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서 편집 권한이 없습니다. 다음 이유를 확인해주세요: 요청한 명령은 다음 권한을 가진 사용자에게 제한됩니다: 사용자. 문서의 원본을 보거나 복사할 수 있습니다. '''무산담 왕국''' '''Kingdom of Musandam''' ||<table align=right><table width=260><bgcolor=#002><-4><:>{{{#white {{{+1 '''무산담 왕국'''}}}[br]{{{+1 '''Kingdom of Musandam'''}}}[br]{{{+1 '''مملكة مسندم'''}}}}}}|| ||<:><-4>[[파일:FLAG.jpg|width=200]]|| ||<-4><:><#CF142B>'''{{{#white 국기}}}''' || ||||<bgcolor=#CF142B><:>{{{#white '''국가'''}}}||<-2> 무산담 찬가 || ||||<bgcolor=#CF142B><:>{{{#white '''면적'''}}}||<-2> 218만km² || ||||<bgcolor=#CF142B><:>{{{#white '''인구'''}}}||<-2> 3440만 명 || ||||<bgcolor=#CF142B><:>{{{#white '''인구밀도'''}}}||<-2> 16명/ km² || ||||<bgcolor=#CF142B><:>{{{#white '''수도'''}}}||<-2> 리야드 || ||||<bgcolor=#CF142B><:>{{{#white '''공용어'''}}}||<-2> 아랍어, 영어, 페르시아어 || ||||<bgcolor=#CF142B><:>{{{#white '''정치체제'''}}}||<-2> 전제군주제 || ||||<bgcolor=#CF142B><:>{{{#white '''경제체제'''}}}||<-2> 혼합경제 || ||||<bgcolor=#CF142B><:>{{{#white '''국교'''}}}||<-2> 이슬람교(기타 종교 인정) || ||||<bgcolor=#CF142B><:>{{{#white '''화폐단위'''}}}||<-2> 리얄 || ||||<bgcolor=#CF142B><:>{{{#white '''군주'''}}}||<-2> [[Imaad Al Sabet]] || ||||<bgcolor=#CF142B><:>{{{#white '''GDP'''}}}||<-2> $1,288,000,000,000 || ||||<bgcolor=#CF142B><:>{{{#white '''1인당 GDP'''}}}||<-2> $37,209 || ==상징== === 국명 === 원래 무산담이라는 이름은 아라비아 반도에 위치한 호르무즈 해협에 있는 무산담 반도에서 유래가 되었다, 사우디아라비아와의 통일 후에도 국명은 바꾸지 않았다 === 국기 === 초록색은 무산담 왕국의 다수를 차지하는 이슬람교에서 신성시하는 색깔이다, 흰색은 순결을, 검정색은 강한 의지를 뜻한다, 중간에 있는 두 손바닥은 피로 물들었다는 의미로, 언제든지 국가를 위해 희생할 준비가 되었다는 뜻이다, 삽과 낫은 무기를 뜻하기도 하고, 부지런함을 뜻하기도 한다 === 국가 === 국가의 이름은 "무산담 찬가"이다 ==언어== 아랍어, 영어, 페르시아어를 공용어로 정하고 있으나 주로 아랍어가 많이 쓰인다 == 정치/행정 == ===정의=== 무산담 왕국의 국왕은 입법, 사법, 행정의 3권을 행사하며 절대적인 권력을 누린다, 후계자를 지명할 권리도 있다 ===내각 구조=== 국왕 겸 외교부 장관 겸 국방부 장관 총리 겸 내무부 장관 재정경제부 장관 보건복지부 장관 법무부 장관 종교부 장관 교육문화관광부 장관 에너지자원부 장관 과학기술부 장관 정보통신산업부 장관 *나열된 순서는 내각 서열과 무관함 ===국정자문회의=== 구성 -국왕이 임명하는 의장 1명 및 의원 129명으로 구성 -공무원 겸임 금지 -의장은 국정자문회의의 대표자로서 모든 활동을 감독 -의원들은 전직 각료, 공무원, 의사, 기업인, 군인, 학자, 언론인 등 사회 각계 전문가 그룹에서 임명 -매주 2회 회의 개최(필요시 비상소집 가능) -정책 심의, 법률 제·개정 제안(129명 의원 중 40명 이상의 의원이 발의해야 가능) -의장을 포함하여 3분의 2 이상 참석해야 회의 진행 -129명 의원 중 과반 수 찬성해야 의결 -국왕은 국정자문회의의 제안을 무시할 수 있으며 언제든지 국정자문회의를 해산할 수 있음 ==통일== 사우디아라비아가 무주지가 될 위기에 처했을 때 양국 국민의 요구와 국제사회의 인정속에 무산담 왕국이 사우디아라비아를 흡수통일하였다. == 군사 == 병력 및 장비 현황 1) 정규군 : 191,000명(추정치) ■ 육군 : 117,000명 • 3개 기갑여단, 5개 기계화 보병여단, 2개 공정여단, 2개 포병여단등으로 구성 ■ 해군 : 26,500명 • 서부(홍해) 함대, 동부(걸프) 함대 운영 - 4,000톤급 프리기트함, 2,000톤급 프리기트함, 1,000톤급코르벳함 등 전투함 및 기타 고속정, 소해정 등 보유 ■ 공군 : 25,000명 • 5개 전투비행단 및 13개 군 비행장 운영• Typhoon, Tornado, F-15 등 주력 전투기 보유• AWACS 조기경보기, 공중급유기 및 훈련기 보유 ■ 방공군 : 20,000명 • PAC-3 패트리엇 등 지대공미사일, 고사포 등 보유 ■ 전력미사일군 : 약 2,500명 • 5개 기지 운영 2) 국가방위군 :100,000명 (3개 기계화 보병여단, 6개 차량화 보병여단 등으로 구성)• 리야드·담맘·젯다 등 주요 도시에 지역사령부 소재 3) 기타 준군사 조직 : 60,000명 • 국경/해안수비대 : 30,000명• 경찰 특수부대 : 20,000명• 석유시설 방호부대 : 10,000명 ==경제== 무산담 왕국은 천연자원이 풍부한 나라이다, 하지만 국왕인 Imaad Al Sabet은 먼 미래에 원유의 시대가 종결될 것을 우려하여 공업과 농업에 대대적인 투자를 하고있다, 대표적으로 사막 녹지화 프로젝트, 해수담수화 프로젝트 등이 있다, 특히 공업 부분에서는 [[https://wikis.krsocsci.org/index.php?title=%EC%95%B1%EC%86%94%EC%A0%84%EC%9E%90%EC%9D%98_%EA%B3%B5%EC%9E%A5|APSOL그룹]]과의 제휴하에 샤크라시의 토지 70 헥타르를 임대하여 내수경제에 힘쓰고 있다 무산담 왕국 문서로 돌아갑니다.