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tablealign=right> {{{+3 '''Русский'''}}} || |||| {{{+1 '''러시아어'''}}}[* 약간 구식이지만 아직도 '''노어''' 라는 표현을 많이 쓴다. 아직도 대학교에서 '''노어노문학과''' 라는 표현을 쓰는걸 보면 당연한듯. '''노'''인 이유는 러시아를 한자로 음차한 '''노서아(露西亞)''' 에서 따온 것이다.] || |||| '''언어 기본 정보''' || || 주요사용국 ||<#ffffff>'''[[러시아]] 외 [[CIS]] 국가들과 구소련 국가들 '''[* 인구의 다수가 러시아어를 모국어로 하거나 유창하게 말하고, 러시아어가 공식 언어인 국가들이다. --소위 [[소련]]이었던 나라들--] || || 원어민 ||<#ffffff>'''약 2억 6천만명''' || || 어족 ||<#ffffff>'''[[인도유럽어족]][br][[슬라브어파|발트슬라브어파]][br]동슬라브어군[br]러시아어''' || || [[문자]] ||<#ffffff>[[키릴 문자]] || |||| '''언어 코드''' || || [[국제표준화기구|ISO]]-639 ||<#ffffff>'''RU''' || [목차] == 개요 == 러시아어는 [[유럽]]에서 가장 [[모어]]화자가 많은 언어이며, 모어 화자수에서는 세계에서 8번째로 많고, [[제2언어]]화자수도 포함하면 세계에서 4번째로 많다. 러시아의 음역어인 노서아를 차용한 '''노어'''라는 이름도 있다. 냉전 당시에는 [[영어]]만큼 큰 지위를 누렸던 [[국제어]] 이기도 하며, 또한, 이 언어는 지구상에서 약 20분의 1이 쓴다고 해도 무방한것이다. 이 언어는 [[폴란드어]], [[우크라이나어]] 및 [[벨라루스어]]와 비슷한 공통점을 지니고 있으며, [[리투아니아어]], [[라트비아어]]와도 약간의 단어가 유사하며, 동부 러시아어는 [[카자흐어]]나 [[몽골어]]의 영향도 소수로 받은 편이다. 역사적으로는 [[그리스어]], [[라틴어]], [[폴란드어]], [[네덜란드어]], [[독일어]], [[프랑스어]], [[영어]]에 영향을 많이 받았으며, [[핀우고르어족]], [[투르크어족]], [[페르시아어]], [[아랍어]]에서도 차용어를 들여왔다. 러시아어는 문법적으로는 [[굴절어]]에 속한다. [[유엔]]에서 정한 6개 공용어 중 하나이며 [[독립국가연합]]에 속한 나라들이 주로 사용한다. [[에스토니아]],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몽골]], [[동유럽]]과 [[중앙유럽]]([[폴란드]], [[체코]], [[헝가리]], [[루마니아]], [[불가리아]]) 등에서는 상용어로 사용되며, 나머지 사용자는 제2언어로 사용한다. 방언은 북부(러시아 북부에서 시베리아), 중부(러시아 중앙부), 남부(캅카스와 러시아 남서부)로 나뉘며, 표준어는 [[모스크바 방언]]을 기반으로 한다. 모스크바 방언은 원래 남부 방언에 속했으나 북부방언의 영향을 받아 새로운 중부 방언으로 탄생했다. [[일본]] [[홋카이도]] 지역에서도 일부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터키]]에서도 소수가 쓰는 편이며, [[그리스]], [[독일]], [[오스트리아]], [[핀란드]]에서도 약간의 사용자가 있다. 그 밖에도 민족마다 러시아어 억양이 다르다. 이를테면 우크라이나의 러시아어(우크라이나억양의 러시아어, 주로 서부지역과 [[오데사]]에서 많이 사용), 캅카스의 러시아어 (캅카스 억양의 러시아어, 러시아의 북캅카스 지방의 여러 민족과 코카서스 3국에서 사용), 중앙아시아의 러시아어(터키 억양의 러시아어, 중앙아시아 5개 공화국에서 많이 사용) 등이 있다. ==알파벳== {| align=center cellpadding=4 style="text-align:center;" |- |[[А]]<br />{{IPA|a/아}}||[[Б]]<br />{{IPA|b/베}}||[[В]]<br />{{IPA|v/붸}}||[[Г]]<br />{{IPA|ɡ/게}}||[[Д]]<br />{{IPA|d/데}}||[[Е]]<br />{{IPA|jɛ/예}}||[[Ё]]<br />{{IPA|jo/요}}||[[Ж]]<br />{{IPA|ʐ/줴}}||[[З]]<br />{{IPA|z/즈}}||[[И]]<br />{{IPA|i/이}}||[[Й]]<br />{{IPA|j/이-끄라뜨코예}} |- |[[К]]<br />{{IPA|k/까}}||[[Л]]<br />{{IPA|l/엘}}||[[М]]<br />{{IPA|m/엠}}||[[Н]]<br />{{IPA|n/엔}}||[[О]]<br />{{IPA|o/오}}||[[П]]<br />{{IPA|p/뻬}}||[[Р]]<br />{{IPA|r/에르}}||[[С]]<br />{{IPA|s/에스}}||[[Т]]<br />{{IPA|t/떼}}||[[У]]<br />{{IPA|u/우}}||[[Ф]]<br />{{IPA|f/에프}} |- |[[Х]]<br />{{IPA|x/하}}||[[Ц]]<br />{{IPA|ʦ/쪠}}||[[Ч]]<br />{{IPA|ʨ/체}}||[[Ш]]<br />{{IPA|ʂ/샤}}||[[Щ]] <br />{{IPA|ɕː/샤}}||[[Ъ]]<br />{{IPA|-/뜨뵤르듸 즈나크}}||[[Ы]]<br /> {{IPA|ɨ/의<ref>[ɨ]는 [[중설모음]]으로, [[한국어]] 및 현행 [[한글]] 체계에는 없는 발음이다. 이를 한글로 표기하기 위해 많은 러시아어 학습서에서는 [[후설모음]] ㅡ이 자음화된 [[연구개 접근음]] [ɰ]와 [[전설모음]] ㅣ의 [[이중모음]]인 ㅢ를 사용하고 있으나, 이는 엄밀히 말하면 옳지 않은 표기다.</ref>}}||[[Ь]]<br />{{IPA|◌ʲ/먀흐끼 즈나크}}||[[Э]]<br />{{IPA|ɛ/에}}||[[Ю]]<br />{{IPA|ju/유}}||[[Я]]<br />{{IPA|ja/야}} |} А, Ы, У, Э, О는 경모음이고, Я, И, Ю, Е, Ё는 연모음이다. Й는 반자음이다. == 문법 == === 명사 === 명사에는 남성, 중성, 여성의 3개의 성으로 나뉘어 있다. 남성명사는 자음 -й, ь으로 끝나고, 여성명사는 ―а,-я,-ь의 어미로 끝나고, 중성명사는 ―о, -е, -мя로 끝나는 것이 보통이다. 복수인 경우에는 남성 및 여성 명사는 어미의 경·연으로 ―ы와 ―и로 끝나고, 중성 명사는―а와 ―я로 끝난다. 명사의 격은 [[주격]], [[생격]], [[여격]], [[대격]], [[조격]], [[전치격]]의 6가지 격종류 말고도 일부는 호격으로 바뀐다. (예: Боже мой! 나의 신이여!) 수사와 수사에 관련된 명사는 특수한 변화를 보인다. 1은 단수 주격이지만, 2-4 은 단수생격, 5이상이 복수생격을 받는다. 2-4의 단수생격은 쌍수형의 자취이다. === 인칭대명사 === {| border="1" cellspacing="0" cellpadding="5" class="wikitable" |- bgcolor="#cccccc" align="center" ! bgcolor="#999999" | ! ''단수'' ! ''복수'' |- align="center" | bgcolor="#cccccc" | 1인칭 || '''я''' 야 -나는(I) | '''мы''' 믜 -우리들은(we) |- align="center" | bgcolor="#cccccc" | 2인칭 | '''ты''' 띄 -너는(you)<br />'''Вы''' 븨 -당신은 | '''Вы''' 븨 -당신들은(you) |- align="center" | bgcolor="#cccccc" | 3인칭 | '''он''' 온 -그는(he)<br />'''она''' 아나 -그녀는<br />'''оно''' 아노 -그것은(it) | '''они''' 아니 -그들은<br />그녀들은<br />그것들은 |} 모두 [[주격]]을 이용하고 있다. 높여 부르는 Вы에서 "В"는 대문자여야 한다. 여러 사람들 앞에서는 무조건 Вы를 사용해야 하며, 나이의 높고 낮음에 상관 없이 서로가 친하다고 느껴지면 ты를 사용할 수 있다. {| class="wikitable" ! 소유자 || 단수 || 소유 || 피소유자 |- | 나 || я (야) || мой (모이) || 남성 |- | || || моя (마야) || 여성 |- | || || моё (마요) || 중성 |- | || || мои (마이) || 복수 |- | 너 || ты (띄) || твой (뜨보이) || 남성 |- | || || твоя (뜨바야) || 여성 |- | || || твоё (뜨바요) || 중성 |- | || || твои (뜨바이) || 복수 |- | 그 || он (온) || его (이보) || 남성 |- | 그녀 || она (아나) || её (이요) || 여성 |- | 그것 || оно (아노) || его (이보) || 중성 |- | 우리 || мы (믜) || наш (나쉬) || 남성 |- | || || наша (나샤) || 여성 |- | || || наше (나쉐) || 중성 |- | || || наши (나시) || 복수 |- | 너희 || вы (븨) || ваш (바쉬) || 남성 |- | || || ваша (바샤) || 여성 |- | || || ваше (바쉐) || 중성 |- | || || ваши (바시) || 복수 |- | 그들 || они (아니) || их (이흐) || 남성 |} === 동사 === [[동사 (품사)|동사]]는 완료체(러시아어: CB - 에스베)와 불완료체(러시아어: HCB - 엔에스베)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각각 [[완망상]](perfective)과 [[비완망상]](imperfective)에 대응한다. === 형용사 === [[형용사]]는 명사와 같이 성·수·격에 따라 변화되고, 한정적 용법에는 형용사가 일치한다. 서술적 용법에서는 어미가 짧은 "단어미형"도 이용된다. ==결론== 더럽게 어렵다. 필자처럼 러시아 살지 않는 이상 배우지 말자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IPA (원본 보기) 틀:목차 (원본 보기) 틀:색 (원본 보기) 틀:언어 (원본 보기) 러시아어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