 14.4px;">'''[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Korea_Table_003"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5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margin: -1px -15px -13px -2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4.4px; text-align: left;" ! rowspan="3" style="width: 5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인구 ! style="width: 9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총 인구 | 13,520,429명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민족 구성 |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인구 밀도 | 약 362.9명/㎢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공용 언어 | [[우트르메르어 (식혜)|우트르메르어]]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공용 문자 | [[로마자]] |- ! row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종교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국교 | 없음([[정교분리]])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분포 |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군대 | [[예루살렘 방위군 (식혜)|예루살렘 방위군]] |- |}</div></div>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D200; color: #000;" | 하위 행정구역 |- | colspan="3" | <div class="mw-customtoggle-Korea_Table_004"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2px 0px; font-size: 14.4px;">'''[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Korea_Table_004"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5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margin: -1px -15px -13px -2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4.4px; text-align: left;" ! style="width: 12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프로방스 | 5개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레지옹 | 20개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코뮌 | |- |}</div></div>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D200; color: #000;" | 정치 |- | colspan="3" | <div class="mw-customtoggle-Korea_Table_005"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2px 0px; font-size: 14.4px;">'''[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Korea_Table_005"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5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margin: -1px -15px -13px -2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4.4px; text-align: left;"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정치체제 | [[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다당제]], [[양원제]], 단일국가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민주주의 지수 | 7.80점, '''{{글씨 색|#a6d96a|결함 있는 민주주의}}'''<sup>(2038년)</sup>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국왕<br><div style="margin-top: -4px;">{{글씨 크기 (px)|12|(국가원수)}}</div> | [[이사벨 4세 (식혜)|이사벨 4세]] |- ! rowspan="4" style="width: 5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정부<br>요인 ! style="width: 11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집정관<br><div style="margin-top: -4px;">{{글씨 크기 (px)|12|(정부수반)}}</div> | [[아리엘 마이어 (식혜)|아리엘 바네사 마이어]]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오트 쿠르 의장 | [[리샤르 플랑티에 (사제왕)|리샤르 플랑티에]] 백작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평민원 의장 | [[라울 블랑쉐 (사제왕)|라울 블랑쉐]]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대법원장 | [[리샤르 플랑티에 (사제왕)|리샤르 플랑티에]] 백작<ref>오트 쿠르가 대법원의 역할을 겸하고 있으며, 그 의장이 대법원장직을 겸한다.</ref>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여당 | {{자유당}} |- |}</div></div>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D200; color: #000;" | 경제 |- | colspan="3" | <div class="mw-customtoggle-Korea_Table_006"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2px 0px; font-size: 14.4px;">'''[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Korea_Table_006"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5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margin: -1px -15px -13px -2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4.4px; text-align: left;"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경제체제 | [[수정자본주의|자본주의 시장경제]] |- ! rowspan="2" style="width: 8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명목<br>GDP ! style="width: 9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전체 | $665,570,158,383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1인당 | $49,227 |- ! rowspan="2" style="width: 8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GDP<br>(PPP) ! style="width: 9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전체 |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1인당 | |- ! rowspan="2" style="width: 8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화폐 ! style="width: 9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공식 화폐 | [[예루살렘 탈랑 (식혜)|예루살렘 탈랑]](Ŧ)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ISO 4217 | JRT |- |}</div></div>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D200; color: #000;" | 단위 |- | colspan="3" | <div class="mw-customtoggle-Korea_Table_007"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2px 0px; font-size: 14.4px;">'''[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Korea_Table_007"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5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margin: -1px -15px -13px -2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4.4px; text-align: left;" ! style="width: 9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법정 연호 | 서력기원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시간대 |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도량형 | SI 단위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운전석<br>(통행방향) | 오른쪽(좌측통행) |- |}</div></div>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D200; color: #000;" | 외교 |- | colspan="3" | <div class="mw-customtoggle-Korea_Table_008"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2px 0px; font-size: 14.4px;">'''[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Korea_Table_008"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5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margin: -1px -15px -13px -2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4.4px; text-align: left;" ! style="width: 90px; background: #000; color: #fff;" | 유엔 가입 | |- |}</div></div>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D200; color: #000;" | ccTLD |- ! colspan="3" style="background: none;" | '''.jr'''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D200; color: #000;" | 국가 코드 |- ! colspan="3" style="background: none;" | '''376''', '''JR''', '''JER''' |- ! colspan="3" style="background: #FFD200; color: #000;" | 국제 전화 코드 |- ! colspan="3" style="background: none;" | '''+972''' |- ! colspan="3" style="background: #000;" | |}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00; max-width: 400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 colspan="4" style="width: 49%;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D200 100%, transparent 100%, transparent 100%); border:1px solid #000; color: #000; text-align: center;" | '''위치''' |- | colspan="4" style="width: 49%;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0 100%, transparent 100%, transparent 100%); border:1px solid #FFD200; color: #000; text-align: right;" | <div style="margin: -6px -9px -12px -9px;">[[파일:예루살렘 왕국 위치 (식혜).png]]</div> |- | colspan="4" style="width: 51%;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 100%, transparent 100%, transparent 100%); border:1px solid #000; color: #000; text-align:left; line-height: 1.6em" | <html><div style="margin: -6px -9px -12px -9px;"><iframe src="https://www.google.com/maps/embed?pb=!1m18!1m12!1m3!1d2921820.061580559!2d34.565469155032105!3d31.697274250436443!2m3!1f0!2f0!3f0!3m2!1i1024!2i768!4f13.1!3m3!1m2!1s0x1500492432a7c98b%3A0x6a6b422013352cba!2z7J207Iqk65287JeY!5e0!3m2!1sko!2skr!4v1744632847327!5m2!1sko!2skr" width="400" height="350" style="border:0;" allowfullscreen="" loading="lazy" referrerpolicy="no-referrer-when-downgrade"></iframe></div></html> |- |} {{목차}} = 개요 = '''예루살렘 왕국'''<small>([[우트르메르어 (식혜)|우트르메르어]]: Roïaume de Ierusalia, [[영어]]: Kingdom of Jerusalem)</small>, 줄여서 '''예루살렘'''은 [[가상국제연합]] [[가상국제연합 디폴리틱 세계관|디폴리틱 세계관]]에서 [https://cafe.naver.com/coreanunion/249890?tc=shared_link 2024년 11월 14일부터 연재를 시작한] 서아시아에 위치한 [[입헌군주제]] 국가이다. 국토는 현실의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레바논]]을 합친 크기이며, 수도는 [[기독교]], [[이슬람]], [[유대교]] 세 종교의 성지이자 총본산인 [[예루살렘 (식혜)|예루살렘]]이다. = 상징 = == 국호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pt; border:2px dashed #cccccc;border-left:6px solid {{{3|}}};" |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bottom:{{#if:{{{2|}}}|5px|12px}};padding-right:60px; " | {{{1|예루살렘 왕국의 공식 국호는 '''예루살렘 왕국'''으로 한다.}}} {{#if:{{{2|[[예루살렘 왕국 헌법 (식혜)|예루살렘 왕국 헌법]] 제1장 제5조(상징) 제1항}}}|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top:5px;padding-right:60px; " {{!}} {{{2|[[예루살렘 왕국 헌법 (식혜)|예루살렘 왕국 헌법]] 제1장 제5조(상징) 제1항}}} {{!}}- }} |} 예루살렘 왕국의 국호는 [[예루살렘 왕국 헌법 (식혜)|헌법]]에 따라 '''예루살렘 왕국'''이며, 성지 [[예루살렘 (식혜)|예루살렘]]의 이름을 따 지어졌다. [[우트르메르어 (식혜)|우트르메르어]]로는 '''로와욤 드 이에뤼잘리아'''<small>[ʁwaˈjom d‿je.ʁy.zaˈli.a]</small>이다. 예루살렘은 [[히브리어]]로 '평화의 마을'을 의미한다. [[성경|성서]]에서는 '예루샬라임'(Yerushalaim)이라는 이름으로 등장한다. 아랍권에서는 예루살렘을 [[아랍어]]로 '신성한'을 뜻하는 '알쿠드스'(al-Quds)라고도 부르는데, 이에 따라 예루살렘 왕국을 알쿠드스 왕국으로 부르기도 한다. {| class="wikitable" style="border: 2px solid #000; max-width: 400px; width: 100%; text-align: center" | colspan="4" style="width: 49%;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D200 100%, transparent 100%, transparent 100%); text-align: center;" | '''언어별 명칭''' |- | colspan="3" | <div class="mw-customtoggle-Korea_Table_006" style="text-align: center; margin: -2px 0px; font-size: 14.4px;">'''[ 펼치기 · 접기 ]'''</div> <div class="mw-collapsible mw-collapsed" id="mw-customcollapsible-Korea_Table_006" style="border: 1px solid transparent;"> <div class="toccolours mw-collapsible-content" style="background: none; margin: 0px -15px; border: 1px solid transparent; text-align: center;"> {| style="margin: -1px -15px -13px -2px; width: calc(100% + 5px); font-size: 14.4px; text-align: left;"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라틴어|{{{#fff '''라틴어'''}}}]] | Regnum Hierosolimitanum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우트르메르어 (식혜)|{{{#fff '''우트르메르어'''}}}]] | Roïaume de Ierusalia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프랑스어|{{{#fff '''프랑스어'''}}}]] | Royaume de Jérusalem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영어|{{{#fff '''영어'''}}}]] | Kingdom of Jerusalem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히브리어|{{{#fff '''히브리어'''}}}]] | הממלכה הלטינית של ירושלים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아랍어|{{{#fff '''아랍어'''}}}]] | مملكة بيت المقدس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한국어|{{{#fff '''한국어'''}}}]] | 예루살렘 왕국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일본어|{{{#fff '''일본어'''}}}]] | エルサレム王国 |- ! colspan="2"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중국어|{{{#fff '''중국어'''}}}]] | 耶路撒冷王國 <small>(간체)</small><br>耶路撒冷王國 <small>(번체)</small> |- |} |} == 국기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pt; border:2px dashed #cccccc;border-left:6px solid {{{3|}}};" |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bottom:{{#if:{{{2|}}}|5px|12px}};padding-right:60px; " | {{{1|예루살렘 왕국의 국기는 '''황색, 백색, 흑색의 3개의 띠'''와 '''중앙에 황색의 예루살렘 십자가'''가 위치한 형태이며, 각 색의 띠의 폭은 모두 동일하다.}}} {{#if:{{{2|[[예루살렘 왕국 헌법 (식혜)|예루살렘 왕국 헌법]] 제1장 제5조(상징) 제2항}}}|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top:5px;padding-right:60px; " {{!}} {{{2|[[예루살렘 왕국 헌법 (식혜)|예루살렘 왕국 헌법]] 제1장 제5조(상징) 제2항}}} {{!}}-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max-width: 400px; width: 100%; font-size: 10.5pt; border: 2px solid #000; background: #FFF;" | colspan="2" style="background: #FFD200; color: #000; text-align: center; height: 65px;" | <span style="font-size: 14pt;">'''예루살렘 왕국 국기'''</span><br><div style="margin-top: -2px; margin-bottom: 2px;">'''Estandart de lo Roïaume de Ierusalia'''</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 <div style="margin: -4px -9px -4px -9px; margin-bottom: -5px;">[[파일:예루살렘 왕국 국기 (식혜).png]]</div>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지위 | '''예루살렘 왕국 공식 국기'''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채택일 | 1921년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근거 법령 | 「예루살렘 왕국 헌법」 <br> 「국가상징법」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제작자 | |- |} 예루살렘 왕국의 국기는 1921년 헌법 공포와 함께 예루살렘 왕국의 공식 국기로 채택되었다. 황색, 백색, 흑색의 띠가 가로로 나열된 삼색기의 중앙에 예루살렘 십자가(Jerusalem Cross)가 그려진 형태이다. 황색은 기독교를, 흰색은 유럽을, 흑색은 아랍과 이슬람을 상징하며 각 요소가 조화롭게 하나되는 예루살렘을 의미한다. == 국장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pt; border:2px dashed #cccccc;border-left:6px solid {{{3|}}};" |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bottom:{{#if:{{{2|}}}|5px|12px}};padding-right:60px; " | {{{1|예루살렘 왕국의 국장은 '''왕관이 올려진 파란 망토''' 가운데에 '''예루살렘 십자가가 그려진 하얀 방패'''가 있으며, 그 '''양옆으로 두 명의 천사'''가 방패를 잡고 있으며, '''검은 리본'''이 두 천사를 받치고 있으며, 그 뒤로 '''훈장'''이 있는 형태이다. }}} {{#if:{{{2|[[예루살렘 왕국 헌법 (식혜)|예루살렘 왕국 헌법]] 제1장 제5조(상징) 제3항}}}|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top:5px;padding-right:60px; " {{!}} {{{2|[[예루살렘 왕국 헌법 (식혜)|예루살렘 왕국 헌법]] 제1장 제5조(상징) 제3항}}} {{!}}- }} |} {| class="wikitable" style="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max-width: 400px; width: 100%; font-size: 10.5pt; border: 2px solid #000; background: #FFF;" | colspan="2" style="background: #FFD200; color: #000; text-align: center; height: 65px;" | <span style="font-size: 14pt;">'''예루살렘 왕국 왕실 문장'''</span><br><div style="margin-top: -2px; margin-bottom: 2px;">'''Armoëries roïales de lo Roïaume de Ierusalia'''</div> |- ! colspan="2" style="background: #FFF;" | [[파일:예루살렘 왕국 국장, 왕실 문장 (수정본).png]]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지위 | '''예루살렘 왕국 공식 국장'''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채택일 | 1921년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근거<br>법령 | 「예루살렘 왕국 헌법」 <br> 「국가상징법」 |- ! style="background: #000; color: #FFF;" | 사용처 | • 외국 또는 외국 기관에 발송하는 대외 공문 <br> • 국내 관공서 건물 및 재외공관 건물 <br> • 왕실 관련 건물 등 <br> • [[예루살렘 왕국 여권 (식혜)|예루살렘 왕국 여권]] 표지 <br> • [[훈장(서훈)/예루살렘 왕국 (식혜)|훈장]] 및 국왕 표창 등의 상훈 <br> • 고등행정관 3급 및 고등기술관 3급 이상 [[공무원/예루살렘 왕국 (식혜)|공무원]]에 대한 임명장 <br> • 기타 그밖에 국가. 왕실과 관련된 사항 |- |} 예루살렘 왕국의 국장은 국기 등과 마찬가지로 1921년 헌법 제정과 함께 공식 국장으로 채택되었다.<ref>국장으로서 채택된 것이 1921년일 뿐, 문장 자체는 이보다 더 전에 제작되었다.</ref> 여타 군주제 국가가 그렇듯 예루살렘 왕국의 국장은 [[예루살렘 국왕 (식혜)|국왕]]의 문장이자 [[압스부르크에브론 왕조 (식혜)|압스부르크에브론 왕조]]의 문장이다. 국장은 외국으로 발송되는 외교 문서, 국내 관공서 건물이나 재외공관 건물, 고위 공무원의 임명장 등에 사용된다. 국장은 곧 국왕의 문장이자 왕조의 문장인 만큼 사용처는 「국가상징법」과 「국가상징 사용에 관한 규정」 등 법률에 의거해야 한다. == 국가 == = [[예루살렘 왕국 (식혜)/역사|역사]] = = 인문 환경 = == 인구 == == 언어 == {| class="wikitable" style="font-size:10pt; border:2px dashed #cccccc;border-left:6px solid {{{3|}}};" |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bottom:{{#if:{{{2|}}}|5px|12px}};padding-right:60px; " | {{{1|'''Beünvenguts a Wikis, la sancta terrë del savoir novël, futuriste et democratïca.'''}}} {{#if:{{{2|신지식의 성지, 미래적이고 민주적인 위키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 style="margin:5em;background-color:#F2F2F2;padding:12px;padding-left:15px;padding-top:5px;padding-right:60px; " {{!}} {{{2|'''신지식의 성지, 미래적이고 민주적인 위키스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 }} |} 예루살렘 왕국은 [[우트르메르어 (식혜)|우트르메르어]]를 공용어로 사용하고 있다. 물론 [[아랍어]], [[영어]], [[히브리어]] 등등 여러 언어가 사용되고 있지만 공용어로 지정된 것은 우트르메르어 하나뿐이다. 우트르메르어로 우트르메르어는 'Utremarïen'라고 한다. 발음은 [y.tʁə.ma.ˈʁi.ɛn]이며 한글로는 위트르마리엔 정도로 표기할 수 있다. 1099년, [[십자군 전쟁|제1차 십자군 전쟁]]으로 예루살렘 왕국이 성립되었다. 북프랑스, 부르고뉴 계통의 귀족들이 이를 주도했는데, 그 영향으로 초창기에는 고프랑스어를 공용어로 사용했다. 행정과 종교에 있어서는 [[라틴어]]가 사용되었다. 이후 이슬람 제국, [[동로마 제국|비잔틴 제국]] 등과의 접촉으로 현지 언어 차용어가 다수 유입되었다. 중세를 거쳐 근대, 현대에 이르면서 라틴어, 고프랑스어, 아랍어, [[그리스어]] 등 다양한 언어의 혼성체로서 독자적인 언어로 발전했다. 18세기 즈음에는 통일된 표기법과 문법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힘을 얻으면서 국내 언어학자들을 필두로 우트르메르어 사전이 편찬되었고, 20세기 현대에 들어서는 프랑스의 아카데미 프랑세즈를 본따 [[왕립학예원 (식혜)|예루살렘 왕립학예원]] 산하에 우트르메르어 연구회(Cercle d’Estüde Utremarïen)가 설치되었다. 전반적으로 언어 공교육이 발달한 나라이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람들이 영어로 일상적인 대화는 충분히 할 수 있어 영어가 잘 통한다. 사실 우트르메르어는 [[프랑스어]]의 영향을 짙게 받았기 때문에 조금의 학습만으로도 원어민 수준으로 프랑스어 회화가 가능하기도 하다. 학교에서는 국어인 우트르메르어와 세계적인 공용어인 영어는 물론, 프랑스어나 [[스페인어]], [[독일어]], [[러시아어]] 등을 제2외국어로 배운다. 특히 독일어가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음운론적 특징으로는 /ʃ/, /ʒ/, /θ/, /x/ 등 고프랑스어와 라틴어, 아랍어에서 유래한 다양한 자음군이 있으며, dëmen(dominus)의 사례와 같이 비강세 모음이 약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프랑스어의 비음, 라틴어의 이중모음, 아랍어의 성문음이 공존하는 모습 또한 보인다. 문법론적으로는 인도유럽어족, 아프리카아시아어족에서 나타나는 문법적 성이 존재하며, 라틴어의 규칙동사와 고프랑스어의 불규칙 변화가 혼재해 동사가 변칙적으로 변화한다. 또한 de, par, a, en 중심의 전치사 중심 통사 구조가 나타나는데, 주격과 목적격만이 명확하게 발현되고 기타 격은 전치사를 활용한다는 특징이 있다. === 기본 문자 === {| class="margin-left: auto; margin-right: auto; wikitable" style="width: 6ㅣ100%;" ! style="width: 33%; background: #f5deb3; color: #000;" | 글자 ! style="width: 33%; background: #f5deb3; color: #000;" | 명칭 ! style="width: 33%; background: #f5deb3; color: #000;" | 발음 |- | style="text-align: center;" | {{+2|A a}} | style="text-align: center;" | 아(a) | style="text-align: center;" | /a/ |- | style="text-align: center;" | {{+2|B b}} | style="text-align: center;" | 베(be) | style="text-align: center;" | /b/ |- | style="text-align: center;" | {{+2|C c}} | style="text-align: center;" | 쎄(se), 께(ke) | style="text-align: center;" | /k/, /s/ |- | style="text-align: center;" | {{+2|Ç ç}} | style="text-align: center;" | 쎄 세디야(se sedilha) | style="text-align: center;" | /s/ |- | style="text-align: center;" | {{+2|D d}} | style="text-align: center;" | 데(de) | style="text-align: center;" | /d/ |- | style="text-align: center;" | {{+2|E e}} | style="text-align: center;" | 에(e) | style="text-align: center;" | /e/ |- | style="text-align: center;" | {{+2|Ë ë}} | style="text-align: center;" | 에 트레마(e trema) | style="text-align: center;" | /ɛ/, /ə/ |- | style="text-align: center;" | {{+2|F f}} | style="text-align: center;" | 에프(ef) | style="text-align: center;" | /f/ |- | style="text-align: center;" | {{+2|G g}} | style="text-align: center;" | 쥬, 게(ge) | style="text-align: center;" | /g/, /ʒ/ |- | style="text-align: center;" | {{+2|H h}} | style="text-align: center;" | 하(ha), 묵음 | style="text-align: center;" | /x/ |- | style="text-align: center;" | {{+2|I i}} | style="text-align: center;" | 이(i) | style="text-align: center;" | /i/, /j/ |- | style="text-align: center;" | {{+2|J j}} | style="text-align: center;" | 쥬(je) | style="text-align: center;" | /ʒ/ |- | style="text-align: center;" | {{+2|K k}} | style="text-align: center;" | 카(ka) | style="text-align: center;" | /k/ |- | style="text-align: center;" | {{+2|L l}} | style="text-align: center;" | 엘(el) | style="text-align: center;" | /l/ |- | style="text-align: center;" | {{+2|M m}} | style="text-align: center;" | 엠(em) | style="text-align: center;" | /m/ |- | style="text-align: center;" | {{+2|N n}} | style="text-align: center;" | 엔(en) | style="text-align: center;" | /n/ |- | style="text-align: center;" | {{+2|Ñ ñ}} | style="text-align: center;" | 에녜(enye) | style="text-align: center;" | /ɲ/ |- | style="text-align: center;" | {{+2|O o}} | style="text-align: center;" | 오(o) | style="text-align: center;" | /o/ |- | style="text-align: center;" | {{+2|P p}} | style="text-align: center;" | 페(pe) | style="text-align: center;" | /p/ |- | style="text-align: center;" | {{+2|Q q}} | style="text-align: center;" | 뀨, 큐ku) | style="text-align: center;" | /k/ |- | style="text-align: center;" | {{+2|R r}} | style="text-align: center;" | 에흐르, 에르(er) | style="text-align: center;" | /r/, /ʁ/ |- | style="text-align: center;" | {{+2|S s}} | style="text-align: center;" | 에스(es) | style="text-align: center;" | /s/, /z/ |- | style="text-align: center;" | {{+2|T t}} | style="text-align: center;" | 테(te) | style="text-align: center;" | /t/ |- | style="text-align: center;" | {{+2|Þ þ}} | style="text-align: center;" | 쏜(thorn) | style="text-align: center;" | /θ/ |- | style="text-align: center;" | {{+2|U u}} | style="text-align: center;" | 위(u) | style="text-align: center;" | /y/ |- | style="text-align: center;" | {{+2|V v}} | style="text-align: center;" | 베(ve) | style="text-align: center;" | /v/ |- | style="text-align: center;" | {{+2|X x}} | style="text-align: center;" | 이슈(ix) | style="text-align: center;" | /ʃ/ |- | style="text-align: center;" | {{+2|Y y}} | style="text-align: center;" | 이 그레크(i grec) | style="text-align: center;" | /i/, /j/ |- | style="text-align: center;" | {{+2|Z z}} | style="text-align: center;" | 제드(zed) | style="text-align: center;" | /z/ |- |} ==== 다중 문자 ==== 다중 자음의 대부분이 사용되지 않을 뿐만이 아니라 기본 문자로 충분히 대체가 가능하여 다중 모음만 표기한다. * ai - /aj/ * ei - /ɛj/ * ie - /je/, /i.e/ * oi - /wa/ * ou - /u/ * au - /o/ * ui - /ɥi/, /wi/ * eu - /ø/ * oa - /wa/ == 종교 == [[예루살렘 (식혜)|예루살렘]]은 [[기독교]], [[이슬람]], [[유대교]] 등 아브라함 계통의 종교의 성지로 여겨지는 곳으로, 중세 유럽 [[가톨릭]] 성직자들과 봉건 영주들은 이 [[예루살렘 (식혜)|성지]]를 차지하기 위하여 [[십자군 전쟁]]을 일으켜 예루살렘 왕국을 건국했다. 현대 예루살렘 왕국은 이러한 뿌리를 두고 있는 만큼 가톨릭의 영향력이 매우 강하다. 물론 예루살렘 왕국 이전에 이슬람과 유대교가 있었고, 관용 정책으로 이들을 탄압한 것은 아니었지만 가톨릭이 국교의 지위를 누려온 기간이 매우 길기 때문에 오늘날에도 가톨릭이 거의 국교로 여겨지다시피 한다. 사실 이전 왕조들은 교회에 그렇게 열성적인 편은 아니었다. 그러나 18세기 [[압스부르크에브론 왕조 (식혜)|압스부르크에브론 왕조]]가 들어서고 교회를 적극적으로 후원하기 시작하면서 왕국의 가톨릭화가 가속화되었다. 다만 다른 종교를 탄압하지는 않았기에, 그러한 와중에도 국내 무슬림들과 유대인들은 신앙을 유지하며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2038년 조사에 따르면 전체 인구의 60% 가량이 가톨릭를 믿는 것으로 나타났고, 이슬람이 20%, 유대교가 10%, 정교회, 개신교, 힌두교 등 기타 종교가 그 뒤를 이었다. 다른 선진국이 으레 그렇듯 종교활동 참여율이 매년 낮아지고는 있으나, 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76%가 삶과 종교는 분리할 수 없다고 답했다. == 교통 == = 행정구역 = = 정치 = == 국왕 == == 집정관 == == 정당 == = 각주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2 (원본 보기) 틀:가상국제연합 디폴리틱 세계관 국가목록 (원본 보기) 틀:글씨 색 (원본 보기) 틀:글씨 크기 (px)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예루살렘 왕국 관련 문서 (식혜) (원본 보기) 틀:자유당 (원본 보기) 틀:정당박스 (원본 보기) 예루살렘 왕국 (식혜)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