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big><big>'''소개</big></big> [[중항국]]의 고속철도는 중항국의 고속철도로, JHE(JungHang Express)라고도 불린다. <big><big>중항국 고속철도 노선</big></big> [[파일:고속철도 역명 노선도.png|섬네일]] {| class="wikitable" |- ! !! 동남선 !! 북해선 !! 산통선 !! 서해선 !! 남해선 !! 극항선 |- | 개통년도 || 1980 || 2000 || 2006 || 1985 || 2009 || 2013 |- | 노선 색깔 || 초록 || 연두 || 보라 || 파랑 || 분홍 || 노랑 |- | 기,종점 || 극동, 남진 || 신장간, 서극동 || 봉단, 중항 || 극남, 남봉단 || 신극항, 중항 || 동남진, 극항 |- | 역 개수 || 20 || 14 || 20 || 13 || 10 || 14 |- | 혼잡도 || 120% || 50% || 35% || 68% || 86% || 56% |} '''동남선''' 동남선은 중항국 고속철도 중에서 가장 오래되고, 가장 이용률이 높은 노선이다. 노선 색깔은 초록색이다. {| class="wikitable" |- ! !! 동남선 |- | 개통년도 || 1980 |- | 역 개수 || 20 |- | 사용 열차 || [[빛나리]], [[차밭]], [[수도리]] |- | 혼잡도 || 120%(앉을 자리가 거의 없음, 중항과 남진, 극동 근처에서는 혼잡도가 400%) |- | 열차 편성 || 16편성 |} 요금 한 역당 1000중 식 올라감 노선 [[극동]]-[[서극동]]-[[동양관]]-[[남양관]]-[[동다전]]-[[다전]]-[[서다전]]-[[동중항]]-[[중항]]-[[신장간]]-[[북다천]]-[[다천]]-[[동산남]]-[[산남]]-[[서산남]]-[[봉구]]-[[봉남]]-[[동남진]]-[[남남진]]-[[남진]] '''북해선''' 북해선은 북중항지역을 연결한다. 이용객이 별로 없는 북부를 연결하다 보니 탑승객이 적다. {| class="wikitable" |- ! !! 북해선 |- | 개통년도 || 2000 |- | 역 개수 || 14 |- | 사용 열차 || [[산소리]], [[바닷가]] |- | 혼잡도 || 50%(앉을 자리가 많음) |- | 열차 편성 || 5편성 |} 요금 한 역당 1000중 식 올라간다. 노선 [[신장간]]-[[산동]]-[[동산동]]-[[남근해]]-[[근해]]-[[북근해]]-[[서만중]]-[[만중내하]]-[[만중]]-[[신만중]]-[[동만중]]-[[서양관]]-[[양관]]-[[서극동]] '''산통선''' 말 그대로 중항국의 고산지대를 통과하는 노선이다. 이용객수가 가장 적으며, 북해선과 함께 적자노선으로 유명하다. 주로 이용객은 등산객들이다. {| class="wikitable" |- ! !! 산통선 |- | 개통년도 || 2006 |- | 역 개수 || 20 |- | 사용 열차 || [[산맥]], [[등산]] |- | 혼잡도 || 35%(관광객들 덕에 이 정도임) |- | 열차 편성 || 3편성 |} 요금 한 역당 500중 식 올라간다. 노선 [[중항]]-[[신장간]]-[[남산동]]-[[신산동]]-[[산동 대산입구]]-[[서산동]]-[[동봉영]]-[[봉영]]-[[봉영 대산입구]]-[[북봉영]]-[[북해봉영]]-[[남북해]]-[[북해]]-[[동산북]]-[[산북]]-[[서산북]]-[[동봉단]]-[[신봉단]]-[[남봉단]]-[[봉단]] '''서해선''' 중항국의 서부를 이어주는 노선이다. 이용객들의 대부분은 회사원들이다. {| class="wikitable" |- ! !! 서해선 |- | 개통년도 || 1985 |- | 역 개수 || 13 |- | 사용 열차 || [[메아리]], [[일몰]] |- | 혼잡도 || 68%(자리가 적당히 있음, 극남근처에선 혼잡도가 180%를 찍음) |- | 열차 편성 || 17편성 |} 요금 한 역당 1000중 식 올라간다 노선 [[남봉단]]-[[북서해]]-[[신서해]]-[[산서]]-[[신봉서]]-[[봉서]]-[[북남진]]-[[서남진]]-[[나장]]-[[남진]]-[[신국남 북두]]-[[신극남]]-[[극남]] '''남해선''' 이름과는 달리 중항특별시에서 동도를 지나, 극항까지 간다. (동해선이 더욱 나음) {| class="wikitable" |- ! !! 남해선 |- | 개통년도 || 2009 |- | 역 개수 || 10 |- | 사용 열차 || [[항해]], [[일출]] |- | 혼잡도 || 86%(극항과 중항 부근에서 혼잡도는 130%로 증가한다) |- | 열차 편성 || 8편성 |} 요금 한 역당 2000중 식 올라간다. 노선 [[중항]]-[[동도터널 앞]]-[[북동도]]-[[동도]]-[[공상]]-[[신한라]]-[[한라]]-[[다평]]-[[남다평]]-[[신극항]] '''극항선''' 극항에서 시작하여 동남진까지 가는 열차로 수중터널이 길다. {| class="wikitable" |- ! !! 극항선 |- | 개통년도 || 2013 |- | 역 개수 || 14 |- | 사용 열차 || [[산울림]], [[항해]], [[정각]] |- | 혼잡도 || 56%(앉을 자리가 많음) |- | 열차 편성 || 5편성 |} 요금 한 역당 1000중 식 올라간다.(서완원-남진터널 앞 구간은 한 역당 5000중) 노선 [[동남진]]-[[남진터널 앞]]-[[북서도]]-[[남서도]]-[[서완원(완원터널 앞)]]-[[완원]]-[[동완원]]-[[서산맥]]-[[산맥]]-[[동산맥]]-[[신다평]]-[[서다평]]-[[신극항]]-[[극항]] 중항국/중항국의 고속철도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