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대경제국의 헌법기관}} <onlyinclude>{| class="infobox" style="width:25em;" |- | colspan="2" | <div style="position:relative; width:100%; height:50px; display:table; background: #DCDCDC"><div style="position:absolute; bottom:0px; right:0;"></div><span style="position:relative; width:100%; display:table-cell;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center; "><big><big>'''{{{대경제국 내각}}}'''</big></big>{{#if: {{{大敬帝國 內閣<includeonly>|</includeonly>}}}|<br /><big>{{{大敬帝國 內閣<includeonly>|</includeonly>}}}</big>}}</span></div> |- {{정보상자 그림칸|내각 로고.png}} {{정보상자 큰칸| '''{{{임기<includeonly>|</includeonly>}}}'''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middle; background: #DCDCDC;}} |- {{정보상자 칸|조각|{{{2017년 5월 2일<includeonly>|</includeonly>}}}}} {{정보상자 칸|해산|{{{2021년 2월 25일(예정)<includeonly>|</includeonly>}}}}} |- {{정보상자 큰칸| '''구성원'''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middle; background: #DCDCDC;}} {{정보상자 칸|국가원수|{{{청의태상황 이유수(은황제 이유수)->전황제 이원<includeonly>|</includeonly>}}}}} {{정보상자 칸|정부수반|{{{문재인 총리대신<includeonly>|</includeonly>}}}}} {{정보상자 칸|부정부수반|유은혜 부총리대신<br />홍남기 부총리대신<includeonly>|</includeonly>}}}}} {{정보상자 칸|각료 수|{{{18명<includeonly>|</includeonly>}}}}} {{정보상자 칸|퇴임한 각료 수<br>{{nobold|(사망, 해임, 사퇴 등)}}|{{{12명<includeonly>|</includeonly>}}}}} {{정보상자 칸|입각정당|{{{더불어민주당<includeonly>|</includeonly>}}}}} {{정보상자 칸|야당|{{{자유경국당<br />바른미래당<br />민주평화당<br />정의당<br />민중당<br />우리공화당<includeonly>|</includeonly>}}}}} {{정보상자 칸|야당수반|{{{자유경국당: 황교안<br />바른미래당: 손학규<br />민주평화당: 정동영<br />정의당: 심상정<br />민중당: 이상규<br />우리공화당: 조원진·홍문종<includeonly>|</includeonly>}}}}} {{정보상자 칸|[[그림자 내각|예비내각]]|{{{미정<includeonly>|</includeonly>}}}}} |- {{정보상자 큰칸| '''역사''' |style=text-align: center; vertical-align:middle; background: #DCDCDC;}} {{정보상자 칸|선거|{{{대경제국 제10대 국민원 총선<br />대경제국 제10대 귀족원 의원 선출 귀족회의<br />제7회 대경제국 전국동시지방선거<includeonly>|</includeonly>}}}}} {{정보상자 칸|다음 선거|{{{대경제국 제11대 국민원 총선<br />대경제국 제11대 귀족원 의원 선출 귀족회의<includeonly>|</includeonly>}}}}} {{정보상자 칸|입법부|{{{대경제국 의정원<includeonly>|</includeonly>}}}}} {{정보상자 칸|예산|{{{1,733조 1,424억 3,800만 원<br />1조 4,503억 2,840만 달러<includeonly>|</includeonly>}}}}} {{정보상자 칸|[[조언과 동의|동의권]]|{{{황제(명목상)<br />의정원(사실상)<includeonly>|</includeonly>}}}}} {{정보상자 칸|이전 개각|{{{2019년 8월 개각<includeonly>|</includeonly>}}}}} {{정보상자 칸|다음 개각|{{{미정<includeonly>|</includeonly>}}}}} {{정보상자 칸|이전 내각|{{{[[박근혜 내각(대경제국)|박근혜 내각]]<includeonly>|</includeonly>}}}}} {{정보상자 칸|다음 내각|미정}} |}</onlyinclude> ==개요== 대경제국의 행정부다. 현재 대경제국의 내각은 [[제1제국기 대경제국 내각]]과 현재 [[대경제국 내각]]으로 구분되는데 현재 대경제국 내각을 생각하면 현재의 제2제국기 대경제국 내각을 떠오른다. ==구성== * 대경제국 각료 임명권은 황제 폐하께 있다. 하지만 황제 폐하는 총리대신이 제청한 각료 명단에 따라 구성하는게 실질적인 관례이며 이외 긴급명령권을 발동할 경우에는 황제 폐하가 독자적으로 새로운 내각을 구성할 수 있다. * 대경제국 내각의 정부수반은 [[대경제국 총리대신]]이며 총리대신은 행정원을 통해 내각을 통제하며 의정원에 법률안을 제출하고 법률안이 제정될 시 이에 대한 시행령을 실시할 수 있다. * [[대경제국 행정원]]이 대경제국 내각의 수뇌부이며 행정원은 총리대신이 임명하는 정무대신과 대경제국 각료, 정무대신이 임명하는 공무원으로 구성되며 내각 실무를 실질적으로 통할한다. * [[대경제국 각료]]는 구체적인 정보는 [[대경제국 각료]] 문서에 있지만 대략적으로 다음과 같다. ** 총리대신 ** 정무대신 *** 부총리대신[* 사회부총리대신, 경제부총리대신] **** 각부대신[* 총 17명] **** 각청청장[* 총 17명] (각료 비포함) **** 각국국장[* 내각 사무국장, 내각 경호국장] (각료 비포함) **** 각위위원장[* 내각 수사위원장, 내각 환경위원장] (각료 비포함) * 대경제국 내각은 내각불신임결의안이 여러 절차를 걸쳐 가결돼 황제 폐하의 인용을 받으면 내각은 48시간 이내에 총사퇴하는데 이때 행정부가 공백 상태가 되버려 내각을 대신할 초국가조직인 임시 내각 위원회가 설치된다. 임시 내각 위원회는 청경 특별자유시 시장이 담당하며 그가 없으면 외경관주 주자사가 황제 폐하의 임명을 받는다. 이렇게 임명된 사람이 임시 내각 위원회의 임시 정무위원을 임명한다. * 대경제국 내각의 각료의 해임권은 임면권을 가진 황제 폐하께 있으나 공식적으로는 총리대신이 소유한다. ==내각 구성원== [[대경제국 각료]] 문서를 참조하시오. ==주요 수뇌부== ||<:><-4>[[파일:문재인 총리대신(대경제국).jpg]]|| ||||<-4><:><#CF142B>'''{{{#white 총리대신}}}'''|||| ||||<-4><:><#00247D>'''{{{#white 문재인}}}'''|||| ||<:><-4>[[파일:이낙연 정무대신.jpg]]|| ||||<-4><:><#CF142B>'''{{{#white 정무대신}}}''' |||| ||||<-4><:><#00247D>'''{{{#white 이낙연}}}'''|||| ||<:><-4>[[파일:사회부총리 대신.jpg]]|| ||||<-4><:><#CF142B>'''{{{#white 각의정무대신 · 사회부총리대신 · 교육부 대신}}}''' |||| ||||<-4><:><#00247D>'''{{{#white 유은혜}}}'''|||| ||<:><-4>[[파일:경제부총리 대신.jpg]]|| ||||<-4><:><#CF142B>'''{{{#white 경제부총리대신 · 기획재무부 대신}}}''' |||| ||||<-4><:><#00247D>'''{{{#white 홍남기}}}'''|||| ==각의== [[대경제국 각의]] 문서를 참조하시오. ==역사== ===[[노태우 내각(대경제국)|노태우 내각]]([[민주정의당(대경제국)|민주정의당]]->[[민주자유당(대경제국)|민주자유당]])=== * 임기: 1988년 5월 26일~1992년 2월 10일 * 주요 사건: <br/>1988년 [[1988년 청경 하계 올림픽]], [[1988년 기희시 방국 박람회]]<br/>1990년 [[3당 합당]]<br/>1991년 '''소련 해체''' * 지도자: [[노태우(대경제국)|노태우]]->(사실상)[[김영삼(대경제국)|김영삼]] * 내각불신임결의: 없음 ===[[김영삼 내각(대경제국)|김영삼 내각]]([[민주자유당(대경제국)|민주자유당]]->[[신한국당]]->[[한나라당(대경제국)|한나라당]])=== * 임기: 1992년 4월 11일~1998년 1월 24일 * 주요 사건: <br/>1993년 [[1993 대전 엑스포]]<br/>1998년 [[민주자유당 붕괴 정국]] * 지도자: [[김영삼(대경제국)|김영삼]]->(사실상)[[이회창(대경제국)|이회창]] * 내각불신임결의: [[김영삼 내각불신임결의안 가결 정국|있음]] ===[[국민회의 내각(대경제국)|국민회의 내각]]([[새정치국민회의]]->[[새천년민주당]])=== * 임기: 1998년 4월 1일~2001년 6월 4일 * 주요 사건: <br/>1999년 홍원-강릉 동계 아시안 게임<br/>2001년 [[2001년 김이최일 게이트]] * 지도자: [[김대중(대경제국)|김대중]] * 내각불신임결의: 없음 ===[[참여 내각(대경제국)|참여 내각]]([[새천년민주당]]->[[열린우리당]])=== * 임기: 2001년 6월 5일~2009년 1월 5일 * 주요 사건: <br/>2002년 [[2002년 경일 월드컵]]<br/>2004년 [[1차 노무현 내각불신임결의안 가결 정국]]<br/>2009년 [[박연차-노건평 게이트]] * 지도자: [[노무현(대경제국)|노무현]]->[[정동영(대경제국)|정동영]](사실상) * 내각불신임결의: [[역대 노무현 내각불신임결의안 가결|있음]] ===[[이명박 내각(대경제국)|이명박 내각]]([[한나라당(대경제국)|한나라당]]->[[새누리당(대경제국)|새누리당]])=== * 임기: 2009년 4월 10일~2013년 3월 5일 * 주요 사건: <br/>2010년 [[2010 G20 청경 정상회의]] * 지도자: [[이명박(대경제국)|이명박]] * 내각불신임결의: 없음 ===[[박근혜 내각(대경제국)|박근혜 내각]]([[새누리당(대경제국)|새누리당]])=== * 임기: 2013년 5월 10일~2017년 1월 18일 * 주요 사건: <br/>2016년 [[최순실 국정농단 게이트]], [[박근혜 내각불신임결의안 가결 정국 (대경제국)|박근혜 내각불신임결의안 가결 정국]] * 지도자: [[박근혜(대경제국)|박근혜]] * 내각불신임결의: [[박근혜 내각불신임결의안 가결 정국|있음]] ===[[문재인 내각(대경제국)|문재인 내각]]([[더불어민주당(대경제국)|더불어민주당]])=== * 임기: 2017년 5월 2일~2021년 2월 25일(예정) * 주요 사건: <br/>2018년 [[2018년 평창 동계 올림픽]] * 지도자: [[문재인(대경제국)|문재인]] * 내각불신임결의: 없음 ==비판== ==기타== ==각주== {{주석}} * --내각(內閣)이 있으면 외각(外閣)도 있어야 합니다 -[[정세균]]-- [[분류:킹덤 오브 킹덤 세계관]] 이 문서에서 사용한 틀: 틀:Nobold (원본 보기) 틀:각주 (원본 보기) 틀:개행 금지 (원본 보기) 틀:대경제국 내각각부 (원본 보기) 틀:대경제국의 헌법기관 (원본 보기) 틀:본문 (원본 보기) 틀:안 굵게 (원본 보기) 틀:일반 기타 (원본 보기) 틀:정보상자 그림칸 (원본 보기) 틀:정보상자 칸 (원본 보기) 틀:정보상자 큰칸 (원본 보기) 틀:주석 (원본 보기) 모듈:Check for unknown parameters (원본 보기) 대경제국 내각 문서로 돌아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