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분류:익스테딕 대통령 선거]] {{틀:익스테딕 제 4 공화국 공식 문서}} {{틀:위키파티협회 공식 문서}} {{선거 결과 양식 | 틀색 = #005ba6 | 글씨색 = #fff | 테두리색 = #005ba6 | 범례색 = #f5f5f5 | 범례 글씨색 = #005ba6 | 선거명 = 익스테딕 공화국 제31대 대통령 선거 | 대표사진 = 31대대선투표참여독려.PNG | 선거 날짜 = [[2025년]] [[2월 16일]] ~ [[2025년]] [[2월 19일]] | 선거 = 제31대 대선 | 이전선거 날짜 = [[2025년]] [[1월 18일]] ~ [[2025년]] [[1월 19일]] | 이전선거 = [[익스테딕 공화국 제30대 대통령 선거|제30대 대선]] | 다음선거 날짜 = [[2025년]] [[3월 19일]] ~ [[2025년]] [[3월 21일]] | 다음선거 = [[익스테딕 공화국 제32대 대통령 선거|제31대 대선]] | 투표율 = 60.6% | 후보1 = 이혁 | 상징색1 = #ff0000 | 득표율1 = 56.04 | 득표수1 = 51 | 후보2 = 제철수 | 상징색2 = #3366ff | 득표율2 = 25.27 | 득표수2 = 23 | 후보3 = 낙지 | 상징색3 = #0072b3 | 득표율3 = 12.09 | 득표수3 = 11 | 후보4 = 양건모 | 상징색4 = #ea6224 | 득표율4 = 6.59 | 득표수4 = 6 | 후보5 = | 상징색5 = | 득표율5 = | 득표수5 = | 후보6 = | 상징색6 = | 득표율6 = | 득표수6 = | 후보7 = | 상징색7 = | 득표율7 = | 득표수7 = | 후보8 = | 상징색8 = | 득표율8 = | 득표수8 = | 후보9 = | 상징색9 = | 득표율9 = | 득표수9 = | 후보10 = | 상징색10 = | 득표율10 = | 득표수10 = | 후보11 = | 상징색11 = | 득표율11 = | 득표수11 = | 후보12 = | 상징색12 = | 득표율12 = | 득표수12 = | 당선인 사진 = 초수.jpeg | 당선자 틀색1 = #ff0000 | 당선자 틀색2 = #ff0000 | 당선자 틀색3 = #ff0000 | 당선자 틀색4 = #ff0000 | 당선자 틀색5 = #ff0000 | 당명 = 새나라공화당 | 당선인 = 초수 }} {{목차}} = 개요 = 익스테딕 공화국의 제31대 대통령을 선출하는 [[익스테딕 대통령 선거|선거]]로, 2025년 2월 16일부터 2월 19일까지 실시되었다. <ref>투표 기간은 본선투표, 결선투표 기간을 모두 포함한 수치이다.</ref> = 선거의 성격 = [[2.7 내란]] 이후 익스테딕이 밴드로 본진을 옮기고 난 뒤 치뤄지는 첫 대선이다. = 선거 일정 = = 타임라인 = = 후보 = = 여론조사 = = 변수 = = 출구조사 = 초수 후보의 대세론이 워낙 강해, 출구조사는 실시되지 않았다. 다만 EBC에서 초수 당선을 예측했다. = 투표율 = 본선 투표에서는 높은 투표 열기를 보여주었다. 당시 유권자가 70명이었는데 51명이나 투표했다. 그러나 결선 투표에서는 27명밖에 투표를 하지 않았다. = 개표 결과 = = 여담 = == 초수 대세론? 그래도 결선투표 == 본래 [[2.7 내란]] 발생으로 주요 활동층이 좁혀질 것으로 예상되었으나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텐]]을 따라 익스테딕 5공화국에 합류했으며, 대선 후보도 오히려 지난 대선보다 많았다. 그럼에도 초수 대세론이 확산되는 분위기였는데, 결과적으로는 본선에서 50% 득표는 넘지 못하여 결선 투표에 가게되었다. 물론 50%는 넘지 못했어도 2위 후보와는 두 배 격차가 났다. 이후 32대 대선부터는 결선 투표가 폐지되었기 때문에, 결선투표 제도가 도입된시기동안 50% 득표를 넘겨 결선 투표를 하지 않은 경우는 [[익스테딕 공화국 제30대 대통령 선거|30대 대선]]밖에 없게 되었다. == 결선투표에 3명? Again 24대 대선 == 2위 후보 득표율이 같아 3명이나 결선투표에 진출하는 풍경이 펼쳐졌다. 이는 24대 대선 당시 거북이-이혁-웨플리케이션 진출 사례 이후 최초이다. 다만 차이점이라고 한다면 24대 대선 때는 정말 3자구도 초박빙이었으나, <ref>심지어 그 당시에는 초박빙 구도가 유지되어 3명이서 1차 결선투표를 하고 웨플리케이션만 1표차로 3위를 하고 공동 1위를 한 거북이와 이혁이 2차 결선투표에 진출했다. 그러나 2차 결선투표에서도 동률이 나오며 거북이-이혁은 3차 결선투표까지 가게 되었다. 그러나 거북이 후보의 양보로 인한 사퇴로 이혁 후보가 당선되었다.</ref> 31대 대선 때는 초수의 대세론으로 초수가 결선에서는 압도적이었다는 점이다. == 같은 당명으로 정권 연장 == 같은 당명으로 정권 연장에 성공한 6번째 사례가 되었다. 이전 사례로는 6대 kwin(보수당)-7대 DALEE(보수당), 10대 교차로(미래전진)-11대 교차로(미래전진), 17대 이스라엘(자유선진당)-18대 이스라엘(자유선진당), 24대 이혁(공화당)-25대 이혁(공화당), 27대 베이쳐 (사회민주진보당)-28대 이스라엘 (사회민주진보당)-29대 제이미 안철수(사회민주진보당)와 같은 사례들이 있었다. = 각주 =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대선 결과 양식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선거 결과 양식 (원본 보기) 틀:알림 상자 (원본 보기) 틀:위키파티협회 공식 문서 (원본 보기) 틀:익스테딕 제 4 공화국 공식 문서 (원본 보기) 익스테딕 공화국 제31대 대통령 선거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